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이 아침에] 광복 80주년 그날의 함성을 춤추다

Los Angeles

2025.08.27 19:2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진 최 / 한미무용연합회회장·진 발레스쿨 원장

진 최 / 한미무용연합회회장·진 발레스쿨 원장

나는 왜 춤을 추는가? 나는 대한인이다, 나는 대한의 예술이다. 나는 춤으로 대한을 알리고 기억을 되살린다. 그래서 해마다 광복절과 삼일절이 다가오면 몸이 먼저 반응한다. 무대를 세우고, 작품을 기획하며, 춤으로 조국을 불러낸다.
 
나는 태극기를 높이 들어올리며 윌셔 거리에서 “그날의 함성 잊지 않으리”를 추며 시대의 숨결을 새겼고, “독도는 우리 땅” 플래시몹을 통해 올림픽길 다울정 앞에서 수많은 학생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대한민국을 알리고 기억을 되살리는 뜨거운 순간을 만들었다.  
 
나는 또 중가주 리들리 독립문 앞에서 “독립이여 어서 오라”를 추며 잊혀가는 독립의 함성을 불러냈고, 우정의 종각 앞에서는 “대한이 살았다”를 통해 유관순 열사의 옥중 고난을 춤으로 그려내며 고통과 희생의 의미를 전했다. 이 모든 무대는 단순한 공연이 아니라, 예술이 기억을 지켜내고 세대를 잇는 증언이었다.
 
그리고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나는 다시 무대에 섰다. 지난 10일 반지달 시어터, 15일 새누리교회에서 펼쳐진 ‘코리안 판타지’는 발레와 한국무용, 판소리, 아크로바틱이 경계를 넘어 함께 호흡한 순수 창작무용이었다. 평화로운 아침에 뛰노는 소녀들, 전쟁 속에서 쓰러졌다가 다시 일어서는 실버 발레 천사들의 몸짓은 단순히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고통을 넘어 희망으로 나아가는 미래의 춤이었다.
 
그날 무대가 끝나자 한 할머니가 내 손을 꼭 잡으셨다. 공연 내내 눈물이 멈추지 않았다고, 너무 감격스러웠다고 말씀하셨다. 그 눈물은 나에게 무엇보다 큰 울림이었다. 아, 이것이 내가 무대를 만드는 이유구나!
 
춤은 말보다 깊은 진실을 전하는 언어이고, 관객의 눈물은 그 언어가 살아있다는 가장 뜨거운 대답이었다.
 
춤은 고통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그 안에 머물지 않는다. 아픔을 품되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고, 눈물을 삼키되 다시 일어서는 힘으로 바꾼다. 그래서 내가 만드는 무대에는 슬픔도 있지만 자유도 있고, 절망도 있지만 희망도 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껴안는 이름은 다름 아닌 대한이다. 나는 그 이름을 말로 외치기보다, 춤으로 부르고 싶다.
 
이번 광복 80주년 기념 무대를 통해 나는 예술의 본질을 다시 확인했다. 예술은 한마디의 웅변보다 강하며, 단 한 번의 몸짓으로도 더 큰 울림을 줄 수 있다. 바로 그 힘이 있기에 나는 앞으로도 무대를 만들 것이다. 망각을 넘어 기억으로, 절망을 넘어 희망으로 향하는 무대를….
 
이 행사를 주최한 LA 한인회와 여러 애국 단체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그들의 헌신과 노력이 있기에 우리의 기억은 단단해지고, 우리의 미래는 밝게 빛날 것이다. 나는 내년에도, 그 다음해에도 춤출 것이다. 대한의 예술가로서, 춤으로 대한을 알리는 나의 길을 계속 걸어갈 것이다.

진 최 / 한미무용연합회회장·진 발레스쿨 원장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