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은퇴 준비] 노후준비의 타이밍

“소셜연금은 언제 신청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까? 앞으로 금리가 내려간다고 하는데, 내 연금플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 질문에는 단순한 계산 이상의 타이밍의 중요성이 숨어 있습니다. 최근 미국 연방하원 세입위원회에서는 소셜연금 수령 나이에 관한 용어를 바꾸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제 조기수급(Early Eligibility Age)은 최소수급(Minimum Benefit Age)으로, 완전은퇴연령(Full Retirement Age)은 표준수급(Standard Benefit Age)으로, 그리고 연기은퇴(Delayed Retirement Age)는 최대수급(Maximum Benefit Age)으로 바뀌게 됩니다.   언뜻보면 단순한 명칭 변경처럼 보이지만, 이 변화는 매우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기존 용어인 조기수급은 빨리 받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인상을 주었지만, 실제로는 평생 수령액이 약 30%나 줄어드는 손해를 초래했습니다. 반면 최소수급이라는 표현은 최소한의 금액만 받게 된다는 인식으로 연금 청구 시기의 중요성을 더 명확히 전달합니다. 즉, 언제 연금을 받기 시작하느냐에 따라 평생 연금수령 총액이 수십만 달러까지 차이 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소셜연금만으로는 부족한 시대, 두 번째 연금이 필요해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논의 중인 은퇴연령을 높이자는 이슈를 감안하면, 앞으로 은퇴정년이 늦춰질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 은퇴정년 기준인 67세에서도 연금 수령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소셜연금만으로는 안정적인 노후생활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가장 대표적인 수단이 바로 보험사의 평생 인컴 어뉴이티(Lifetime Income Annuity) 입니다. 일명 ‘개인형 평생연금’으로 불리는 이 플랜은, 소셜연금처럼 죽을 때까지 매달 일정 금액의 생활비를 보장해 주는 개인 연금플랜입니다. 다만, 국가가 아닌 보험회사가 지급을 보장하고, 수령 시기와 금액을 본인이 직접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소셜연금은 노후재정 안정의 기초이지만, 그 위에 평생 인컴을 만들수 있는 개인 연금플랜을 더한다면 누구나 은퇴 후에도 돈 걱정 없는 삶을 이어갈수 있습니다.   지난 4~5년간 미국은 꾸준한 금리 상승기를 이어왔습니다. 이 시기를 통해 인컴 어뉴이티의 조건도 크게 향상되어서, 평생 지급금액을 정해주는 인컴 베이스의 Roll-up Rate이 무려 연 10%에 달했습니다. 이 말은, 현재의 조건으로 어뉴이티를 준비해두면 향후 인컴수령 개시 시점에서 10년안에 원금 이상의 수령이 가능할 정도로 수익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예로 65세에 25만 달러를 어뉴이티에 예치하고 5년 뒤(70세)부터 연금을 수령한다면, 매년 $29,874(월 $2,489)을 평생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10년 뒤(75세)로 연금수령을 좀더 미루면, 연간 $46,309(월 $3,859)으로 늘어납니다.(2025년 10월21일기준) 하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이 모든 수익구조가 현재의 금리를 기반으로 산정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연준이 예고한 대로 앞으로 금리가 인하되면, 이 Roll-up Rate과 Payout Rate(연금 지급률)이 함께 낮아지면서 지금과 같은 금액을 투자해도 받을 수 있는 평생 인컴이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또 하나 주목할 점은 Premium Bonus(프리미엄 보너스) 제도입니다. 이전에 보유한 어뉴이티 플랜을 새로운 조건의 계약으로 옮길 때, 옮겨오는 금액의 최대 10~25%를 일시불 보너스로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이전 금리가 낮았던 시기에 계약한 연금 어뉴이티를 지금의 좋은 조건의 계약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회이자, 이전 계약을 해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써렌더 차지(Surrender Charge)를 상쇄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과거에 가입해 놓은 어뉴이티가 있다면, 지금 시점에서 반드시 전문가를 통해 리뷰를 받아보는 것이 현명합니다.   현재의 어뉴이티 시장은 좋은 조건의 마지막 구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과거 저금리 시대에 가입한 연금플랜과 지금의 조건을 비교해 보면 평생 지급액의 차이가 30~40% 이상 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처럼 유리한 상황은 금리하락이 본격화되면, 곧 사라질수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이 바로 노후준비의 방향과 노후생활의 재정적 안정을 결정짓는 골든타임일지도 모릅니다. 평생연금 어뉴이티, 인댁스 어뉴이티, 롱텀케어 보험에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유투브 채널 “라이언의 내돈내산” 또는 웹사이트 (https://www.ryanblueanchor.com)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문의: (562)644-4560   라이언 우 / 블루앵커 재정보험은퇴 준비 연금 노후준비 retirement age 소셜 수령 평생 지급금액

2025.10.26. 19:00

70세까지 버티면 돈 더 받는다는데… 10명 중 9명은 ‘지금 당장’

근로자 10명 중 9명은 70세까지 기다렸다가 신청해야 소셜연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가장 흔한 재정 조언을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투자사 슈로더스가 지난 21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1500명 중 10%만 70세까지 기다릴 계획이라고 답했다. 100%를 받을 수 있는 67세 이전에 청구할 것이라고 밝힌 이들은 44%나 됐다.   슈로더스의 데브 보이든 미국 퇴직연금 부문 대표는 CBS뉴스와 인터뷰에서 추가 소득을 포기하는 것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고 분석했다. 보이든 대표는 "이번 조사에 따르면 70%는 '늦게 청구할수록 수령액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그 때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보이든 대표는 많은 은퇴자들이 개인 은퇴 자금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해 은퇴 즉시 소셜연금 수입이 필요하다고 현실을 강조했다. 이는 최근 많은 가계가 한 달 월급으로 한 달을 생활하는 상황과도 연관성이 있다.   또 다른 이유는 소셜연금의 불확실성이다. 보이든 대표는 "많은 이들이 기다리면 소셜연금 재원이 고갈돼 못 받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소셜연금은 급속한 고령화로 지출이 수입을 앞지르고 있으며 사회보장위원회는 현행 제도가 유지될 경우 2034년경 신탁기금이 고갈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다만, 신탁기금이 고갈돼도 연금 지급이 완전히 중단되는 것은 아니다. 근로자들의 보험료로 여전히 일정 수준의 재원이 확보되기 때문에 수급액이 약 20% 감액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현재 7000만 명 이상의 수령자에게 재정적으로 큰 타격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제도 보완으로 소셜시큐리티 세금 부과 상한선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는 연소득 17만6100달러를 초과하는 부분에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과세 상한을 올리면 재정 확보에 숨통이 트일 수 있다.   슈로더스 조사에 따르면 근로자들은 편안한 은퇴 생활에 필요한 소득으로 월 5032달러를 생각했다. 하지만 현재 은퇴자들의 실제 월 평균소득은 3250달러에 불과하다. 보이든 대표는 "이 격차는 근로자들이 훨씬 더 적극적인 은퇴 준비와 재정 설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소셜연금을 잘 모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얼라이언즈 미래은퇴센터가 최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 미국인들은 소셜시큐리티 제도나 자신이 받을 연금 액수를 잘 모른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20%는 "소셜연금만으로도 노후 생활이 가능하다"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는 소셜연금은 은퇴 전 소득의 약 40%만을 대체한다.   골드만삭스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젊은층도 은퇴 대비에 어려움을 겪는다. 젊은 세대의 75%는 "은퇴에 대비해 저축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주거비와 생활비 등 기본 지출이 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70세까지 기다리면 더 받는다'는 조언은 근로자 대부분에게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선택이다. 많은 이들이 제도의 원리를 알고 있지만 당장의 생활비와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에 조기 수령을 선택하고 있다. 단순히 몰라서가 아니라 불안정한 노후 재정 구조가 낳은 구조적인 문제다.   소셜연금은 62세부터 청구할 수 있지만 월 연금액이 약 30% 감소하며 이 금액이 평생 고정된다. 반면, 70세에 받으면 월 수령액이 30% 이상 증가해 이후 평생 더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62세에 신청하면 평생 총 18만2000달러를 적게 받는다.연금 소셜 소셜시큐리티 제도 소셜시큐리티 세금 소셜 재원

