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문예마당] 콩콩 팥팥

Los Angeles

2025.09.04 18:5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수필
학생들의 행동 패턴을 보고, 그 부모의 직업을 대략 유추해 볼 수 있다고 하면 지나친 말일까? 내가 대학에서 영어과목을 가르칠 때의 일이다. 나는 매학기 첫 주에 A4 용지 1장 분량의 자기 소개서를 영문으로 써내라는 과제를 학생들에게 주었다. 그 과제를 주는 이유는, 첫째,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파악할 수 있고, 둘째, 수업에 임하는 학생들의 성실도를 가늠할 수 있고, 마지막 셋째. 그 두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강의 내용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여러 학기를 반복하다가, 나는 우연히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를 얻게 되었다. 한국의 학생들은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으로, 자기 소개서에 본인에 관한 것보다는, 주로 가족이나, 본인이 속한 조직, 친구, 또는 사는 동네에 관해 진술한다. 그래서 자연히 그들의 배경에 대해서 알게 된다.  
 
특히 학생들은 자기 소개서에 부모의 직업에 관해서 꼭 기술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부모의 직업이 자녀의 행동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기술할 이 내용은 과학적 실험을 토대로 한 것이 아니므로, 그저 한 개인의 재미있는 경험담으로 이해해주면 좋겠다.
 
학생들 중에 여하간 상냥한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모두에게 상냥하고, 여간해선 불쾌감을 드러내지 않는다. 또, 그들은 상대방의 말에 장단을 잘 맞춘다. “아,” “그래?” “정말,” “하하,” 사교계에서 매우 인기 높을 성격들이다. 그들의 부모는 대개 동네 장사를 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의 마켓이나, 꽃가게, 선물가게, 약국, 문방구, 식당, 등. 동네에서 인심을 잃으면 안 되는 직업이다. 그들의 상냥함은 작은 꽃 같이 참 예뻤다.
 
학기 내내 지각을 한 번도 안 하고, 먼저 와서 기다리고, 결석은 더더구나 안 하는 학생들이 있다. 그들은 수업이 끝나기 전에 먼저 강의실을 떠나는 법도 없다. 이 학생들에게는 특이한 성실감이 있는데 바로 ‘시간엄수’이다. 일단 그 시간에 그 자리에 와있어야 한다. 그에 덧붙여 노트정리를 잘한다. 이들의 부모들은 대개 공무원이다. 칼 출근, 칼 퇴근. 아주 간혹 연장근무 하는 공무원들에게 감사하며 이 글을 쓴다.
 
융통성이 좋은 학생들이 있다. 갑자기 예기치 않은 일이 닥치면, 대학 1·2학년 18살짜리들은 대개 경직되거나, 우왕좌왕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전혀 당황하는 기색 없이, 서둘러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뛰어난 임기응변을 보이는 이 학생들은 사업하는 집의 자녀들이다. 사업을 하다 보면, 언제나 불쑥불쑥 변수가 튀어나오게 마련인데, 그때마다 놀라 자빠지면 어떻게 사업을 하겠는가! 돈이 제때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도 다반사일 것이고, 엉뚱한 데에서 사고가 나거나, 예기치 않은 비용이 갑자기 발생하는 날도 얼마나 많을까. 사업하는 집의 자녀들은 웬만해선 놀라지 않는다.
 
학생들이 돈을 쓸 때도, 부모의 직업이 드러난다.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즉흥적인 그룹과 신중한 그룹.  
 
즉흥적인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은 자영업을 하는 집들이고, 대부분 현금이 매일 들어오는 비즈니스이다. 이들은 그때 그때 필요한 비용을 그냥 호주머니에서 주먹 꺼내듯이 소비하고, 돈 계산을 뭉치고 합산해서 큰 단위로 한다. 반면, (학생 수준에서의) 목돈을 사용해야 할 때, 작게 잘라서 날짜를 따져가며 쓰는 학생들은 월급받는 집의 자녀다. 이들은 회비를 내야 한다면, 미리 약간씩 몇 번에 나누어 저축해서 내고 특히 충동적인 소비를 하지 않는 편이다.
 
특이하게도, 기말고사를 준비하는 기간인데, 중간고사 이전 부분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하는 학생들이 있다. 누구라고 할 것 없이 기말고사가 코앞인데, 시험 범위에 포함되지도 않는 이미 지나간 부분을 다시 들추어 보는 학생은 매우 드물다.
 
이 드문 학생들의 부모는 교수이거나 연구원이다. 연구하는 부모를 둔 학생들은, 시험에 상관없이, 자신이 갖고 있던 기존의 지식과 새로 입력되는 지식 사이에서 비교, 대조, 검증하는 습관이 있다.
 
