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직장 건강 보험료 급등세…가족 플랜 연평균 2만7000불

고용주가 제공하는 소위 직장 건강보험 비용이 3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올해 가족 플랜 기준 보험료가 평균 2만7000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의료정책조사를 전문으로 하는 카이저 패밀리재단(KFF)은 올해 가족 보험 플랜의 프리미엄이 전년 대비 6%(1408달러)  상승해 물가상승률의 두 배를 기록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표 참조〉   이는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7%씩 상승했던 흐름과 비슷한 수준으로, 직장인들은 연평균 6850달러(월 570달러)를 부담하고, 나머지는 고용주가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1800개 이상의 대·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난달 진행됐으며, 국내 인구의 약 절반(6500만 세대, 65세 미만 약 1억5400만 명)이 직장을 통해 건강보험을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같은 보험료 지속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은 ‘의료비 지출 증가’로 분석됐다.   특히 의약품 가격 상승이 최근 몇 년간 보험료 인상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 200명 이상 직원을 둔 기업 중 3분의 1 이상이 처방약 가격이 보험료 상승에 크게 영향을 줬다고 답했으며, 그중에서도 ‘GLP-1’ 계열 체중감량 약(위고비, 젭바운드 등)이 대표적인 비용 상승 요인으로 꼽혔다.   5000명 이상을 고용한 대기업의 43%가 올해 체중 감량 목적의 GLP-1 약을 보험으로 보장한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2024년의 28%에서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드루 올트먼 KFF 회장은 “조용하지만 확실한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며 “GLP-1 약제, 병원비 상승, 관세 등 여러 요인이 겹치며 내년에는 보험료 인상 폭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험료 외에 공제액 부담도 함께 늘었다. 2025년 개인 플랜의 평균 공제액은 평균 1900달러로, 전년(1773달러)보다 7.2% 상승했다.   특히 소규모 기업 근로자의 평균 공제액은 대기업 직원보다 약 1000달러 더 높았다.   KFF 조사에 따르면, 소규모 사업장의 피보험자 중 절반 이상이 연간 2000달러 이상, 3분의 1 이상은 3000달러 이상의 공제액을 본인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FF는 기업들이 비용 상승의 근본 원인을 해결할 새로운 수단이 없어, 결국 공제액이나 본인부담금을 추가 인상하는 형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최인성 기자보험료 급등세 보험료 상승 직장 건강보험 보험료 인상