2025.10.26. 19:00

썸네일

‘생활비엔 턱없이 부족’… 소셜연금 고작 2.8% 인상에 한숨

내년 사회보장연금이 2.8% 인상되지만, 물가 상승률에는 미치지 못해 시니어들의 생활비 부담은 짓독될 전망이다.   사회보장국(SSA)은 2026년 생활비 조정(COLA)에 따라 내년 1월부터 연금 수령액이 평균 월 56달러가 오를 것이라고 지난 24일 밝혔다. 수령자들은 오는 12월 우편 또는 온라인 ‘마이소셜시큐리티(My Social Security)’ 계정을 통해 인상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인상률이 물가상승률보다 훨씬 낮아 많은 시니어가 생활고를 우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영리 시니어 권익단체 AARP가 9월 18일부터 23일까지 50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7%가 “COLA 인상률 3% 안팎으로는 생활비 상승을 따라가기 어렵다”고 답했다. 정당별로도 공화당 지지자의 75%, 민주당 지지자의 79%가 이에 동의했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자는 82%나 됐다.     사회보장 정책 분석가 메리 존슨은 “내년 메디케어 보험료 인상으로 상당수의 시니어가 COLA 인상 효과를 체감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인상률은 올해(2.5%)보다 다소 높지만, 여전히 물가 상승률 3%에는 못 미쳐 시니어들의 실질 구매력 회복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사회보장국은 매년 7월부터 9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W) 평균 상승률을 기준으로 COLA를 산정한다. 올해 CPI-W는 전년 대비 2.9% 상승해, 내년도 인상률이 이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준 기자연금 사회보장 시니어 생활고 사회보장 내년 cola 인상률

2025.10.26. 18:18

내년 소셜연금 2.8% 인상

내년 사회보장연금과 생계보조금(SSI)이 2.8% 오른다.   24일 사회보장국(SSA)은 물가상승률에 따른 ‘생계비 조정치(COLA)’에 따라 연금 생활자 약 7100만명과 SSI 수혜자 750만명이 각각 2026년 1월 1일과 2025년 12월 31일부터 2.8% 인상된 연금과 보조금을 받게 된다고 발표했다.     평균적으로 사회보장연금 혜택은 1월부터 매달 약 56달러씩 더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럴 경우 내년 1인당 월평균 사회보장연금은 2071달러로 추산됐다.     올해 생계비 조정치 비율은 2.5%였는데, 물가가 더 오른 만큼 조정 비율도 2.8%로 더 높아졌다는 것이 사회보장국의 설명이다.   하지만 필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사회보장연금 등에 의존하는 수혜자의 경우, 물가상승률이 충분히 반영되지는 못해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9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대비 3.0% 상승해 상승률이 생계비 조정치 비율보다 높기 때문이다. 미국은퇴자협회(AARP)에 따르면 노령 미국인의 약 40%가 주요 소득원을 사회보장연금에 의존하고 있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실질적인 인상 폭은 메디케어 파트B 보험료 인상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보험료가 사회보장 혜택에서 자동 공제되기 때문이다. 최근 연방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국(CMS)이 발표한 연례 재정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보험료는 11.6% 인상돼 월 206달러50센트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예측대로라면 사회보장연금 수급액이 적은 사람들은 파트B 보험료 인상으로 받을 수 있는 추가 혜택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김은별 기자연금 내년 내년 사회보장 내년 소셜 보험료 인상액

2025.10.26. 16:57

[보험 상식] 지수형투자성연금(RILA)

은퇴를 앞둔 이들에게 자산을 잃지 않으면서도 성장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은 중요한 전략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은퇴가 가까운 분들이나 이미 은퇴하신 분들은 포트폴리오의 40~50% 이상을 안전자산에 배분한다. 이는 시장 하락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은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전통적으로 이 안전자산은 채권이 담당해왔다. 하지만 최근 시장 환경에서 채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역사가 보여주는 교훈은 명확하다. 1973년부터 2023년까지 50년간 S&P 500의 6년 수익률을 분석하면 총 529개 기간 중 486번(92%)은 수익을, 43번(8%)만 손실을 기록했다. 6년 평균 수익률은 72.3%에 달했다. 장기 투자가 효과적이라는 증거다. 하지만 문제는 타이밍이다. 은퇴 직전이나 은퇴 초기에 시장이 크게 하락하면 회복할 시간이 부족하다. 이를 ‘시퀀스 리스크(Sequence Risk)’라고 하는데 같은 평균 수익률이어도 언제 손실을 겪느냐에 따라 최종 자산이 크게 달라진다.     30년 투자 기간이 남은 40대에게는 시장 하락이 매수 기회지만, 은퇴 첫해에 30% 하락을 겪으면 포트폴리오 회복이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RILA(Registered Index-Linked Annuity.지수형투자성연금)가 안전자산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RILA는 주가지수를 따라 성장하면서도 시장이 하락할 때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투자 상품이다. 가장 큰 특징은 투자자가 원하는 보호 수준(Buffer)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10만 달러를 투자하는 예를 들어보자. 20% 보호 옵션을 선택했다면 시장이 20%까지 하락해도 10만 달러는 그대로 보호된다. 시장이 25% 하락하면 5%만 손실을 보아 9만5000달러가 남는다. 반대로 6년 기간 수익 상한(Cap)이 100%로 설정된 경우 시장이 두 배로 뛰어도 최대 20만 달러까지만 받을 수 있지만 시장이 80% 상승하면 그 수익을 온전히 가져가 18만 달러가 된다.   이는 일반적인 채권 투자보다 훨씬 더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채권은 안정적이지만 수익률이 제한적인 반면 RILA는 시장 상승의 혜택을 더 크게 누릴 수 있어 안정성과 성장성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은퇴를 앞둔 투자자는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할까.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RILA 활용법을 살펴보자. 100만 달러 포트폴리오를 예로 들면 전통적으로는 주식 50~60만 달러, 채권 40~50만 달러로 구성한다. 이제 안전자산 부분에 RILA를 포함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새로운 구성은 주식 50만 달러, RILA 20만 달러, 채권 20만 달러, 단기 채권/현금 10만 달러다. 여전히 50%를 안전자산에 배분하지만, 그중 일부를 RILA로 대체한 것이다. 실행은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안전자산을 한 번에 바꾸지 말고, 처음에는 20만 달러만 RILA로 전환하고 다양한 보호 수준(10%, 15%, 20%)과 기간을 조합하여 분산 투자한다.   RILA가 모든 채권을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 단기 채권은 유동성 확보에, TIPS는 인플레이션 헤지에 여전히 필요하다. RILA는 원금 보호와 성장 참여를 동시에 제공하는 도구지만, 복잡한 구조를 포함하므로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의 은퇴 목표에 맞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의: (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아메리츠 에셋 파이낸셜 어드바이저보험 상식 연금 지수형투자성 평균 수익률이어도 시장 하락 채권 투자