선생을 어려워하지 않는 학생들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어렸을 때, 선생님들은 화장실도 안 가는 걸로 오해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간혹 선생을 존경은커녕, 그냥 많은 인간들 중의 하나임을 아는 학생들이 있다.
 
말할 것도 없이 그들의 부모는 교사다. 그 학생들은 어렸을 때부터 선생인 아빠가 집에서 엄마한테 매일 혼나는 것을 보면서 컸을 것이고, 또는 선생인 엄마가 비이성적인 잔소리를 줄곧 하거나 쩨쩨하게 행동하는 것을 목도했을 것이다. 그러니 강단 위에 서 있는 저 선생도 흠 많은 인간 중의 하나라는 것을 아주 일찍 깨달았음에 틀림없다. 그런 학생에게 어설피 위엄을 세우려다가 오히려 아주 우스워질 수 있다.
 
어느 날, 새로운 종이 나타났다. 못 보던 부류의 학생들이 나타난 것이다. 그들의 특징은 지나치게 당당하다는 것이다. 한국에는 지각하는 학생들이 보여주는 공통된 행동패턴이 있다. 일단 강의실의 뒷문을 빠끔히 열고, 안의 분위기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교수가 호통을 치고 있거나, 돌발 시험을 보고 있는 등, 분위기가 경직되어 있는 것 같으면, 아예 포기하고 결석해 버린다. 강의실 분위기가 별문제 없는 것 같으면, 지각생은 일단 빈자리를 파악한다. 그리고 문을 열고 들어와 90도로 인사하고, 등을 숙인 채로 잽싸게 빈자리로 가서 앉는다.
 
그런데 그런 절차 없이 당당하게 문을 활짝 열고 들어와 시찰하듯 한 바퀴 쭉 둘러본 뒤, 고개를 ‘빳빳이’ 들고 마음에 드는 자리에 가서 착석하는 학생이 어느 날 나타났다. 나는 처음에 참 특이한 ‘싸가지’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런 학생들이 이후로 종종 나타났다. 이런 태도의 학생은 다른 학생들의 눈에도 놀라움이었다. 그런 류의 지각 학생이 처음 나타났을 때, 같은 강의실에 앉아 있던 모든 학생들의 뜨악한 표정을 나는 기억 한다: “쟤는 뭐지?”
 
그들은 군인의 아들딸들이다. 군인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사기가 떨어져서는 안 된다. 당당함은 그들의 생명이다. 비록 적군의 포로가 되더라도, 비굴해서는 안 된다. 잘못해서 벌을 받을지언정, 군인은 주눅 들어서는 안 된다. 바로 학교 근처로 육해공 삼사의 대학원과 군 시설이 옮겨왔고, 군인의 자녀들이 내가 근무하던 학교에 입학했던 해였다.
 
마지막으로 하나 더 희귀한 종이 있었다. 처음에는 나도 종잡을 수 없었는데, 매우 희귀한 직업군이라 숫자가 많지 않아서였다.  
 
학생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교수에게 작은 선물을 하곤 한다. 커피 한 잔일 수도 있고, 시집이나, 예쁜 책갈피, 또는 초콜릿, 꽃 한 송이 등이다. 그런 선물을 줄 때는 강의 시간 전에 몰래 교탁 위에 올려놓거나, 아니면 강의 끝나고 수줍게 ‘바치는’ 모습으로 주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마치 ‘하사하듯이’ 주는 학생들이 있다. 나는 요거트 한 개나 커피 캔 하나를 ‘의문의 권위’를 가진 학생으로부터 하사받았다. 그들은 성직자의 자녀이다. 신도 아닌 것이 인간도 아닌 것이, 하늘과 땅 사이 어느 중간에서 살면서, 인간을 계도하느라 몸에 밴 태도인 것 같았다. 하나님의 은총이 함께 하기를!
 
이 글을 마칠 즈음, 갑자기 도둑의 자녀는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그러고 보니, 나는 도둑의 자녀를 만나 본 적이 없다. 아, 하나가 빠졌다. 농부의 자녀! 그들은 대단히 정직하다. 그들의 뚝심은 쉬이 흔들리지 않는다. 농부의 아들이 한 번 아니라고 하면 그것은 진짜 아닌 것이다. 콩 심은데 팥 안 나는 것 맞다.
 
이 세상, 각자의 직업에서 열심인 모든 젊은이들, ‘화이팅!’

마리 송 / 시인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