광고닫기

최신기사

토론토 ‘‘파워 오브 세일’ 주택 급증

  금리 상승과 생활비 부담이 커지면서 토론토에서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주택을 강제 매각하는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다. ‘파워 오브 세일(Power of Sale)’로 불리는 절차는 대출자가 상환에 실패하거나 계약 조건을 위반할 경우, 채권자가 담보 주택을 시장에 내놓는 방식이다.   강제매각, 지난해의 4배로 증가 토론토부동산위원회(TRREB) 자료에 따르면 올해 도심에서 발생한 강제매각 주택은 49건으로, 2023년 전체(11건)의 4배 이상이다. 광역토론토(GTA) 전역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콘도 매물이 크게 늘었다.   시세보다 저렴하지만 ‘복불복’ 밸러리부동산(Valery Real Estate) 분석에 따르면 2022년 이후 강제매각된 주택 43건 중 80%가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평균 낙찰가는 매물가보다 약 5% 저렴했으며, 50만 달러짜리 콘도의 경우 약 47만 5천 달러에 매입된 셈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강제매각 주택이 시세보다 크게 싸게 나오는 경우는 드물다”고 지적한다. 법적으로 금융기관은 시장가에 가까운 가격으로 매각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원 소유자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전문가 “예상 밖 위험 주의” 부동산 변호사 마이클 클라크는 “강제매각은 구조적 결함이나 미납 공과금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이 따른다”고 경고했다. 일반 매매와 달리 ‘현 상태’로 판매돼 하자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다. 또한 원 소유자가 채무를 상환하면 계약이 취소될 수 있어 실거주 목적의 첫 주택 구매자에게는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매물 다양하지만 접근 어려워 현재 토론토 도심에서 강제로 매각된 매물들은 리틀포르투갈 지역의 46만5천 달러 콘도, 금융지구의 157만 달러 콘도, 켄싱턴마켓의 500만 달러 다세대주택 등으로 다양하다. 다만 이런 매물의 대부분은 일반 부동산 플랫폼에서 확인하기 어렵고, 중개인의 데이터 접근이 필요하다.   투자자 중심 시장으로 변화 전문가들은 강제매각이 투자자에게는 제한적으로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실수요자에게는 위험이 크다고 본다. 금리 인상으로 상환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강제매각 매물 증가는 토론토 주택 시장이 점차 조정기에 들어섰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밸러리부동산 토론토부동산위원회 TRREB GTA 광역토론토 금리 토론토

2025.10.20. 10:33

썸네일

토론토 집값 5% 하락…금리 인하 기대감

  집값 1년 새 5% 내려 광역토론토지역(GTA) 주택 가격이 8월에도 압박을 받으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토론토 지역 부동산위원회(TRREB)에 따르면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떨어져 102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종합 기준가격도 같은 폭으로 내렸다.   제이슨 머서 TRREB 최고정보책임자는 “중위 소득 가정들이 여전히 평균 가격대를 유지하는 주택들의 월별 모기지 상환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이는 지난 1년간 금리가 내려가고 집값이 조정됐음에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거래는 소폭 증가 8월 한 달 동안 GTA에서 거래된 주택은 총 5,211채로, 전년 동월 대비 2.3% 늘었지만 7월과 비교하면 계절 조정 기준으로 1.8% 줄었다. 토론토 시내에서는 거래가 1,779건으로 3.5% 증가했고, GTA 나머지 지역은 1.7% 늘어난 3,432건이 매매됐다.   주택 유형별로는 단독주택 거래가 5.9% 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고, 반단독주택(2.6%)과 타운하우스(2.4%)도 상승했다. 반면 콘도 거래는 1년 전보다 4.9% 감소했다.   금리 인하 가능성에 시장 주목 엘레시아 배리-스프룰 TRREB 회장은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 속에 캐나다 중앙은행이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한다면 주택 거래 증가와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지난 7월 30일 기준금리를 세 차례 연속 동결하며 현 수준인 2.75%를 유지했지만, 9월 17일 차기 결정에서 미국발 관세 여파를 고려해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전문가 “심리적 영향 더 커” 로열르페이지 대변인은 “금리 인하 여부가 바이어의 지갑보다 심리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거래량을 좌우하는 것은 매물 수준과 가격 조정”이라고 지적했으며 “몇 달 전에는 셀러들이 예전 가격을 고집했지만 최근 들어 ‘지금 가격이면 팔겠다’는 태도로 변하고 있다”며 시장의 점진적 조정 과정을 강조했다.   매물은 늘었지만 가격 합의엔 시간 필요 8월 신규 매물은 1만4,038건으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고, 전체 활성 매물은 27,495건으로 22.4% 늘었다. 스토리는 “보통 여름철은 거래가 한산하지만 올해는 반대로 소비자 신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바이어와 셀러가 가격에 합의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전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토론토 금리 인하 GTA 거래량 매매가 TRREB

2025.09.10. 6:41

썸네일

토론토 월세, 여전히 ‘고임금 필요’

  보고서가 드러낸 현실 토론토의 월세가 다소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노동자들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캐나다정책대안센터(CCPA)는 최근 발간한 ‘렌트하기: 임대주택 임금 업데이트 2024’ 보고서에서 62개 도시의 1•2베드룸 아파트 임대료를 감당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당 임금을 산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토론토와 밴쿠버가 전국에서 임대 주거 비용 부담이 가장 큰 도시로 꼽혔다. 두 도시에서 1베드룸을 빌리려면 연봉 약 7만8천 달러, 시간당 38달러에 달하는 소득이 필요하다. 현재 온타리오의 최저임금(17.20달러, 10월 1일부터 17.60달러로 인상 예정)으로는 사실상 독립적인 주거가 불가능한 셈이다.   숫자로 본 월세 부담 토론토지역부동산위원회(TRREB)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토론토 1베드룸 평균 임대료는 2,326달러로, 전년 대비 5.1% 하락했지만 여전히 연 2만7,912달러에 달한다. 이는 연봉 3만3천 달러 수준의 최저임금 소득자에게는 턱없이 높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토론토 공실 기준 ‘렌탈 임금’이 1베드룸 41.73달러, 2베드룸 51.73달러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일부 긍정적 신호 보고서는 전국적으로 공실률이 소폭 증가하고, 신규 임대주택 공급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는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분양 후 투자자 이탈로 인해 완공된 콘도 물량이 임대시장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고 전했다.   해결책은? 다만 장기적으로는 임금 인상이 핵심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거의 모든 캐나다 도시에서 임대료와 소득 사이에 격차가 존재하며, 최저임금 노동자들에게 특히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임대료 통제, 세입자 보호 강화, 비영리•공공임대 확대, 부동산투자신탁(REITs)의 임대주택 매입 제한 등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책 과제 보고서는 연방•주정부가 무역과 안보 이슈 속에서도 주거 문제를 정책 최우선 과제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너무 많은 가구가 소득의 과도한 비중을 월세로 지출하며, 이는 식비•교통•기본 생활비 지출을 위협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토론토 토론토 공실 TRREB 임금 임금인상 최저임금 월세 임대료

2025.09.08. 22:2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