2025.10.22. 18:02

콜로라도, 소셜연금만으로 은퇴생활 어렵다

    미국에서 약 2,200만명의 고령자가 소셜 시큐리티 베네핏(사회보장 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가운데, 모기지를 완납한 상태라도 이 소셜 연금만으로 생활비 전부를 충당할 수 없는 주는 무려 40곳에 달하며 콜로라도도 이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터닷컴은 최근 발표한 분석에서, 각 주별 평균 소득 대 소득 지출을 비교한 결과, 소셜 연금만 으로 생활하는 경우 모기지 페이가 필요없는 은퇴자조차도 40개주에서는 매년 적자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 소셜 연금만으로 생활비가 충당되는 주는 10개주에 불과했다. 이 분석은 각 주의 중앙값 소셜 시큐리티 수익과, 노인 경제 보장 표준 지수(Elder Economic Security Standard Index)에 의거한 기본 생활비를 비교해 산출한 것이다.   모기지 이자 부담이 사라진 상태라고 해도 주택 유지비(재산세, 보험, 공과금, 유지보수 비용 등)는 여전히 연간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 ‘숨겨진 비용(hidden costs)’이 은퇴자의 재정에 큰 부담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리얼터닷컴은 모기지 없이 사는 주들조차도 주택 유지비가 평균 월 약 510달러에 이르지만, 적자 주에서는 이 비용이 평균 933달러까지 치솟는다고 지적했다.         소셜 연금만으로 생활할 경우 연간 적자 폭이 가장 큰 주는 버몬트로 8,088 달러에 달했다. 그 다음은 뉴저지(-$7,512), 매사추세츠(-$7,345), 뉴욕(-7,248), 뉴햄프셔(-$6,564)의 순이었다. 이들 주에서는 주택 유지비가 월 1,000달러 이상으로 치솟는 경우가 많아 은퇴자들이 연금만으로 생활하기에는 부담이 매우 크다.  콜로라도의 경우도 적자를 보는 주에 속했으나 그 폭은 연간 -264달러에 그쳐 50개주 가운데 하위권에 속했다. 반면, 소셜 연금만으로 생활비를 감당하고도 흑자를 기록하는 주는 ▲델라웨어(연간 흑자 +$1,764) ▲인디애나(+$1,392) ▲애리조나(+$1,224) ▲유타(+$888) ▲사우스 캐롤라이나(+$828) ▲웨스트 버지니아(+$660) ▲앨라배마(+$576) ▲네바다(+$432) ▲테네시(+$156) ▲미시간(+$132) 등 10개주에 그쳤다.   이밖에 일리노이주는 연간 적자폭이 -3,192달러, 캘리포니아는 -2,868달러, 텍사스는 -2,292달러, 버지니아는 -1,596달러, 조지아는 -516달러, 플로리다는 -456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분석은 특히 모기지를 완납한 상태를 전제로 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즉, 주택 담보 대출금이 없더라도 유지비 부담이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또한, 분석 대상인 노인 경제 보장 표준 지수는 건강 상태, 거주 지역 비용 요인 등을 고려해 고령자의 최소 생활비 기준을 산출하는 지표이다.   한편, 이 조사 결과는 각 주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산출된 통계로 개인별 자산 규모, 부채 여부, 생활 방식, 건강 상태 등의 차이에 따라 실제 체감 수준은 달라질 수 있다고 리얼터닷컴은 전했다.  이은혜 기자연금 콜로라도 소셜 시큐리티 반면 소셜 결과 소셜

2025.10.14. 16:47

썸네일

소셜연금 받는 나이 명칭 바꾼다

소셜연금 수령 나이를 지칭하는 용어를 이해하기 쉽게 개정하는 법안이 연방하원 위원회를 통과했다.   연방하원 세입위원회는 '(소셜연금) 청구 연령 명확화 법안'을 지난달 초당적 합의로 41대 1로 통과시켰다. 이와 유사한 법안은 연방상원에서도 발의됐기 때문에 시행 가능성이 높다.   '명확화 법안'의 취지는 용어를 이해하지 못해 연금 수령 나이를 결정할 때 잘못 판단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법안이 시행되면 현재 사용되는 소셜 연금 수령 나이 지칭 용어는 공식적으로 다음과 같이 바뀐다. ▶62세는 현재의 조기 수급 연령(early eligibility age)에서 최소 수급 연령(minimum benefit age)으로 ▶66~67세는 현재의 완전 은퇴 연령(full retirement age)에서 표준 수급 연령(standard benefit age)으로 ▶70세는 현재의 연기 은퇴 연령(delayed retirement age)에서 최대 수급 연령(maximum benefit age)이 된다.   소셜연금을 언제 청구하느냐에 따라 평생 수령액이 달라져 은퇴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의회의 용어 변경 추진은 연금 신청 나이의 중요도에 비해 현재 사용하는 제도권의 용어가 혼란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국은퇴연구소가 최근 성인 18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보면 완전 은퇴연금을 받을 수 있는 정확한 나이를 알고 있는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21%에 불과했다.   양당정책센터의 에머슨 스프릭 은퇴?노동정책 국장은 이번 개정안이 "소셜연금 청구 관련 용어를 훨씬 명확하게 만드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스프릭 국장은 "조기 수급 연령이라는 말은 단지 62세부터 받을 수 있다는 뜻만 전달할 뿐, 실제 금액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는 설명하지 못한다"며 '최소 수급 연령'이라는 표현이 훨씬 직관적이라고 설명했다. 스프릭 국장은 "이러한 변화는 실제 청구 나이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은퇴 후 평생 재정 안정성에 중대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행 규정을 보면 1959년 이후 출생자는 67세가 돼야 소셜연금을 100% 받을 수 있다. 이 연령을 사회보장청은 완전 은퇴 연령이라고 부른다. 현재 소셜연금 수령을 시작할 수 있는 나이는 62세부터지만 이 경우 평생 30% 줄어든 연금을 받게 된다. 반대로 70세까지 수령을 늦추면 매년 8%씩, 최대 24%까지 연금액이 늘어난다.   원래 완전 은퇴 연령은 66세였으나 1983년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개혁의 일환으로 67세로 높였다. 최근 다시 재정위기가 불거지자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은퇴연령 상향 검토 제안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18일에는 프랭크 비시그나노 사회보장청장이 은퇴 연령 상향 가능성을 언급했다가 곧바로 부인했다. 연금 관련 용어 변경 추진은 연령 상향 의제와 맞물려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은퇴 연령 상향은 미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특히 복지 예산 비중이 높은 선진국에서 빈번히 거론되고 있고 덴마크는 최근 70세로 상향했다. 하지만 미국은 소득과 교육 수준에 따른 기대수명 격차가 크고 빈곤율이 높아 덴마크 상황과 다르다는 지적도 있다. 스프릭 국장은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고학력자와 저학력자 사이의 수명 격차 때문에 일률적인 연령 상향은 불평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은퇴 연령이 올라가면 62세 이후 더 기다릴 수 없는 계층은 수령액이 더 줄어들 수 있다. 은퇴 연령을 1년 올릴 때마다 연금은 7%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양당정책센터도 이를 고려해 기본 최소 연금을 신설하거나 저소득층의 대체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대체율은 은퇴자가 은퇴 후 받게 되는 연금 소득이 은퇴 직전이나 경제활동 기간 중 벌었던 소득의 몇 퍼센트를 대체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안유회 객원기자연금 소셜 수급 연령 청구 연령 수령 나이

