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한국서 소포 받기 불편해진다

Atlanta

2025.08.21 15: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한국 우체국, 미국행 우편물 접수 당분간 중단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29일부터 15% 관세 부과
관세 사기도 기승....스팸 문자·이메일 등 홍수
한국 우체국에서 국제 우편물 배송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 우체국에서 국제 우편물 배송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한국 우체국에서의 미국행 소포 등 국제 우편물 접수가 단계적으로 중단될 예정이어서 미주 한인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오는 25일부터 미국행 항공 소포, 오는 26일부터 국제 특급 우편 서비스(EMS) 가운데 관세가 붙지 않는 서류를 제외한 모든 물품 등에 대한 우체국 창구 접수가 중지된다고 21일 밝혔다.  
 
이 조치는 미국 정부의 새 관세 정책이 시행되는 오는 29일 0시 미국 도착분부터 적용되며, 운송이 오래 걸리는 선박을 통한 미국행 소포는 이미 접수가 중단됐다.  
 
그동안 800달러 이하 물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면세해왔지만, 오는 29일부터 서류 등을 제외한 미국행 모든 국제우편물은 신고 및 관세(15%) 부과 대상이 된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했던 우체국 국제우편 접수가 중단되지만, 수취인이 관세를 내는 페덱스, DHL, UPS 등 민간 특송사 운영 상품으로 미국행 국제우편을 보낼 수 있다. 또 우체국의 민간 제휴 상품인 ‘EMS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하면 미국 관세 정책과는 무관하게 물품을 발송할 수 있다. UPS와 제휴해 운영하는 EMS 프리미엄 서비스는 특송업체가 운영하는 상품으로 운영사가 통관을 대행하고 받는 사람에게 관세가 부과된다. 우체국에서만 접수가 가능하고 일부 가격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물품 중량이 4.5㎏을 넘어서면 EMS 프리미엄이 더 저렴할 수 있지만 저중량 물품 배송료는 우체국 EMS보다 10%가량 높은 비용이 부과된다.  
 
아울러 우정사업본부는 최근 미국 당국으로부터 국제 우편의 관세 대납 주체로 허가받은 업체에 미국행 우편물 관세 대납을 맡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용자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물품을 부칠 때 물품 가액과 용도를 정확히 기재하고, 인보이스 등 통관 필요 서류를 구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 우체국의 국제우편 접수가 중단되고 통관 절차가 복잡해질 경우 한국에서 오는 우편물을 받는 한인들이 불편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아들을 미국에 유학 보낸 한국의 한 학부모는 2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가을 학기에 시작한다고 가면서 겨울옷을 한국에 놓고 갔다. 보내달라고 하는데 부피도 큰 겨울옷을 못 보내게 생겼다”며 “가뜩이나 환율도 올랐는데 현지에서 사입으라고 해야겠다”고 걱정했다.   
 
스와니 조아택배의 브루스 김 매니저는 “아직 한인들이 잘 모르고 있는데 앞으로 혼란이 가중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민간 특송사가 통관을 대행하고 미국에 있는 수취인에게 따로 연락해 관세를 받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자칫 ‘관세 사기’에 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실제로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복잡해지며 ‘관세를 내라’라는 스팸 문자, 이메일, 온라인 광고 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가령 사기 광고 또는 문자는 최근 구매한 상품에 대한 관세를 내야 한다든가, 상품이 세관에 걸려 있어 더 높은 수수료를 피하려면 즉시 결제해야 한다는 식으로 압박한다.    
 
김 매니저는 “운송업체가 걸러주면 수취인이 따로 연락받을 일이 없어 안심할 수 있다”며 “서울 오피스에서 스와니 오피스로 택배를 보내 수취인이 픽업하러 오는 방식이 간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지아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