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전국은 물론, 20개 대도시의 집값 상승 폭이 전월에 비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LA와 한인타운도 예외는 아니었지만, 부동산 현장에서는 여전히 열기가 뜨거운 상황이다.
26일 발표된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전국 주택가격 지수’에 따르면 전국의 단독주택 가격 지수는 8월 전년 대비 19.8% 상승으로 7월과 동일했다.
20개 대도시 지수는 7월 20.0% 상승에서 8월 19.7% 상승으로 오름폭이 둔화했고, 10개 대도시 지수 역시 19.2%에서 18.6%로 줄어들었다.
전월 대비 통계는 상승률이 일제히 7월보다 줄어들어 전국 기준은 1.7%에서 1.2%로, 20개 도시는 1.5%에서 0.9%로, 10개 도시는 1.3%에서 0.8%로 각각 조정됐다.
20개 도시 기준 전월 대비 상승이 낮아진 것은 13개월 만에 처음이다. 또 전월 대비 상승률 비교에서 20개 도시 중 마이애미만이 7월과 동일한 수준의 집값 오름세가 있었을 뿐 나머지 19개 도시는 모두 전월보다 상승률이 낮아졌다.
S&P 다우존스의 크레이그 라자라 디렉터는 “8월의 집값 상승률은 여전히 강력했지만 전월 대비 비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집값 오름세가 속도를 줄이는 감속 단계로 들어섰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20개 도시 통계에 포함된 LA는 전년 대비 기준 7월 19.1% 상승에서 8월 18.4% 상승으로 드러났고 샌디에이고는 27.8%에서 26.2%로, 샌프란시스코는 25.5%에서 21.2%로 각각 나타났다. 7월과 비교한 도시별 주택가격 지수 상승도 LA는 1.4%에서 0.9%로, 샌디에이고는 1.6%에서 0.5%로, 샌프란시스코는 1.1%에서 0.4%로 모두 상승 폭이 감소했다.
CNBC는 “7~9월 중순까지 이어진 3% 미만의 모기지 이자율의 영향으로 집값이 올랐지만 최근 금리가 3.27%까지 오르면서 구매 열기를 낮추고 가격 상승 폭도 제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대신 코어로직의 셀마 헵 이코노미스트는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에서 수요 욕구는 지속적이고 강력하다”며 “높아진 가격으로 첫 주택 구매자는 게임에 뛰어들 수도 없지만, 현금 실탄이 두둑한 이들은 가격을 더욱 끌어올릴 것”이라고 상반된 견해를 내놨다.
한편 LA 한인타운은 여전히 매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바이어 간 경쟁이 치열하다. ‘더 라이트 리얼티 그룹’의 맥스 이 대표는 “최근 69만9000달러에 나온 한인타운 매물에 6~7개의 오퍼가 쏠리는 등 시장이 냉각될 분위기는 보이지 않는다”며 “여전히 매물이 너무 적고 비즈니스를 하든 실업수당을 받으며 사이드잡을 하든 돈이 많이 풀린 이유로 분석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