2025.10.12. 19:20

썸네일

소셜연금은 2.7%, 파트B 보험료는 12% 인상

내년 소셜연금 생활비조정 인상률(COLA)이 2.7% 수준이 될 것이라고 시니어시티즌리그(TSCL)가 전망했다. 다만 9월 물가가 예상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0.1%p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은퇴자의 평균 소셜연금 월 수령액은 약 2000달러다. 2.7% 인상률이 적용될 경우, 내년부터 월 2054달러를 받는다.   65세 미만의 수급자는 인상분을 전액 받지만 65세 이상은 메디케어 파트 B 보험료를 소셜연금에서 자동 공제하는 경우 실질 인상 폭은 작아질 수 있다.   현재 파트 B 보험료는 대부분의 은퇴자 기준 월 185달러다. 그러나 내년에 예상대로 약 206.50달러로 오르면 인상률은 12%나 된다. 현재 월 2000달러를 받는 수급자가 185달러의 보험료를 내고 있다면 실수령액은 1815달러다. 내년에 COLA 인상으로 명목상 수령액이 2054달러로 오르더라도 보험료가 206.50달러로 인상되면 실질 수령액은 1847.50달러에 그친다. 결과적으로 월 32.50달러로 명목 인상분 54달러보다 40% 가까이 줄어든다.   전문가들은 COLA 인상이 생활비 상승을 충분히 따라잡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특히 고령층이 체감하는 의료비와 주거비, 식료품 등 특정 품목의 물가 상승률은 전체 물가보다 훨씬 많이 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COLA 인상률이 2.7%에 머물 경우, 명목상 연금액은 늘더라도 실제 구매력은 여전히 감소할 수 있다.   결국, 수급자들이 내년 재정 계획을 세울 때 COLA 인상률뿐 아니라 메디케어 보험료 인상 폭과 고령층 특유의 생활물가 상승률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COLA 공식 발표가 늦어질 수 있다. 사회보장국은 9월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발표된 이후인 15일 최종 인상률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9월 CPI 발표가 지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COLA 발표가 지연돼도 소셜연금은 기존 일정대로 지급한다. 사회보장제도는 의회의 연간 예산과 별도로 운영되는 재원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연금 보험료 cola 인상률 메디케어 보험료 생활물가 상승률

2025.10.12. 19:20

안정적 주식·ETF<상장지수펀드>는 유지…불경기 은퇴 후 재테크 전략

은퇴를 앞두고 평생 모은 자산을 지키는 일은 누구에게나 가장 큰 과제다. 그러나 최근 전문가들은 “노후 자산을 위협하는 가장 큰 변수는 인플레이션”이라며, 은퇴자들이 반드시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일단 주식 비중을 완전히 줄이는 것은 좋지 않다는 권고가 가장 앞선다.     은퇴자들에게는 위험 요소를 줄이기 위해 주식 투자 비중을 줄이라는 조언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주식을 모두 정리할 경우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하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은퇴 후에도 일정 부분 주식 비중을 유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안정적인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이나 배당 이력이 탄탄한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는 꾸준한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다만 주식은 전체 포트폴리오 중 일부로 유지하고, 나머지는 채권과 현금으로 분산해 위험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시니어들은 또한 의료비 상승에도 별도의 준비가 필요하다.     의료비는 일반 물가보다 더 빠르게 오르는 대표적인 지출 항목이다. 은퇴자들의 의료비 지출 규모가 젊은 세대보다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료비를 위한 별도 대비가 필수적이다. 전문가들은 근로 시절부터 건강저축계좌(HSA)에 꾸준히 자금을 적립하고, 단기 지출 대신 은퇴 이후 의료비에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 이는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부담을 크게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설명이다.   그 다음으로는 소셜 연금 최적 시점 찾는 것이 중요하다.     소셜 연금은 은퇴 생활의 든든한 안전망이지만, 수령 시점에 따라 금액 차이가 크다. 62세부터 조기 수령이 가능하지만 정년 수령 시점까지 기다리면 감액을 피할 수 있고, 70세까지 연기를 선택하면 매년 8%씩 수령액이 늘어난다. 소셜 연금은 매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조정되기 때문에, 수령액이 많을수록 인플레이션에 대한 방어 효과도 커진다. 이는 저축액 인출 부담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초과하는 자산에 더 오래 투자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다만 개인적인 생활과 재정 조건에 맞춰 최적의 시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은퇴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은 피할 수 없는 위험이지만, 올바른 전략만 세운다면 은퇴 생활의 불안 요소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노후에는 돈 걱정보다 삶의 질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인성 기자연금 상장지수펀드 은퇴 생활 주식 투자 주식 비중

2025.10.12. 19:00

전국 최대 연기금 ‘캘퍼스’ 한인 준 김, 부책임자 임명

가주공무원연금기금(캘퍼스·CalPERS)에 한인이 고위직으로 임명됐다.   캘퍼스는 운용 자산만 5560억 달러에 달한다. 약 200만 명의 주·지방정부 공공기관 직원들의 연금을 관리하는 미국 최대 규모의 공무원 연기금이다.   캘퍼스는 지난 8일 투자 전문가 준 김(June Kim·사진)씨를 공공시장 투자 부문 부책임자(Deputy Chief Investment Officer)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오는 12월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한다. 김씨는 최근까지 가주교원연금(캘스터스·CalSTRS)에서 총괄 투자관리 선임이사로 재직했다. 2014년부터 캘스터스에서 글로벌 주식 투자이사와 공동 부최고투자책임자를 맡아 10년간 투자 전략을 총괄했다. 이보다 앞서 LA카운티공무원연금(LACERA)에서 주식 부문 수석 투자담당관, LA시에서 투자담당관으로도 근무한 바 있다.   김씨는 “캘퍼스의 일원이 되어 가주를 위해 헌신해온 이들의 안정적인 노후를 책임지는 중요한 일을 이어가게 돼 뜻깊다”며 “회원들의 재정적 미래를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명이며, 그 약속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캘퍼스는 1932년 가주 정부 공무원들을 위한 연금으로 출발했다. 이후 1939년 공공기관과 지방정부 공무원까지 가입 대상을 확대하면서 전국 최대 규모의 연기금으로 성장했다. 캘퍼스는 막대한 운용 자산 규모로 인해 특정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늘어나면 실적과 관계없이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는 ‘캘퍼스 효과(CalPERS Effect)’라는 용어까지 낳았다. 정윤재 기자미국 연금 공공시장 투자 공무원 기금 한인 투자

2025.10.09. 20:47

썸네일

“내 돈이 거기 있었네?”… 잊혀진 401(k) 자산 2조 달러 돌파

국내 근로자들이 방치하거나 잊어버린 401(k) 은퇴 계좌 잔액이 2조 달러를 넘어섰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이는 총 3190만 개 계좌, 평균 잔액 6만6691달러 규모로 전체 401(k) 자산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 은퇴자 4명 중에 평균 한 명은 자기 계좌를 활용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달 30일 은퇴저축 플랫폼 캐피털라이즈(Capitalize)가 보스턴칼리지 은퇴연구센터와 함께 발표한 해당 보고서는 ‘잊혀진 401(k) 계좌의 진짜 비용’이라는 제목 아래 직장 이동 시 제대로 이전되지 못한 은퇴자금의 문제를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잊혀진 401(k) 자산 규모는 2023년 1조7000억 달러에서 올해 2조1000억 달러로 불과 1년 만에 4000억 달러 이상 늘었다.   가우라브 샤르마 캐피털라이즈 최고경영자(CEO)는 “이 문제는 은퇴자금 부족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라며 “많은 근로자들이 계좌 존재조차 모르거나 관리하지 않고 방치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민간 부문 근로자의 72%가 401(k) 등 퇴직연금 제도에 접근할 수 있으며, 실제 참여율은 53%로 꾸준히 상승 중이다. 하지만 직장을 옮길 때 계좌를 이전하지 않으면 자산이 사실상 ‘잊혀진 돈’이 되기 쉽다.   보고서에 따르면 방치된 401(k) 계좌는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고용주가 일방적으로 현금화하거나, 저금리 계좌로 강제 이전해 장기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관리되지 않는 계좌는 수수료가 발생하며, 여러 개로 흩어져 있을 경우 자산 배분 추적도 어렵게 된다.   앤치 첸 보스턴칼리지 연구센터 부국장은 “많은 사람이 단순히 계좌를 잊거나 몰랐을 뿐인데, 결과적으로 은퇴자금 손실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문제의 근본 원인 중 하나는 이전 절차가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점이다. 캐피털라이즈 조사에 따르면 401(k) 계좌를 원활히 이전한 사람은 대상자 중 22%에 불과했고, 42%는 두 달 이상 걸렸다고 답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22년 민간 퇴직연금 제공업체들이 소규모 계좌 자동 이전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잔액 7000달러 이하 계좌를 새로운 고용주의 퇴직연금으로 자동 이관해 현금화나 방치를 줄이려는 시도다.   전문가들은 방치된 401(k)를 찾기 위해 다음 절차를 권한다.   미청구 은퇴자산 등록부(National Registry of Unclaimed Retirement Benefits)를 검색하거나, 노동부 퇴직연금 찾기 데이터베이스 또는 주·연방 미청구 자산 사이트(MissingMoney.com) 확인하면 좋은 시작이 될 수 있다. 동시에 과거 고용주 인사부나 퇴직연금 운용사에 직접 문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편, 401(k)는 은퇴 자산의 핵심 축이지만, 관리 부주의와 제도적 복잡성이 겹치며 수조 달러의 ‘유령 자산’을 양산하고 있다.   최인성 기자연금 은퇴 보스턴칼리지 은퇴연구센터 은퇴자금 손실 은퇴 계좌

