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운데)가 30일 뉴욕주 식량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맨해튼에 위치한 푸드팬트리를 방문해 격려하고 있다. [사진 뉴욕주지사실]
연방정부 셧다운이 한 달째 지속하면서 푸드스탬프(SNAP) 지원이 끊길 위기에 처한 가운데, 뉴욕주가 식량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30일 맨해튼의 푸드팬트리를 방문한 자리에서 “셧다운 사태로 300만명의 뉴욕주민이 식량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며 “이 과정에서 그로서리와 보데가 등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푸드스탬프에 의존하다 지원이 끊겨 식료품을 공급받지 못하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6500만 달러의 주정부 기금을 추가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6500만 달러 추가 지원금 중 4000만 달러는 기아예방 및 영양지원 프로그램에 투입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푸드뱅크와 무료 급식소, 셸터 등에 식량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역 푸드뱅크 등에 농산물을 공급하는 너리쉬 뉴욕(Nourish NY)에도 2500만 달러의 신규 자금을 배정했다.
이어 뉴욕주립대(SUNY) 학생과 엠파이어스테이트봉사단 등을 푸드팬트리와 푸드뱅크에 파견해 인력 지원도 하기로 했다. 추가 투입된 지원금과 식량이 더 많은 사람에게 분배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다.
호컬 주지사는 지난 27일에도 푸드팬트리 등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 3000만 달러를 배정한 바 있다.
한편 아시안아메리칸어린이가족연합(CACF)은 이처럼 뉴욕주 차원에서 편성한 추가 식료품 지원이 아시안 커뮤니티에도 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주정부는 긴급 식량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여러 언어로 홍보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민자들이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푸드스탬프가 끊긴 뒤에도 적절한 주정부 조치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