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조사 ‘에’와 ‘에게’ 구별하기
중국의 영향이 크다는 한국과 과학적 근거를 대라는 중국. 미세먼지가 한반도의 숨통을 죄면서 책임 소재를 놓고 한·중 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과 공동 조사에 나서겠다는 발표엔 “기어코 중국에 책임을 떠넘기려 하는가”라며 날 선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중국 매체의 주장을 옮길 때 “중국에~”가 아니라 “중국에게~”로 써야 되지 않냐고 묻는 이가 많다. 실제로 입말에서 “중국에게 큰소리 못 치는 이유가 뭔가” “중국에게 묻고 싶다”와 같이 종종 사용하지만 모두 ‘중국에’로 고쳐야 바르다.
체언에 따라 ‘에게’와 ‘에’를 구분해 써야 한다. ‘에게’는 감정이 있는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말(유정물) 뒤에 붙는다. “지인들에게 이곳을 소풍 장소로 꼭 추천하고 싶어요” “고양이에게 반드시 필요한 용품입니다”처럼 사용한다.
감정이 없는 식물이나 무생물을 나타내는 말(무정물) 뒤엔 ‘에게’가 아닌 ‘에’가 붙는다. “미세먼지가 자동차에게 미치는 영향” “화분에게 물을 주면 안 되나요?” “세상에게 도전하라”와 같이 쓰면 어색하다. ‘자동차에’ ‘화분에’ ‘세상에’로 고쳐야 바르다. 동화나 시 등에서는 “심술쟁이 바람이 해님에게 말을 걸었어요” “나무에게 길을 묻는 이”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화자가 무생물이나 식물을 의인화한 경우라면 ‘에게’를 붙일 수 있다.
신문이나 방송 등의 매체에서 기사 제목을 달 때 글자 수를 줄이기 위해 임의로 ‘에게’가 올 자리에 ‘에’를 쓰기도 한다. “대통령에 듣는다” “신임 당 대표에 묻는다”와 같은 식으로 표현하는 일이 잦지만 원칙에는 어긋나는 방법이다.
정리하면 무정물 뒤에는 ‘에’를, 유정물 뒤에는 ‘에게’를 쓰는 게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이다. 더 구어적인 표현으로는 ‘한테’가 있다. ‘에게’를 ‘한테’로 대체할 수 있으나 “상품의 파손 여부를 택배회사한테 알려야 한다”처럼 무정물 뒤의 ‘에’ 대신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