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을 돌아보면 우연처럼 시작된 인연들에 의해 많이 달라졌다. 주한 미군에 파견 근무를 하는 카투사(KATUSA)로 군 생활을 한 것도 그중 하나다.
경기도 파주의 문산농업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56년 12월 엄동설한에 같은 반 친구와 함께 입대 영장을 받았다. 입대와 동시에 모든 꿈과 희망이 수포로 돌아갈 것 같았다. 고등학교 졸업장이라도 없으면 취업 기회도 많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훈련이 끝나자 운 좋게 카투사로 선발이 되었다. 그리고 배치된 곳이 모교 인근에 주둔하고 있던 미 제 1 기갑사단이었고 보충대 인사과에서 군번을 찍는 것이 임무였다. 당시 미군 군번표(U.S. Army dog tag)는 성명과 군번, 그리고 종교를 기재해 동판 기계로 찍어 만들었다.
주어진 임무는 밤늦게까지라도 마치며 성실함을 인정받았다. 그렇게 직속 상관인 미군 인사과장과 친해졌다. 그에게 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입대를 했고, 학교 졸업이 꿈이라는 말도 했다.
며칠 후 인사과장은 내게 중대장의 통학증을 받아 주었다.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렇게 병역 의무를 하면서 1년을 더 공부해 영광의 졸업장을 받았다. 그리고 인사장교와 부대장의 허가를 받아 야간 대학에도 진학할 수 있었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미군 전우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모아 등록금을 보태줬다. 지금도 그들의 후원에 무한 감사함을 갖고 있다. 카투사 복무는 내게 큰 행복이고 은혜였다.
1959년 10월 제대를 했다. 미군 근무 경력 덕에 미군 사령부 안전관리국의 안전사고 분석관(Safety Manager)으로 취업했다. 열심히 일했더니 우수직원으로 뽑혔고 1968년 사단장의 추천과 미8군 사령관의 최종 승인으로 뉴욕대에서 안전관리학 교육도 받을 수 있었다.
1970년에는 주한미군의 군수품을 운송하는 작전 차량부대로 전근, 5년간 근무했다. 그 기간 차 사고는 75%나 급감했고, 운전병 사망 사고는 한 건도 없었다. 우수한 근무 실적과 한미 유대 관계 강화에 기여한 공로로 미 육군 2등 공로훈장을 받았다. 미국 정부를 대신해 주한 미 대사가 승인해야 받을 수 있는 특별한 훈장이다.
그 후 특별 이민비자(Special Immigration Visa)를 받아 1976년 LA에 정착했다. 그리고 에스크로 회사를 운영하는 고등학교 후배를 만난 인연으로 에스크로 회사를 설립해 42년째 운영하고 있다. 그 후배에게도 무한한 감사를 보낸다.
세월 따라 인생은 변한다는 말이 있다. 각자 만남과 인연으로 인생길을 이어가고, 그 운명 속에서 만난 사람들에게서 영향을 받는 것 같다. 카투사로 근무한 것이 내겐 행운과 축복이었다. 하지만 기회라는 것은 준비된 사람만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항상 성실하고 따뜻하게 사람들을 대하려 노력했고 그런 진심이 결국 사랑으로 열매로 맺은 것 같다. 나의 인생 이야기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고, 용기를 주었으면 한다. 오늘도 하나님께 감사한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