2025.10.08. 0:31

썸네일

[중앙칼럼] 소셜 연금 고갈 위기, 노후 대책은

1930년대 미국, 월스트리트의 주가 폭락으로 시작된 대공황은 경제를 송두리째 흔들었다. 은행은 줄줄이 파산했고 실업률은 25%까지 치솟았다. 농부들은 땅을 잃고 도시로 떠돌았고 도시는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실직자들로 넘쳐났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사람들은 노인이었다. 당시에는 연금제도가 없어 일자리를 잃으면 소득이 끊겼다. 가족에게 얹혀살거나 자선단체 무료 급식소에 줄서야 했고 일부는 빈민원이라 불리던 공공 수용소에서 말년을 보냈다. “늙었다는 이유로 인간다운 삶을 누리지 못한다”는 분노가 커졌고 정치권에는 근본적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때 등장한 인물이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이다. 그는 “국가는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할 의무가 있다”고 선언하며 뉴딜 정책을 추진했다.   그 핵심 가운데 하나가 1935년 8월 14일 제정된 사회보장법이다. 이 법은 미역사상 처음으로 연방정부가 국민의 노후 소득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겠다고 약속한 제도였다. 근로자가 일할 때 세금을 조금씩 내고 은퇴 후 그 돈으로 연금을 받는 방식이었다. ‘일한 만큼 늙어서도 보장받는다’는 개념은 당시로써는 혁명적이었다.   반대도 있었다. “정부가 개인의 삶에 과도하게 개입한다”는 비판이 제기됐지만, 대공황의 상처는 너무 깊었다. 대다수 국민은 최소한의 안전망이 필요하다고 동의했고 소셜 연금은 결국 안착했다.   1940년 첫 번째 연금 수령자는 아이다 메이 풀러였다. 당시 65세였던 그는 월 22.54달러를 받았다. 이후 1975년 100세가 될 때까지 총 2만2888달러 이상을 수령했는데 평생 세금으로 낸 돈은 약 24달러에 불과했다. 그가 매달 받은 수표는 “정부가 나의 노후를 책임진다”는 새로운 시대의 상징이었다.   그후 소셜 연금은 세대를 넘어 미국 사회의 기둥이 됐다. 제2차 세계대전, 1970년대 인플레이션, 2008년 금융위기 때도 이 제도는 흔들림 없이 작동했고 수많은 노인을 빈곤에서 지켜냈다.   그러나 90년이 지난 지금 소셜 연금은 다시 구조적 한계와 마주하고 있다. 평균 수명은 80세에 육박하고 은퇴 후 20~30년을 더 살아야 하는 시대가 됐다. 출산율은 낮아지고 퇴직자는 급격히 늘면서 사회보장국(SSA)은 2034년이면 신탁기금이 고갈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약 24% 자동 삭감 전망이 나오면서 급여세 인상, 은퇴 연령 상향 검토 등도 거론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많은 노인이 여전히 연금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소셜 연금은 원래 근로소득의 일부만 대체하는 기초 안전망으로 설계됐다. 최근 생활비가 오르면서 노후에 소셜연금만으로 살기 빠듯해졌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노후의 불안을 더욱 증폭시켰다. 저축을 꺼내 쓰거나 은퇴연금을 조기 인출하는 경우도 흔하다. 관세 인상 같은 외부 요인이 물가를 다시 끌어올리면 은퇴자의 실질 소득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 현실은 은퇴 준비 방식의 대전환을 요구한다. 최근 50대 이후에도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격증을 취득해 파트타임이나 컨설팅 형태로 소득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연금 수령 시기를 늦추면 매달 받는 금액이 많이 늘어나므로 은퇴 시점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재정에 도움이 된다.   자산 운용 전략도 달라져야 한다. 예금만으로는 인플레이션을 따라잡기 어렵다. 배당주, 인덱스 펀드, 리츠(REITs) 등 장기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자산에 눈을 돌려야 한다.   소셜 연금은 여전히 든든한 기둥이다. 그러나 그 하나만으로는 집을 지탱하기 어렵다. 커리어를 재설계해 더 오래 일할 준비를 하고, 자산을 다각화해 추가 소득원을 만들며, 건강을 관리해 의료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   루즈벨트 대통령이 90년 전 세운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 연금 고갈까지 남은 시간은 10년도 채 되지 않았다. 준비는 지금 시작해야 한다. 이은영 / 경제부 부장중앙칼럼 연금 소셜 노후 소득 그후 소셜 은퇴 시점

2025.09.30. 18:41

썸네일

소셜연금 개혁, 은퇴연령 상향 언급까지

사회보장제도의 재정 고갈이 7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은퇴 연령 상향 논의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프랭크 비시그나노 사회보장청장은 지난 19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은퇴 연령 상향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모든 것이 검토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어떠한 변화도 의회의 입법이 필요하며 제도의 미래를 결정할 충분한 시간이 있다"고 덧붙이기는 했지만 은퇴 연령 상향도 검토하고 있다는 발언이다.   이 발언은 곧바로 은퇴 연령 상향이 실제 논의 중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이를 의식한 듯 사회보장청은 몇 시간 뒤 공식 SNS 계정에 "은퇴 연령 상향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라는 비시그나노 청장의 입장문을 게시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나는 사회보장제도를 언제나 지키고 결코 삭감하지 않을 것"이라며 "낭비와 사기, 남용을 줄이는 개혁을 통해 제도의 건전성을 강화해왔다"라고 강조했다.   곧바로 부인하긴 했지만 "모든 것이 검토되고 있다"는 발언을 일종의 시그널로 해석하는 언론과 정책 전문가들이 적지 않다. 기금 고갈 전망과 제도 개혁에 대한 보고서들이 잇달아 나오는 상황에서 전면 부인이 아니라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시그널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   반응이 이렇게 예민한 것은 소셜연금 지급 불능 문제가 재정 문제를 넘어 수천만 명의 은퇴 생활을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사회보장제도의 주요 신탁기금인 노령.유족보험(OASI)과 장애보험(DI) 기금 고갈 우려가 커진 것은 근로자 대비 은퇴자 비율이 급격히 낮아진 데 따른 것이다. 1950년에는 은퇴자 1명을 16.5명의 근로자가 부양했지만 1985년에는 3.3명으로, 2013년에는 2.8명으로 줄었다.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사회보장 수급과 납부에 연관된 인구는 2024년 3억4200만 명에서 2054년 3억83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저출산으로 2040년 이후 인구 증가분은 이민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돼 납세자와 수급자 사이의 균형이 조정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신탁기금이 고갈되면 소셜연금은 법에 따라 급여세 수입에 맞춰 자동으로 삭감된다. 현재 전망치로는 소셜연금은 약 24% 삭감된다. 이를 해소하려면 급여세를 영구적으로 3.65%포인트 인상해야 한다는 추정치도 제시됐다.   전망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세금 인상이나 급여 상한 조정 같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대안들이 거론되기 시작했고 급기야 은퇴 연령 상향 검토 이야기도 나왔다.   비시그나노 청장은 은퇴 연령 외에도 소득 상한 조정이 논의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사회보장 급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상한선은 연소득 17만5000달러다. 비시그나노 청장은 "상한선이 앞으로 계속 상향될 것"이라며 "이 또한 고려해야 할 요소"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아직은 위기 버튼을 누를 때가 아니다. 8년은 긴 시간이며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비시그나노 청장은 "사회보장제도의 고갈을 막으려면 트럼프 행정부와 의회가 함께 '실질적인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며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구체적인 해법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은퇴 연령 상향 외에도 여러 대안이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급격히 증가한 은퇴 인구는 아이러니하게도 단기적으로는 미국 고용시장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한 달간 신규 고용은 2만2000명에 불과했지만 실업률은 4.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은퇴자가 늘면서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인구가 증가해 구직자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매쿼리의 데이비드 도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946년생 베이비붐 1세대가 올해 80세에 접어들었고, 막내 베이비붐 세대도 이미 60대에 들어섰다"며 "이 거대한 세대가 노동력 증가를 제약하는 동시에 단기적으로는 실업률을 억제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기적으로 고령화는 사회보장제도의 재정 건전성과 노동력 공급에 큰 부담을 주겠지만 단기적으로는 고용 지표를 안정시키는 양날의 검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안유회 객원기자연금 은퇴연령 은퇴 연령 비시그나노 청장 은퇴자 1명

