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토 카르발로 LA통합교육구 교육감(가운데)은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구의 52만여 명의 학생이 이민 신분과 관계없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LAUSD 제공]
부모와 함께 학교를 방문했던 15세 장애인 학생이 이민당국 요원(국경수비대 등)에게 체포돼 수갑까지 채워져 연행되는 일이 벌어졌다. 다행히 학생은 학교 교직원과 학교경찰의 개입으로 곧바로 풀려났고, 이민당국은 착오로 인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번 일은 지난 11일 오전 9시30분쯤 밴나이스 지역에 있는 알레타 고등학교 밖에서 벌어졌다.
LA통합교육구(LAUSD)의 14일 2025~2026학년도 개학을 앞두고 이민 가정 학생 보호에 비상이 걸렸다. LA교원노조는 안전통행구역(Safe Passage Zones)의 확대를 촉구했고, 이에 대해 LAUSD 측은 법원 영장이 있을 경우에만 이민 단속 요원의 학교 시설 출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알베르토 카르발로 교육감과 캐런 배스 LA시장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52만여 명의 학생이 이민 신분에 상관없이 교육받도록 모든 방법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학생보호조례도 발표했다.
우선 LAUSD는 이민당국의 남가주 지역 불법체류자 집중단속에 대응하기 위해 학생보호 전담대응팀을 구성한다고 밝혔다. 전담대응팀은 학교경찰, 교직원, 학부모, 자원봉사자 등이 모두 참여해 이민자 가정 학생의 학습권 보장 활동을 펼친다.
특히 LAUSD와 LA시는 기자회견 당일 발생한 장애인 학생 체포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LAUSD는 사건 재발을 막기 위해 14일 개학 첫날 ICE 단속활동이 빈번한 지역 내 학교 주변에 전담직원 1000명을 배치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학교 주변에서 등하굣길 ICE 단속작전 여부를 감시한다. 이와 관련 카르발로 교육감은 안전통행구역 지정 학교를 100개 이상으로 확대한다고 전했다.
LAUSD는 학생 보호를 위해 지역사회 및 교원노조도 ICE 감시 자원봉사에 참여한다고 전했다. 또한 학생이 처한 상황에 따라 전담대응팀 직원은 학생 등하교 동행지원, 가정방문 확인에도 나선다. 불법체류자 단속 여파로 출석이 어려운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도 확대한다.
한편 현재 LAUSD 관할지역 학교는 약 1000개로 안전통행구역 또는 보호구역 확대 지정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 2일 LAUSD 교원노조(UTLA)는 학교 반경 2블록 내 보호구역 확대 지정, 학생 가정 식량 및 생필품 지원 등 보호 조치를 요구했다. 〈본지 8월 5일자 A-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