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골프칼럼] <2384> 그립은 3등분 해 활용하라

Los Angeles

2025.08.07 18:3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박윤숙 Stanton University 학장

박윤숙 Stanton University 학장

일반적으로 페어웨이 샷은 스탠스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없지만 벙커샷은 스텐스의 유동성이 심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벙커샷은 스윙 중 하체의 흔들림이 많으며 상체가 이를 뒷받침할 수 없다는 의미다.  
 
벙커샷 체중 배분은 6대4의 비율이 가장 이상적이다. 즉 왼쪽 발바닥에 체중의 60%가 고르게 배분되어야 한다. 반대로 오른발에 60%의 체중이 있다면 벙커샷의 기본에서 완전히 이탈한 타법으로 볼을 친다 해도 목표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60(왼쪽):40(오른쪽)을 고수해야 한다.  
 
벙커샷에서 거리가 짧아지는 이유는 오른쪽으로 자세가 기울여 스윙궤도의 최하점(타점)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윙에 의한 샷이 아닌 오른손으로 ‘퍼 올리는’, 즉 최초에 클럽헤드가 쳐야 할 예상 지점보다 많이 벗어나 뒤쪽을 치고 만다.
 
모래를 두껍게 치게 되어 샷의 거리도 짧지만 벙커에서 몇 번씩 쳐야 하는 다발적 사고도 발생한다. 뿌리 깊은 나무가 바람에 강하다. 바꿔 말하면 뿌리가 깊이 박혀 있으면 흔들림이 적다는 뜻이다. 이것이 벙커샷의 기본이며 벙커에선 언제나 양발을 모래 속에 깊이 묻고 샷을 해야 타점의 변형이 없다. 또한 모래 속에 묻힌 양발의 깊이에 따라 그립도 짧게 잡아야 하며 모래의 상태에 따라 클럽 선택도 유의해야 한다.
 
모래가 딱딱하거나 물에 젖어 있을 경우 바닥 면이 둥글거나 넓은 클럽으로 샷을 하며 클럽 바닥이 튕기며 탑핑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래가 심하게 젖거나 딱딱한 상태라면 샌드웨지보다 바닥이 좁은 피칭웨지나 9번 아이언을 사용하는 것이 실수를 줄이는 방법이다.  
 
특히 양발 스탠스는 정상적으로 하고 그립을 짧게 쥐지 않으면 모래 속에 양발을 묻은 의미는 없다. 그립을 짧게 잡지 않으면 양발이 모래 속에 묻힌 만큼 클럽헤드는 뒤를 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론은 양발이 모래에 묻힌 깊이보다 그립을 더 짧게 잡는 것이다. 양발이 모래 속에 1인치가 들어갔다면 그립은 2인치를 짧게 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볼을 치는 순간 발바닥의 미끄러짐도 없어진다. 특히 목표 지점이 100야드 이상이고 부드러운 모래에서 샷을 해야 한다면 체중 이동을 최소화하고 한 클럽 내지 2클럽을 길게 잡아 그립을 짧게 잡고, 작은 스윙으로 샷을 해야 한다.
 
모래에 묻힌 양 발의 깊이에 따라 그립을 짧게 쥐므로 긴 클럽으로 거리를 보충해야 한다는 뜻이다. 클럽 그립의 길이는 평균 10-11인치로, 이를 3등분해 연습하면서 비거리를 알아두고 실전에 활용해야 한다.  
 
 ‘살짝’ 혹은 ‘강하게’ 라는 타법 의식이 벙커 샷을 망치는 근본 원인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유연한 스윙으로 샷을 마친다는 개념을 가져야 한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 골프 클럽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