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들에게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는 소셜연금은 현재 월평균 약 2000달러 수준이다. 많은 고령자들에게 소셜연금은 전체 은퇴 소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식료품과 유틸리티, 생활비 전반이 치솟은 지금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연금 제도에는 여전히 오해가 많다. 조기 수령을 하면 평생 감액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연금액이 줄어드는 여러 요인이 존재한다. 이로 인한 손실은 매달 수백 달러에 이를 수 있어 은퇴자들의 생활비 계획에 큰 차질을 줄 수 있다.
소셜연금은 은퇴 생활의 핵심 기반이지만 조기 수령뿐 아니라 소득 기준이나 메디케어 보험료, 세금 등의 영향으로 줄어들 수 있다.
소셜연금 감액 3대 요인
정년 이전에 연금을 받으면서 계속 일을 하면 '소득 심사(Earnings Test)' 적용을 받는다. 정년 전의 근로 소득이 올해 기준 연 2만3400달러를 넘을 경우, 초과하는 2달러마다 연금 1달러가 감액된다. 이 경우 근로소득만 계산하고 금융소득이나 은퇴계좌 인출액은 포함하지 않는다.〈표 참조〉
근로 소득 한도는 정년에 도달하는 해에는 6만2160달러로 올라가며 초과분 3달러마다 1달러가 줄어든다. 이 감액은 일시적이어서 정년 이후에는 다시 조정되지만 당장의 현금 흐름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수령자는 소셜연금에서 메디케어 파트 B(병원 진료) 보험료가 자동 공제된다. 현재 표준 보험료는 월 200달러 미만이지만 고소득자는 소득 관련 추가 보험료(IRMAA)가 적용돼 월 500달러 이상까지 오를 수 있다.
특히 메디케어 보험료는 2년 전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되므로 은퇴계좌에서 큰돈을 인출하거나 로스로 전환하면 나중에 보험료가 폭등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은퇴자 중에 소셜연금이 전액 비과세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의외로 많다. 실제로는 일정한 소득 기준을 넘으면 소셜연금의 85%까지 과세 대상이 된다. 조정총소득(AGI)과 비과세 이자, 연금의 절반을 합산한 결합 소득이 기준을 넘어서면 과세 대상이 되므로 잘 따져봐야 한다. 특히 IRA를 인출할 때는 소셜연금 소득과 합해져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이를 미리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다른 소득원과 함께 종합적인 은퇴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득이 부족하다면 세금 부담을 줄이면서 보완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62세 이상이 되면 현재 집에 살면서 주택 자산을 현금화하는 역모기지를 고려할 수 있다.
62세에 은퇴하는 대신 파트타임 일을 하면 소득도 보충하고 소득 기록을 높여 미래의 연금액을 늘릴 수 있다. 어뉴어티 등 금융상품을 활용하면 일정한 현금 흐름을 만들어 소셜연금을 보완하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