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칼럼] <2372> 앞꿈치로 슬라이스를 잡아라

박윤숙 Stanton University 학장
이와 함께 그립, 스탠스, 몸의 자세(correct posture), 체중균형 (weight balance) 등의 셋업도 스윙 궤도와 구질을 좌우하는 중요 변수다.
셋업이 잘못되면 슬라이스나 훅, 또는 덮어 치거나 밀어치는 샷 등 악성 구질이 발생한다. 특히 양발의 스탠스(앞꿈치)가 목표의 좌측을 향한 자세는 백스윙 때 직선이 아닌 목표선 밖으로 빼내, 다운스윙에서 왼쪽 무릎과 허리가 자신의 등 뒤쪽으로 빨리 돌게 된다.
이때다운스윙에서타면이 열려, 깎아 치거나 밀어치는 결과도 발생한다. 이 스윙은 주로 슬라이스 구질에 고민하는 골퍼들이 이용하는 자세지만 이는 시각과 심리적 측면에서만 부합될 뿐 실제로는 반대 현상이 생겨난다.
다시 말해 자세(앞꿈치)가 목표보다 왼쪽으로 향하면 향할수록 드라이버에서의 구질은 슬라이스, 아이언 샷에서는 덮어 치는 샷들이 더욱 심해진다.
반대로 목표의 우측으로 자세를 취하면, 생각과 다르게 악성 훅이나 밀어내는 샷, 즉 푸시 아웃(push out)의 구질도 발생한다.
훅이 발생하는 이유는 슬라이스 자세와 반대로 다운스윙에서 오른쪽 상·하체가 클럽 헤드보다 늦게 돌아, 타면이닫힌 상태로 볼을 치기 때문이다. 또는 볼을 향하는 클럽 헤드의 속도가 빠르다고 느끼면서 순간적으로 볼을 바르게 치려는 생각으로 임팩트 때 오른손으로 타면 각도를 조절, 볼을 밀어치게 된다.
이처럼 몸의 자세가 왼쪽을 향하면 구질은 오른쪽으로, 반대로 목표의 오른쪽을 향하면 왼쪽으로 꺾이는 구질이 빈번해진다.
그렇다면 슬라이스 구질의 골퍼는 우측을 향해야(closed stance) 하는가?
이 같은 상황이 빈번하다면 게임 중 스윙을 고치지 말고 양발의앞꿈치를 한문의 다만 지(只) 자와 같이 약간 벌려 서면 일시적으로 구질을 바르게 잡을 수 있다.
구질은 임팩트 전과 후 클럽 헤드의 궤도에 맞춰 튕겨 나가게 마련이며 이후 볼이 휘어지는 것은 임팩트 때 타면 각도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테면 아웃사이드 인(outside in) 궤도로 볼을 치면 볼은 왼쪽을 향해 똑바로 날아가고, 그 순간 왼쪽 팔꿈치를 등 뒤쪽으로 조금만 빼도 슬라이스 구질이 만들어진다.
악성 훅이나 슬라이스는 스윙 궤도나 자세에서도 발생하지만 클럽타면의각도(loft angle)가 급 각인 경우, 즉 타면의 각도가 8도나 9도 일 때도 생긴다.
또는 스윙 스피드가 늦거나 힘이 부족한 골퍼가 강한 샤프트(stiff shaft)에 급 각의 타면 각도를 사용할 때, 역시 슬라이스를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헤드 스피드가 빠르고 힘이 좋은 골퍼가 약한 샤프트(flexible)를 사용해도 훅과 슬라이스가 번갈아 가며 생길 수 있다.
즉 자신이 소화할 수 없는 긴 클럽이나 가파른 타면의 각도, 샤프트 강도는 오히려 스윙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뜻이다.
▶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 골프 클럽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