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사고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는 부분으로 언어학자들은 주로 어휘를 이야기한다. 어휘는 언어의 구조 중에서 내용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인간의 사고와 관계된다. 친족어가 친족 형태를 추론하게 하고, 색채어가 색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반영한다. 유의어 간의 관계, 다의어의 범위 등은 언어마다 차이가 있다. 이는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의 의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어휘교육은 개개의 단어가 아니라 묶음, 즉 단어와 단어의 관계에 주목한다. 또한 어휘와 문화, 사고의 관계에도 주목한다. 언어교육에서 어휘교육이 중요하게 평가된 것은 어휘의 관계성 때문이다.
언어교육, 특히 외국어교육에서 어휘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진 것에 비해 어휘의 내용을 어떻게 가르치고, 어떻게 기억하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부족하다. 특히 한국어 교육에서는 어휘와 사고의 관계를 잘 나타내는 어원에 관한 교육이나 유의어 교육, 다의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한국어의 어원은 한국인의 심리와 사고를 반영한다. 이는 유의어나 다의어의 설명에서도 드러난다. 비슷한 말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야 하고, 다의어는 그 범위를 설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붉다’는 ‘불’과 ‘푸르다’는 ‘풀’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를 교육에 반영하면 색채어에 관한 한국인의 사고를 설명할 수 있다. ‘기쁘다’와 ‘즐겁다’를 구별하는 문제도 어떻게 설명하는가에 대하여 논의가 가능하다. ‘먹다’는 ‘나이를 먹다’는 표현이 가능하다. 왜 나이를 먹는다고 표현하는지에 대한 설명도 필요하다. ‘놀다’의 다의관계를 설명하는 것도 학습자에게는 흥미로운 일일 수 있다.
긍정심리학에는 ‘자기 확언’, ‘웰빙 인지’의 개념이 있다. 자신에게 확신을 주는 말이나 기분이 좋아지는 말을 반복하면 심리적으로도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타난다. 따라서 어휘교육과 긍정심리학을 연계하는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실제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매일 긍정적인 표현을 암기하게 하거나 암송하게 하였을 때, 학기를 마쳤을 때 우울감이 감소하였다는 연구도 있다.
한국어 학습자는 영어 등의 학습자에 비해 차이점이 나타난다. 우선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자는 성인 학습자이다. 반면에 영어 학습자는 대부분 유년 시절에 영어를 배운다. 이는 매우 중요한 차이이다. 영어 학습자에게 영어는 필수 요소인 경우가 많다. 진학, 취업 또는 생존에도 영어가 필요한 곳이 많다. 하지만 한국어는 진학이나 취업 목적인 경우도 많지만, 취미 목적, 일반 목적 학습자인 경우도 많다. 최근의 한류에 대한 관심은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언어로 자리하게 하였다. 한국어 학습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감, 치유 효과 등이 있다는 설문 조사도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에 긍정 언어학을 접목시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인공지능시대에 언어교육의 필요성을 묻는 논의가 많다. 하지만 외국어교육은 진학이나 취업 등의 실용적인 목적 외에서 기쁨이나 즐거움, 치유 등의 효과도 나타난다. 향후 언어교육의 필요성을 강화하는 논의로 긍정언어교육이 주목받게 될 것이다. 긍정 언어교육을 위해서는 기존의 교수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의사소통을 중시하면서 실용성과 유창성을 강조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는 고전을 외면하는 경향이 있었다. 학습자의 흥미가 제대로 반영되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긍정 어휘교육을 위해서는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실용적인 글도 중요하지만 학습자에게 마음의 치유를 주거나 긍정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내용을 읽기, 쓰기 등의 주제로 삼을 필요가 있다. 이는 말하기, 듣기 등의 주제에서도 마찬가지다. 좋은 글을 읽고, 듣고, 긍정적인 주제의 글을 쓰거나,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실 활동이나 학습 과제에도 긍정적인 내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교육과 긍정감을 연계하여 학습자의 불안이나 우울감을 감소시키려는 연구자의 태도에서 비롯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