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성 분산으로 시 정책서 뒷전 공원 수수료 걷어도 타지역 전용 현안 해결에 한인 적극 참여 필요 주민 요구 전달하는 확성기 될 것
빌 로빈슨(사진) 의장이 다시 한번 윌셔센터-코리아타운 주민의회(WCKNC)를 2년간 이끌게 됐다.
지난달 연임에 성공한 로빈슨 의장은 15일 본지와 인터뷰에서 “한인타운을 전담하는 시의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민의회는 소속 대의원들이 함께 한인타운 현안을 논의하고 시 정부에 주민들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한인들이 직접 정치인을 만나지 못하더라도 주민의회를 통하면 지역사회 문제를 손쉽게 전달할 수 있다. 로빈슨 의장은 다시 한번 주민들의 확성기가 되기로 했다.
현재 한인타운은 헤더 허트(10지구), 케이티 야로슬라브스키(5지구), 휴고 소토-마르티네즈(13지구) 시의원 지역구 등 세 곳으로 나뉘어 있어 대표성이 분산돼 있다.
로빈슨 의장은 “시카고는 LA보다 인구가 적은데도 시의원이 50명에 달한다”며 “LA도 현행 15명에서 25명까지 늘리는 방안을 논의 중이며, 현실화가 되면 인구 13만 명의 한인타운도 전담 시의원을 배출할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인타운 전담 시의원 배출이 중요한 이유로 로빈슨 의장은 ‘삶의 질’을 꼽았다.
그는 “한인타운은 LA시의 중심이자 인구도 많은 지역인데 삶의 질은 여전히 뒤처져 있다”며 “일례로 현재 한인타운 내 인구를 수용 가능한 제대로 된 녹지 공간도 없고, 현재 재건축 중인 피오피코 도서관 공원은 규모가 턱없이 작다”고 지적했다.
로빈슨 의장이 한인타운 전담 시의원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이유는 또 있다. 대표성 부족으로 시 예산의 분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한인타운은 정책상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아파트 건설 시 부과되는 ‘공원 수수료(quimby fee)’를 언급했다.
로빈슨 의장은 “최근 7~8년 사이 버몬트와 웨스턴 애비뉴 사이 8가 일대에만 1649유닛이 신축돼 1450만 달러 이상의 공원 수수료가 걷혔는데도, 새로운 공원은 단 한 곳도 없다”며 “심지어 일부 수수료는 미드 시티로 전용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 임기 동안 주민의회 차원에서 서명 운동을 추진해 수수료 사용 내역 공개와 녹지 공간 확충을 시 정부에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치안 강화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로빈슨 의장은 “올림픽 경찰서 인력만으로는 한인타운의 치안을 감당하는 게 어렵다”며 “행콕파크처럼 사설 경비업체를 고용해 순찰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윌셔센터 경제개발구역(BID) 예산 활용을 제안했다. BID는 매년 관할구역 내 건물주들로부터 약 80만 달러를 거둬들이는데, 이 중 20만 달러만 투입해도 사설 경비업체 고용과 순찰차 확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로빈슨 의장은 “현재 BID 이사회는 타인종 중심이라 한인타운의 시급한 현안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며 “한인들이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화 문제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쓰레기와 낙서 문제뿐 아니라 길거리 배설물까지 심각한 상황”이라며 “노숙자 전용 임시 화장실 설치로 공공위생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로빈슨 의장은 “노숙자가 식당·카페 화장실 사용을 요청할 때마다 업주들이 곤란해하는데, 임시 화장실을 마련하면 갈등도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한편, LA시에는 현재 99개의 주민의회가 있다. 유일하게 ‘코리아타운’ 명칭을 사용하는 주민의회는 WCKNC뿐이다. LA시 주민의회는 지난 1999년부터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