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의 거리를 걷는다는 것은 역사를 밟아가는 탐구생활과 같다. 로스 펠리즈에서 시작해 샌페드로 항구까지 23.3마일을 뻗어나가는 버몬트 애비뉴(Vermont Avenue)는 LA시 남북을 가로지르는 최장 도로다. 한인타운과 할리우드, USC 캠퍼스를 관통하는 이 길 위에는, 골드러시의 꿈을 안고 서부로 와 LA의 초석을 다진 한 인물의 겸손한 족적이 새겨져 있다.
원래 코행가 부족민의 산책로였던 이길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도로는 동북부의 버몬트주(州)에서 유래했다. 버몬트주는 북쪽으로 캐나다의 퀘벡주와 국경을 접하며, 동쪽으로 뉴햄프셔주, 남쪽으로 매사추세츠주, 서쪽으로 뉴욕주와 맞닿아 있다.
LA 역사 초기, 동부 출신 이주민들이 도시 발전에 큰 몫을 담당했고, 그들을 기리기 위해 고향의 지명을 붙이는 일이 잦았다. 버몬트 애비뉴가 기념하는 인물은 오즈로 W. 차일즈(Ozro W. Childs), 바로 버몬트주 출신의 개척가였다.
차일즈는 버몬트주에서 태어나 버몬트주에서 교육받았다. 이후 오하이오주로 이주해 교사로 아이들을 가르쳤다. 그는 서부에 금광 개발 소식을 듣고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했다. 골드러시의 굉음이 그를 서부로 이끌었지만, 샌프란시스코의 짙은 안개는 버몬트 출신 청년에게 낯설기만 했다. 남쪽으로 뱃머리를 돌려 정착한 곳이 바로 LA였다. 그는 황금 대신 LA의 미래에 투자했다.
양철 세공 및 철물점을 시작한 그는 한 상인이 갖고 있던 모든 재고를 외상으로 넘겼받았다. 몇 년 후, 차일즈는 동업자의 지분을 모두 사들였고, 그 사업을 정리하면서 4만달러를 손에 쥘 수 있었다. 그 후, 그는 LA 남쪽 들판에 물을 대는 수로 시스템인 ‘산하 마드레(Zanja Madre)’의 확장 공사 계약을 따냈다. 그는 공사 대가로 그 지역의 땅을 받았는데 그 부지가 부를 축적하는 발판이 됐다. 그 땅이 현재 6가와 9가 사이, 메인과 피게로아에 이르는 다운타운 중심지다.
그는 황무지를 주택단지로 변모시켰고, LA를 대표하는 원예 사업가이자 성공한 은행가로 발돋움했다. 그가 세운 은행은 훗날 미국 최대 은행 중 하나인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의 모태가 됐다. 그는 USC의 공동 설립자로도 이름을 올렸으며, 그랜드 오페라 하우스를 개관해 도시에 문화를 선물했다. 1869년에는 LA시의원으로 당선되어 도시 행정에도 직접 참여했다.
그의 삶이 더욱 빛나는 지점은 부와 명성을 쌓은 방식보다 그것을 사용한 방식에 있다. 그는 당대 최고의 자선 후원가(Benefactor)였지만, 자신의 신앙을 드러내거나 선행을 과시하는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는 묵묵히 도시를 위해 헌신하고, 이웃을 위해 기부했다.
이는 자신의 이름을 도로명으로 남기기 위해 시정부와 거래했던 헨리 윌셔와는 결이 다른 행보였다. 윌셔가 도로 표지판에 ‘나’를 남기려 했다면, 차일즈는 도시 곳곳에 ‘우리’를 위한 터전을 일궜다. 그의 헌신을 기리고자, 사람들은 그의 이름 대신 그의 고향인 ‘버몬트’를 길 위에 새겨 넣었다. 자신의 공을 내세우지 않았던 고인의 성품을 존중한, 가장 품격 있는 기념 방식이었으리라.
결국 윌셔는 자신의 이름을 남겼지만, 그가 꿈꿨던 사회주의 세상은 흔적도 없다. 반면 차일드스는 이름 대신 출신지의 이름을 남겼지만, 그가 세운 대학과 은행, 그가 가꾼 도시는 여전히 LA의 심장부에서 살아 숨 쉰다.
진정한 유산은 도로 표지판이 아닌, 도시의 역사 속에 새겨지는 것임을 버몬트 애비뉴는 오늘도 묵묵히 증명하고 있다. 그 길을 오가며 이름도 빛도 없이 LA를 가꾼 한 개척가의 진한 삶의 향기를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