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평균 2배 이상 올라 가입 취소 고민 끝...디덕터블 높이고 브론즈 플랜으로 낮춰 유지
조지아주의 건강보험거래소인 ‘조지아 액세스’
조지아주의 건강보험거래소인 ‘조지아 액세스’의 2026년 오바마케어(ACA) 가입이 지난 1일부터 시작된 가운데 몇 배 오른 보험료에 한인들의 한숨이 늘고 있다.
스와니에 거주하는 김씨는 한 달에 약 200달러 내던 보험료가 내년부터 780달러로 오른다는 소식을 듣고 고민에 빠졌다. 고민 끝에 디덕터블(자기부담금)을 3500달러에서 8000달러로 높이고, 브론즈 플랜으로 낮춰 의료보험을 유지하기로 마음먹었다. 김 씨는 “미리 아팠던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마저 들었다”며 “디덕터블이 너무 높아 이제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은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한인 보험업계는 내년 의료보험료가 평균 2배 이상 올랐다고 입을 모았다. 선우&선우 종합보험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300~400% 오른 분들을 많이 봤다. 카운티별로 인상률에 차이가 있는데, 외곽지역보다 귀넷, 풀턴, 디캡 등 메트로 카운티 주민의 가입비가 훨씬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가령 1만7000달러 소득의 1인 가족이 그동안 월 20달러 안팎의 보험료를 냈다면, 내년부터는 월 3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
선우보험의 앤젤라 담당자는 엠베터와 오스카 순으로 보험료가 가장 많이 올랐다고 전했다. 그는 “보조금도 줄고, 보험회사에서도 많이 올렸다. 엠베터 보험에서 기존 100달러를 내시던 분은 내년부터 900달러로 오른다. 계산이 잘못됐는지 몇 번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업소 측은 또 “한인 중산층에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가입을 취소하는 것보다 브론즈 플랜으로 낮추더라도,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서 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매일 병원을 가고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면, 코페이가 높은 브론즈 플랜이라도 유지하는 것이 현명하다.
스탠포드보험의 대니얼 송 에이전트는 “2배 이상 오른 보험료에 보험 가입을 망설이는 분들이 적지 않고, 연방정부 셧다운이 끝나고 결정하겠다는 분들이 많다”라고 전했다.
그러나 보조금 연장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 10일 연방정부 셧다운을 끝내기 위해 상원을 통과한 임시예산안에는 오바마케어 보조금 연장 조항이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민주당은 12월 둘째주까지 오바마케어 예산안에 대해 표결할 것을 약속받았는데, 통과에 필요한 60표를 확보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의료분야의 비영리단체 카이저 패밀리재단(KFF)은 오바마케어 가입자들의 내년 보험료가 평균 114%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오바마케어 가입자는 전국적으로 약 4500만명, 조지아에서는 약 150만명에 달하지만 보험료가 치솟아 상당수 주민이 무보험자로 전락할 것으로 우려된다.
오바마케어(조지아 액세스) 가입 기간은 내년 1월 15일까지이며, 내년 1월부터 보험 적용을 원한다면 12월 15일까지 가입을 완료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