2025.09.28. 18:30

썸네일

사회보장연금 지급 연령 상향 ‘꿈틀’

향후 약 9년 후 다가올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의 재정 고갈을 대비하기 위한 일환으로 연금 수령 나이 상향을 포함한 대대적인 개혁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회보장청(SSA) 프랭크 비시그나노 청장은 최근 FOX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소셜연금 재정 고갈을 예방하기 위해 전반적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며 다양한 측면에서 구조 개편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음을 언급했다.   SSA에 의하면 노령.유족연금(OASI)과 장애연금(DI)을 운영하는 두 개의 신탁기금은 2034년 재정이 바닥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데, 이는 근로자 대비 수령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만약 기금이 고갈되게 되면, 연방 정부는 지급액을 대폭 삭감하거나 세금 인상을 단행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된다.   연방예산위원회(CRFB)는 사회보장제도의 오랜 재정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급여세율은 3.65%포인트 올려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빠른 시일내에 트럼프 행정부와 연방 의회가 실질적인 구조 개혁안을 만들지 못하면 연금 수급자들이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비시그나노 청장은 말했다. 한인 시니어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6700만 명 이상이 연금을 수급하고 있는 데, 이번 개혁 논의는 앞으로 퇴직을 앞둔 사람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칠 사안으로 주목돼 관심을 끌고 있다.   김성한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사회보장 사회보장 지급 재정 고갈 비시그나노 청장

2025.09.28. 11:04

썸네일

연방정부 셧다운, 조지아에 어떤 영향 미치나?

연방 의회가 예산 협상을 타결짓지 못하면  10월 1일 0시부터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정지)이 시작된다. 특히 이번 셧다운은 과거 단기적 셧다운과는 달리 더 오래 지속되고,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은 이번 주 정부 각 기관에 보낸 메모에서 임시 예산안이 시행되지 않을 경우 단순한 ‘무급휴직’이 아니라 대규모 해고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량 해고’ 경고가 정치적 압박 전술이라고 비판했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은 첫날부터 연방 공무원을 해고하며 공포정치를 해왔다”며 “이는 정부 운영과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도 “트럼프와 극우 마가(MAGA) 세력은 10월 1일부터 연방 직원을 대량 해고하려 하고 있다. 이는 서민 가정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경고했다.   조지아주에는 작년 기준 약 13만 명의 군인과 연방 기관 소속 민간 직원이 근무하고 있었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연방 정부 고용 축소와 지출 삭감에 따라 이미 그 수는 상당히 줄어든 상태다.   셧다운이 장기화되면 조지아가 받는 연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연방 보조금과 지원금도 일정기간 차질을 빚는다. 그럴 경우 교육, 교통, 농업, 재난 구호 분야의 예산이 점차 고갈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셧다운이 시작되면 대부분의 연방 직원은 무급휴직에 들어가지만, 필수 인력은 급여가 중단된 상태에서도 근무를 이어가야 한다. 이후 셧다운이 끝나면 밀린 급여를 정산해 받는다. 필수 인력에는 연방 의료시설 종사자, 공항 요원, 법집행기관 요원, 군인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이번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필수인력의 범위를 어떻게 정할지 미지수다.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사회보장연금, 푸드스탬프 등에 필요한 자금은 수개월간 유지된다. 다만 서비스 지연, 신규 가입과 변경 절차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연방 정부가 운영하는 박물관, 역사 유적지, 관광지 등은 폐쇄되거나 부분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공원 관리인은 필수 인력이 아니어서 화장실 폐쇄 등의 불편이 예상된다. 김지민 기자연금 연방정부 연방정부 셧다운 이후 셧다운 이번 셧다운

2025.09.26. 17:25

썸네일

모기지 끝나도 적자… 시니어들 소셜 연금에 불만

소셜 연금을 받는 대부분의 은퇴자들이 모기지 페이먼트가 끝난 뒤에도 사실상 적자 살림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자 시니어들은 소셜 연금 지급액은 물론, 물가 인상분 산정 기준에 대해서도 큰 불만을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포털인 리얼터닷컴이 시니어 연구기관인 ‘노년 경제 지표’가 올해 초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국내 무려 41개 주에서 모기지 완납 시니어들이 소셜 연금을 받아도 적자 생활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큰 주거 비용 부담인 모기자 페이먼트가 없음에도 연금만으로는 생활이 어렵다는 뜻이다.  시니어들의 살림이 가능한 곳은 델라웨어(연 1764달러 흑자), 인디애나, 애리조나, 유타, 사우스 캐롤라이나, 웨스트버지니아, 앨라배마 등 9곳이었다. 〈표 참조〉     반면 가장 적자 폭이 가장 심한 곳은 버몬트로 연간 8088달러의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들의 집중 거주 지역인 가주는 연평균 2868달러, 뉴욕은 7248달러, 뉴저지는 7512달러, 버지니아는 1596달러, 조지아는 516달러의 적자를 보였다.     물가가 높고 부대 비용이 많이 드는 곳일수록 큰 적자 폭을 보인 셈이다. 동시에 매년 소셜 연금의 상승폭이 물가 상승의 속도를 절대적으로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 것이다.     이와 같은 현실 탓에 당연히 소셜 연금의 대한 불만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비영리단체인 ‘시니어시티즌연맹(TSCL)’이 지난 6월 발표한 2025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분의 2 가까이가 매달 수령하는 연금액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특히, 올해 적용된 물가인상분(COLA) 2.5%에 대해 무려 94%가 ‘너무 낮다’고 응답했으며, 연금 증가 속도가 실제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압도적이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2024년 실제 체감 물가 상승률을 3%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정부 공식 통계보다 매우 높게 나타난 수치다.   현행 COLA는 ‘도시 임금근로자 소비자물가지수(CPI-W)’를 기준으로 산정되는데, TSCL은 이를 시니어들에 맞춘 ‘고령층 소비자물가지수(CPI-E)’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응답자의 68%가 CPI-E 기준 적용을 지지했다.   셰넌 벤턴 TSCL 디렉터는 “수년간 시니어들은 연금이 물가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호소해왔다”며, “만약 시니어 5명 중 4명이 정부 통계보다 물가가 높았다고 느낀다면, 정부 수치가 아니라 COLA 산정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니어들은 또한 후세대의 연금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사회보장세 부과소득 상한선 폐지를 가장 선호하는 대안으로 꼽았다. 현재 사회보장세는 일정 소득 이상부터 부과되지 않는데, 이로 인해 “고소득층이 공정하게 기여하지 않는다”는 불만이 제기돼왔다.     벤턴 디렉터는 “사회보장제도 축소는 불가능하다”며, “시니어의 4분의 3 가까이가 연금에 절반 이상 생계를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혜택을 줄이는 것은 수백만 명을 빈곤으로 내모는 일”이라고 경고했다.   TSCL은 분석 보고서는 정책 결정자, 시민사회, 그리고 일반 모든 국민이 고령층의 현실을 외면하지 말고, 존엄·존중·안정을 기반으로 한 제도적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62세 이상 사회보장연금 수급 자격을 갖춘 국내 시니어 30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 중 1920명의 응답이 분석에 활용됐다. 조사는 올해 1월부터 3월까지였다.   최인성 기자연금 모기 물가 상승률 고령층 소비자물가지수 모기지 페이먼트

