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한계에 도달한 커플의 결여된 정신적, 신체적 밀착성. 그들에게 세포까지 붙어 버리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한다!
시각 효과에서 독창적 재능을 보여온 마이클 생크스 감독의 장편 데뷔작 ‘투게더’는 미국의 대표적 독립영화제 선댄스 영화제에서 호러 장르와 코미디, 로맨스를 독특하게 결합한 시도로 관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받았고 개봉 전부터 화제작으로 관심을 모았다.
개봉 후에도 로튼 토마토 100%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투게더’는 특별히 인간의 신체를 혐오스럽게 묘사, 공포를 유발하는 ‘바디 호러’ 장르로 구분된다. 교통사고로 뇌에 티타늄을 심고 살아가던 여성이 기이한 욕망에 사로잡히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티탄’이 바디 호러의 대표 작품이다. 프랑스의 쥘리아 뒤쿠르노 감독의 2021년 작으로 그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투게더’는 단순히 피를 흘리거나 잔인한 장면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서로의 몸이 점점 붙어버리는 기이한 현상으로 신체의 온전함과 순수함이 위협받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영화는 신체의 변형을 극대화하여 커플의 몸 안에 끔찍한 것이 숨겨져 있는 듯한 표현으로 불쾌감과 불안감을 자극한다.
생크스 감독은 기존의 공포 영화 방식에 로맨스가 가미된 ‘투게더’에서 사랑과 정체성, 상호 의존성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진다. 그의 표현 방식이 충격적이다.
팀(데이브 프랑코)과 밀리(엘리슨 브리)는 10년 차 커플이다. 그들의 관계에 균열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지 오래다.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교사 밀리는 일에 몰두하는 타입이다. 적극적이지 못한 성격의 팀은 수입이 늘 불안한 작곡가다. 상대적으로 그의 자존감이 많이 상해 있다.
밀리가 외딴 시골에 새 직장을 얻어 팀과 함께 이사한다. 그곳으로의 이사는 두 사람의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지만 그들의 갈등이 쉽게 해소될 것 같지 않다. 이미 10년을 함께 살아온 두 사람에게는 서로에게 기대는 상호 의존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새로운 동네의 주변을 하이킹하던 중, 팀과 밀리는 불길한 느낌의 동굴 안으로 들어간다. 동굴에서 하룻밤을 지내며 웅덩이의 물을 마신다. 다음날 두 사람의 다리가 약간 붙어 있는 것을 알게 되지만 사소한 일로 여긴다.
동굴 사건 이후 초자연적이고 끔찍한 변형이 연이어 일어난다. 두 사람은 기이하고 불안한 신체 변화를 겪기 시작한다. 그들의 몸이 기괴한 방식으로 합쳐진다. 처음에는 다리가 붙는 정도로 시작하다 점점 더 심화하여 간다. 떨어져 있을수록 고통이 심해져 둘은 가까이 있어야만 한다.
동굴에서 자신들과 비슷한 일을 겪은 다른 커플들이 실종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들과의 연관성을 암시하는 교사 제이미가 등장하면서 영화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팀은 밀리에게 자신들이 사라진 커플들처럼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그러나 상황은 빠르게 악화한다.
팀과 밀리를 연기한 데이브 프랑코와 브리는 실제로 부부 사이다. 그들의 초자연적 여정이 진정성 있게 전달된다. [NEON]
팀은 최근 커플 사이의 친밀감 부족에도 불구하고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렬하게 밀리에게 이끌리는 자신을 발견한다. 보이지 않는 강력한 힘, 그들의 몸은 기괴한 방식으로 합쳐지고, 분리하려고 시도하면 엄청난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 필사적 저항에도 불구하고 육체의 결합은 점점 더 강렬해진다.
팀과 밀리는 이 기이한 현상의 해답을 찾기 위해 동굴의 불길한 역사를 파헤친다. 그리고 동굴이 있는 자리가 버려진 교회 터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밀리는 동굴에서 실종된 커플들이 융합되는 과정을 하나의 의식처럼 묘사한 테이프를 발견, 그들이 앞서 겪었던 끔찍한 결과를 목격한다.
본색을 드러내는 제이미는 밀리가 팀과의 융합 과정을 완료해야 한다고 말한다. 밀리는 탈출하여 심하게 다친 팀과 재회한다. 끔찍한 절망의 순간, 팀은 그녀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팔을 그녀의 상처에 융합시킨다.
이제 융합은 더는 불가피함을 받아들인 팀과 밀리는 기괴한 인간의 형태, 단일한 중성적 존재로 완전히 합쳐짐으로 그들의 신체적 변형을 완료한다. 팀과 밀리의 부모들이 그들을 방문한다. 부모들은 그들의 새롭고 불안한 버전에 어떻게 반응할까.
결론 부에 부모들의 등장으로 초현실적 영화의 논리가 느슨해진 느낌이 없지 않다. 그러나 ‘투게더’는 독창성이라는 측면에서 모든 결점을 극복한다. 기존의 호러 장르와 차별화된 스토리텔링과 비주얼은 영화가 지닌 최대 장점이다.
생크스 감독은 남녀 커플의 불안전한 관계에 융합의 가장 끔찍한 방식을 동원한다. 기이하고 무서운 초자연적 힘을 개입시킴으로 관객을 웃기고, 놀라게 하고, 감동하게 한다.
장편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효율적인 연출이 돋보인다. 생각할 거리를 주는 사랑, 슬픔, 인간관계에 대한 탐구가 담겨있는 호러 영화다. 바보 같지만, 영리하게 만들어진 영화다. 호러의 형식을 빌린 로맨스, 너무 나간 상상력, 그 뒤틀림에 코미디가 있다.
팀과 밀리의 상호 의존과 융합은 영화가 던지는 은유적이면서도 강렬한 메타포다. 그들의 이전 관계에 내재하여 있던 불안과 분노가 끔찍한 신체 변화로 나타난다. 각자의 개별적 정체성은 사라지고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커플의 심리적 상호 의존이 육체 융합이라는 형태로 귀결된다. 존재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지는 영화는 신체적 묘사로 극단적 친밀감을 불러온다.
관계는 ‘나’를 잃어버리고 ‘너’를 받아들이는 연속적 과정이다. 나의 주장이 강해지면 너를 받아들일 공간이 작아진다. 불편해진 관계는 서서히 깨어지기 시작한다. ‘투게더’는 헌신의 어둡고 불편한 측면을 부각하면서 커플의 상호 의존성을 세포 결합이라는 기상천외한 상상력으로 ‘완전체’를 재창출해 낸다.
팀과 밀리를 연기한 데이브 프랑코와 엘리슨 브리는 실제로 부부 사이다. 커플의 초자연적 여정이 진정성 있게 전달되는 이유일 것이다. 유머러스하면서도 강렬한 부부의 케미 연기가 영화의 몰입도를 높이는 시너지로 작용한다. 부부는 이래저래 ‘함께 붙어 있어야 할’ 존재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