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한인 가정의 가장 큰 고민은 치열한 입시 경쟁 못지않게 현실적인 학비 부담이다. 사립대 등록금이 10만 달러에 달하면서 합격 후에도 재정을 이유로 원하는 대학에 등록하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대학의 재정보조 제도를 이해하고 사전에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과정이 필수가 됐다.
최근 학자금 재정보조 방식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모든 학생은 연방 학자금 지원 신청서(FAFSA)를 제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산출되는 SAI(Student Aid Index)가 기준이 된다. 실제 지원액은 대학의 총비용에서 SAI를 뺀 필요금액을 토대로 산정되며, 각 대학의 지원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가정의 수입과 자산을 관리해 SAI를 낮추고, 재정보조율이 높은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이다.
재정보조는 크게 무상 보조금과 유상 보조금으로 구분된다. 무상 보조금에는 펠그랜트(Pell Grant)와 FSEOG가 있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연 5000달러 내외의 지원이 가능하다. 주정부 보조금은 각 주마다 제도가 달라 조건과 마감일 확인이 필수다. 유상 보조금은 보조·비보조 스태포드 융자와 학부모용 플러스 론이 대표적이다.
다만 연방 재정보조는 시민권자와 영주권자에게만 해당되며, 최소 GPA 2.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주립대는 자녀 수 분산 계산을 인정하지 않지만 사립대는 여전히 이를 적용하기 때문에 형제자매가 동시에 재학할 경우 유리하다. 자체 기금이 풍부한 사립대의 경우 전략적 설계를 통해 큰 폭의 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신청 과정에서 대학별 우선 마감일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지원액이 줄어드는 경우 내역 검토와 어필이 필요하다. 특히 자영업 가정은 세제 혜택을 활용해 합법적으로 공제를 늘려 SAI를 낮출 수 있다. 반대로 401(k), IRA, 529플랜은 SAI를 높여 불리할 수 있어 전문가 상담을 통한 대비가 필요하다.
학자금 재정보조는 단순히 신청만으로 최적화되기 어렵다. 대학별 장학금 정책과 가정의 재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맞춤형 설계가 뒷받침돼야 자녀의 진학과 경제적 부담 완화라는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오는 10월 11일에 진행되는 칼리지페어에서는 새로 바뀐 재정보조 공식과 준비 방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