2025.09.23. 23:47

썸네일

은퇴 후 메디케어 보험료, 소득 따라 두세 배 뛴다

많은 사람들이 은퇴하면 건강보험료 부담이 줄어들거라 기대한다. 직장 시절 사보험료나 개인 건강보험료와 비교하면, 메디케어 파트 B 기본 보험료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는 은퇴자는 상황이 달라진다. 매달 내는 보험료가 기본료의 두세 배로 늘어나고, 연간으로는 수천 달러 이상 더 빠져나갈 수 있다. 이 추가 비용이 바로 IRMAA다. 문제는 이 돈이 소셜시큐리티 연금에서 자동으로 공제되기 때문에 생활비에서 빠져나간다는 점이다. 은퇴 생활을 계획할 때 IRMAA를 고려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큰 재정적 압박을 받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IRMAA를 정확히 이해하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IRMAA란 무엇인가?   은퇴 후 메디케어에 가입하면 누구나 파트 B와 파트 D 보험료를 내야 한다.     그런데 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기본 보험료에 추가로 붙는 할증이 있다. 이것이 바로 IRMAA(Income-Related Monthly Adjustment Amount)다. 쉽게 말해, 고소득 은퇴자일수록 메디케어 보험료가 더 비싸지는 구조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IRMAA가 단순히 은퇴 후 소득뿐 아니라 과거 소득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이다. 사회보장국(SSA)은 보험료를 산정할 때 보통 2년 전 세금보고 자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024년 보험료는 2022년 세금보고 소득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미 은퇴했더라도 직장생활을 마치기 직전 몇 년의 소득이 높으면 은퇴 초기에 IRMAA 부담을 크게 느낄 수 있다.   또 하나 주의할 점은 IRMAA가 MAGI(수정 조정 총소득)를 기준으로 계산된다는 사실이다. 여기에는 일반 과세소득뿐 아니라 비과세 이자소득 같은 항목도 포함된다. 즉, 세금상 소득이 아닌 줄 알았던 항목까지 IRMAA 산정에 영향을 준다.   ▶IRMAA 부담 정도는   기본 보험료만 내는 경우라면 메디케어 파트 B는 월 $174.70, 파트 D는 플랜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월 $30~$40 선에서 끝난다. 그러나 소득이 기준을 넘어서는 순간 보험료는 가파르게 올라간다.   예를 들어 개인 소득이 $110,000인 경우, 파트 B 보험료는 $244.60으로 늘고 파트 D 할증은 $45.90이 붙는다. 합치면 매월 약 $290, 즉 1년이면 $3,500 이상이 추가된다. 소득이 $135,000으로 올라가면 월 $415, 연간 $5,000에 가까운 추가 부담이 된다. 부부 합산 소득이 $300,000인 경우 두 사람 합쳐서 매월 $831, 연간 $10,000이 넘는 돈이 IRMAA로 빠져나간다. 개인 소득이 $400,000을 넘으면 월 $666, 연간으로는 $8,000 가까운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이 돈은 따로 청구서로 오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소셜시큐리티 연금에서 자동 공제된다. 그래서 체감이 더 크다. 연금이 줄어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생활비 여유가 예상보다 줄어드는 경우가 많다.   ▶조정과 이의제기 방법   IRMAA가 무조건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득이 갑자기 줄어드는 상황이 생기면 재산정을 요청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은퇴, 배우자 사망, 이혼, 소득 급감 같은 상황이다. 이런 경우에는 SSA-44라는 양식을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세금보고 오류가 있었거나 일시적으로 소득이 급등했을 때도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따라서 IRMAA가 부과되더라도 본인의 상황을 잘 설명하고 필요한 서류를 갖추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IRMAA 줄이는 주요 전략   IRMAA는 결국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소득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관건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대표적인 전략이 있다.   먼저 Roth 전환 전략이다. 전통 IRA 자산을 Roth IRA로 옮기면 전환 시점에는 소득이 커지지만 향후 인출은 과세소득에 포함되지 않는다. 은퇴 이후 필요한 생활비를 Roth에서 인출하면 IRMAA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전환 시점에 소득이 급등하면 오히려 IRMAA가 튈 수 있으므로 은퇴 직후 소득이 낮은 해에 나눠서 실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은 소득 분산이다. 큰 금액을 한 해에 몰아 인출하면 MAGI가 튀어 오르고 IRMAA도 즉시 상승한다. 따라서 여러 해에 걸쳐 인출을 나누는 방식으로 소득을 균등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외 HSA와 같은 세금우대 계좌 활용, IRA에서 ‘Qualified Charitable Distribution(QCD)’을 활용한 기부 전략, 세금 효율적인 ETF나 뮤추얼펀드를 활용하거나 손실 상쇄(Tax-loss harvesting)를 통해 과세소득을 줄이는 투자전략 조정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IRMAA를 낮출 수 있다.     은퇴나 배우자 사망 같은 이벤트가 생기면 바로 SSA에 보고해 재산정을 요청하는 것도 중요하다.   ▶연금 활용 전략   연금은 IRMAA 관리에도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연기형 연금을 활용하면 소득을 뒤로 미룰 수 있고 Roth 기반 연금은 인출 시 세금이 없어 IRMAA에도 잡히지 않는다.     특히 소득을 일정하게 분산하는 ‘소득 스무딩 전략’에 연금은 효과적이다. 여러 개의 연금을 Laddering 방식으로 가입해 시작 시점을 달리하면 매년 안정적인 수준의 인출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특정 해에 소득이 갑자기 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QLAC(Qualified Longevity Annuity Contract)를 이용하면 전통 IRA나 401(k)에서 의무인출(RMD)을 85세까지 미룰 수 있어 70대 중반~80대 초반의 IRMAA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IRMAA는 고소득 은퇴자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숨은 비용이다. 매달 수백 달러, 연간 수천 달러씩 연금에서 빠져나가다 보면 생활비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IRMAA는 단순히 피할 수 없는 부담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영역이다.     Roth 전환, 기부 전략, 세금 효율적 투자, 연금 활용 등 여러 방법이 있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미리 계획하는 것이다. 은퇴 전후로 세금과 소득 구조를 잘 설계한다면 IRMAA 부담을 크게 줄이고 은퇴 생활의 재정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켄 최 아피스 자산관리 대표 [email protected]메디케어 보험료 할증 연금 메디케어 세금보고 소득 메디케어 보험료 세금상 소득

