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첸 위트머 미시간 주지사가 지난 10일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비공개 회동을 갖고 미국 자동차 산업에 타격을 주는 고율의 관세에 대한 완화를 요청했다.
민주당 소속인 위트머 주지사는 이날 미팅서 슬라이드 자료를 통해 철강•알루미늄(50%), 중국산 부품(30%), 캐나다•멕시코산 일부 제품(25%) 등 관세 부과 현황과 그로 인한 미시간 주 제조업 피해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특히 차량 생산 필수 부품인 반도체에 대한 100% 관세 부과가 공급망을 마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60만 개에 달하는 미시간 주내 일자리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위트머 주지사를 세번째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즉각적인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다.
앞선 두 차례의 만남은 미시간 주 차원의 성과로 이어졌으나, 이번에는 전국적 정책 변화를 요구하는 자리로 평가됐다.
관세로 인해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GM과 포드는 지난 2분기에 각각 11억 달러, 8억 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했고, 미시간 주에서는 트럼프 취임 후 7,500개의 제조업 일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규모 부품업체들이 심각한 운영난을 겪고 있으며, 일부 업체는 이미 해외 생산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트머 주지사는 “미시간의 산업 경쟁력과 노동자들의 생계가 달린 문제”라며 “정치적 이견을 떠나 실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시간은 미국 대선의 핵심 경합주이자 자동차 산업의 상징적 지역이어서 관세 정책 변화 여부가 향후 정치 지형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유럽연합(EU), 한국과 잇따라 무역 합의를 타결하고, 이들 국가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다.
이에 GM, 포드, 크라이슬러 모회사 스텔란티스 등 미국의 3대 자동차 기업들은 자신들이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됐다며 불만을 제기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