2025.09.23. 22:53

썸네일

사회보장연금 체크 10월부터 중단…달라지는 규정

7000만 명이 넘는 국민이 매달 수령하는 사회보장 연금이 올 가을부터 종이체크 발급 중단 등 적잖은 변화를 맞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부터 연이어 서명한 행정명령들 때문이다.     USA투데이는 올 가을과 내년부터 달라지는 사회보장 제도 5가지를 소개했다.     ▶사라지는 종이 체크   9월 30일을 끝으로 사회보장연금의 종이 체크 발급이 전면 중단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연방정부의 종이 수표 발급을 전면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10월부터는 은행 계좌 이체(direct deposit)나 은행 계좌가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다이렉트 익스프레스(Direct Express)’ 선불 데빗카드로만 수령 가능하다. 현재 대다수 수혜자가 전자 방식으로 지급받고 있지만, 아직도 수십만 명이 종이 수표를 받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SSA 측은 연금을 종이 체크로 수령하는 수급자는 꼭 변경 신청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고령의 연금 수급자 등은 기존과 같이 우편발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학자금 대출 체납 시 연금 압류 재개   연방교육부는 팬데믹 시기 중단했던 체납 학자금 대출 상환 및 추심을 지난 5월 재개했다. 이와 함께 사회보장연금 압류도 곧 다시 시행된다. 교육부는 “일시 유예는 여름까지만”이라고 예고한 바 있어, 체납자의 경우 월 수령액의 15%까지 공제될 수 있다.     ▶사회보장세 납부 소득 기준 인상   직장인의 사회보장연금 납부 상한선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또 오른다. SSA는 올해 들어 사회보장연금 납부 대상 소득 상한선을 지난해 16만8600달러에서 17만6100달러로 올렸다.     일례로 연봉이 10만 달러인 소득자의 사회보장세는 6.2%인 6200달러(고용주 6200달러)다. 그러나 올해 20만 달러라면, 17만6000달러의 6.2%를 개인과 회사가 동일하게 부담한다. 20만 달러를 벌어도 세금은 17만6000달러까지만 적용된다.   ▶물가연동 연금 인상(COLA)   사회보장연금은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자동 인상된다. 올해는 2.5% 인상됐으며, 내년에는 약 2.6~2.7%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실제 은퇴자의 지출 구조와 공식 소비자물가지수(CPI) 간 차이로 인해 체감 인상률은 낮다는 지적도 나온다.   ▶메디케어 보험료 인상 전망   사회보장 수혜자가 메디케어 파트B에 가입한 경우, 매달 연금에서 보험료가 자동 공제된다. 메디케어 재정당국은 내년 표준 보험료를 월 206.20달러로 추산했는데, 이는 올해(185달러)보다 11.5%나 높은 수준이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사회보장 사회보장 우편발송 개인수표 우편발송 사회보장 납부

2025.09.22. 20:19

썸네일

소셜연금 40년 만의 큰 폭 인상…시니어 체감은 ‘여전히 부족’

비영리단체 '시니어 시티즌스 리그'는 2026년 소셜연금 생활비 조정(COLA)이 2.7%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렇게 되면 최근 5년간 평균 COLA는 4.6%에 이른다. 이는 1985년 5.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최근 5년간 인상 폭은 지난 40년 어느 때보다 컸다는 의미다.   하지만 높은 인상률에도 체감은 다르다. 소셜연금은 최근 몇십 년 동안 가장 많이 올렸는데도 시니어들의 체감 인상률은 여전히 낮다.     모틀리 풀의 설문조사에서 절반 이상이 2024년과 2025년 COLA가 생활비 상승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COLA 산정 방식 자체가 시니어의 실제 지출 구조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회보장국은 COLA를 산정할 때 도시 임금근로자.사무직 노동자 소비자물가지수(CPI-W)를 사용한다. 하지만 시니어는 젊은 근로자와 달리 주거비와 의료비 비중이 높고 교통비와 교육비 지출은 적다. 전문가들은 고령자 소비자물가지수(CPI-E)가 더 적합하다고 지적한다.   CPI-E를 적용했다면 2024년 COLA는 3.2%가 아닌 4%, 2025년 COLA는 2.5%가 아닌 3%로 산정됐을 것이다.     결국 최근 몇 년간 소셜연금 인상은 시니어 체감 물가에 비해 작아 실질 구매력이 줄어든 셈이다.   또 40년 내 소셜연금을 가장 많이 올리면서 사회보장신탁기금의 재정 고갈 문제를 앞당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신탁기금 고갈 예상 시점은 2034년으로 2019년 전망보다 1년 앞당겨졌다. 당시 신탁기금 이사회는 2022~2025년 COLA를 연평균 2.6%로 가정했으나 실제 인상률은 훨씬 높았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COLA 인상 폭이 예상보다 크면 신탁기금은 2034년보다 더 빨리 소진될 수 있다. COLA를 많이 올리면 미래가 걱정, 적게 올리면 당장 생활이 걱정인 상황이다.연금 생활비 소셜 생활비 cola 인상 소셜 인상

2025.09.21. 19:01

썸네일

은퇴 이후 살림살이, 낙관론 늘었다

은퇴 이후의 경제적 안정을 낙관적으로 보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자산운용사 나틱시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저스가 지난 9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적이 있어야 안정적으로 은퇴할 수 있다"고 응답한 이들은 21%였다. 이같이 응답한 이들은 2021년엔 41%였다. 3년 사이에 부정적인 응답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은퇴에 대한 자신감은 최근 2년 연속 20% 이상 상승한 주가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절반은 "투자가 쉬워 보인다"고 답했다.   은퇴에 낙관적인 이들이 늘었지만 69%는 여전히 경제 불안정과 재정적 충격을 우려했다. 우려할 요소로는 ▶예상보다 오래 살 수 있다는 점 ▶소셜연금 삭감 가능성 ▶물가 상승이 은퇴자금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는 위험 등이 꼽혔다. 나틱시스 투자자통찰센터 데이브 굿셀 전무는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요인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은퇴 예상 나이에서는 세대별 차이가 컸다. 미국인의 평균 은퇴 예상 연령은 64세였지만 베이비붐 세대가 예상한 은퇴 나이는 평균 70세로 가장 높았다. X세대는 65세, 밀레니엄 세대는 61세에 은퇴를 예상해 젊을수록 은퇴 나이가 빨랐다. 은퇴 기간은 평균적으로 약 22년을 예상했다.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은퇴자금과 실제 저축액 사이에는 여전히 적지 않은 격차가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평균 105만 달러를 저축했다고 밝혔지만 필요한 자금은 149만 달러라고 응답했다. 격차는 약 44만 달러가 났다. 이를 드러내듯 응답자의 45%는 "은퇴 후 충분히 즐기며 살 돈이 부족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많은 이들이 은퇴자금 100만 달러 만들기를 목표로 하지만 매년 4%씩 인출해 사용하는 4% 규칙을 따를 경우 은퇴자금에서 나오는 생활비는 연간 약 4만 달러에 불과하다. 은퇴 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100만 달러의 이상의 자산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은퇴 자금 149만 달러는 이런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4% 규칙'을 만든 금융설계사 빌 벤젠은 인터뷰에서 "첫해 은퇴 생활비가 얼마나 필요할지 계산한 다음 그 금액의 20배를 저축 목표로 삼으라"고 조언했다.   은퇴자금 준비에서 가장 흔한 방법은 저축 확대와 지출 절감으로 64%나 차지했다. 장기적인 재무계획 수립도 47%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앞으로 필요한 은퇴 비용 추정은 34%, 전문가에게 조언 구하기는 32%였다. 굿셀 전무는 "전문가 상담은 은퇴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된 요인"이라며 은퇴 계획은 매우 복잡한 수학 방정식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주가 상승으로 자신감을 얻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과 연금 축소에 대비해야 하는 현실을 드러냈다. 장수에 리스크 측면도 있다고 보는 것도 달라진 점이다.   한편, 나틱시스가 발표한 2025년 글로벌은퇴지수(GRI)에서 미국은 21위에 올랐다. 미국은 재정과 건강 부문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소득 불평등과 실업률 상승, 행복지수 하락 등으로 점수가 깎였다. 이 조사에서 1위는 노르웨이가 차지했으며 아일랜드와 스위스가 2, 3위에 올랐다. 한국은 미국 다음인 22위였다. 안유회 객원기자연금 살림살이 은퇴자금 가치 은퇴자금 준비 은퇴 예상

2025.09.14. 19:0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