2025.10.24. 0:15

썸네일

[포커스] 다가온 ACA<오바마케어> 가입 시즌, 보험료 폭등 우려

연방 의회가 올해 말 만료 예정인 일명 ‘오바마케어’로 불리는 건강보험개혁법(ACA) 보험료 지원 연장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커버드 캘리포니아(Covered California) 가입자를 포함한 가주민들의 건강보험료 급등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아메리칸커뮤니티미디어에 따르면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는 11월 1일부터 시작되는 커버드 캘리포니아 등 ACA 신규 가입 및 갱신자가 최대 400만 명까지 줄어들 수 있다. 특히 ACA 보험료 지원이 종료되면 정부 보조를 통해 유지되던 저렴한 보험료가 대폭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도 “보조금 지원이 중단될 경우 커버드 캘리포니아에 가입한 170만 명 이상이 내년 1월부터 보험료 인상 충격을 받을 것”이라며 “일부 보험료는 최대 388%까지 오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지사실에 따르면 ACA 보조금 지원이 중단될 경우 커버드 캘리포니아 가입자의 프리미엄 보험료는 평균 97% 인상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앤섬 블루크로스사의 '프리미엄 브론즈 HMO' 보험료는 올해 월 307달러에서 내년 964달러로 세 배 이상 오를 것으로 보인다.   보험료 인상이 현실화되면 연소득 6만2600달러 이하 저소득층의 월평균 보험료는 97달러에서 182달러로 두 배 가까이 상승한다. 55~64세 중년층의 보험료는 186달러에서 365달러로, 개인사업자(Self-employed)는 평균 131달러 인상될 전망이다.   비영리단체 패밀리USA의 앤서니 라이트 사무국장은 “의회가 보조금 지원 연장을 미루면 다음 달 1일부터 시작하는 건강보험 등록 기간부터 보험료가 평균 18% 오르게 된다”며 “실질 보험료는 최대 두 배까지 뛸 수 있기 때문에 400만 명이 건강보험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패밀리USA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예산안 협의가 지연되자 이미 ACA 보조금 지원 만료를 전제로 내년도 보험료를 산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보험료 인상 → 가입자 탈퇴 → 추가 인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우려된다.   브루킹스연구소 역시 최근 보고서를 통해 “ACA에 따라 저소득층이 보험료를 내지 않던 ‘제로 프리미엄(Zero Premium)’ 제도가 폐지되면, 당장 40만 명이 건강보험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뉴섬 주지사 등 민주당 측은 공화당이 2025/2026 회계연도 예산안에 의료비 지원 항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반면 공화당 측은 민주당의 책임을 거론하며 단기 예산안을 우선 처리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한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연방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되면서 일부 병원이 메디케어 원격 진료 프로그램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연방정부는 지난 4년간 330개 병원에 ‘가정 입원 치료 프로그램(Acute Hospital Care at Home)’ 예산을 지원해 왔다. 이 프로그램은 고령 메디케어 환자가 자택에서 원격 진료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로, 지원금 연장 여부가 불투명해지자 다수 병원이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포커스 오바마 보험료 건강보험료 급등 보험료 지원 보험료 인상

2025.10.14. 19:54

썸네일

소셜연금은 2.7%, 파트B 보험료는 12% 인상

내년 소셜연금 생활비조정 인상률(COLA)이 2.7% 수준이 될 것이라고 시니어시티즌리그(TSCL)가 전망했다. 다만 9월 물가가 예상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0.1%p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은퇴자의 평균 소셜연금 월 수령액은 약 2000달러다. 2.7% 인상률이 적용될 경우, 내년부터 월 2054달러를 받는다.   65세 미만의 수급자는 인상분을 전액 받지만 65세 이상은 메디케어 파트 B 보험료를 소셜연금에서 자동 공제하는 경우 실질 인상 폭은 작아질 수 있다.   현재 파트 B 보험료는 대부분의 은퇴자 기준 월 185달러다. 그러나 내년에 예상대로 약 206.50달러로 오르면 인상률은 12%나 된다. 현재 월 2000달러를 받는 수급자가 185달러의 보험료를 내고 있다면 실수령액은 1815달러다. 내년에 COLA 인상으로 명목상 수령액이 2054달러로 오르더라도 보험료가 206.50달러로 인상되면 실질 수령액은 1847.50달러에 그친다. 결과적으로 월 32.50달러로 명목 인상분 54달러보다 40% 가까이 줄어든다.   전문가들은 COLA 인상이 생활비 상승을 충분히 따라잡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특히 고령층이 체감하는 의료비와 주거비, 식료품 등 특정 품목의 물가 상승률은 전체 물가보다 훨씬 많이 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COLA 인상률이 2.7%에 머물 경우, 명목상 연금액은 늘더라도 실제 구매력은 여전히 감소할 수 있다.   결국, 수급자들이 내년 재정 계획을 세울 때 COLA 인상률뿐 아니라 메디케어 보험료 인상 폭과 고령층 특유의 생활물가 상승률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COLA 공식 발표가 늦어질 수 있다. 사회보장국은 9월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발표된 이후인 15일 최종 인상률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9월 CPI 발표가 지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COLA 발표가 지연돼도 소셜연금은 기존 일정대로 지급한다. 사회보장제도는 의회의 연간 예산과 별도로 운영되는 재원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연금 보험료 cola 인상률 메디케어 보험료 생활물가 상승률

2025.10.12. 19:20

LA 산불 후폭풍… ‘페어플랜’ 보험료 30% 이상 오른다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운영하는 화재보험 프로그램 ‘페어플랜(FAIR Plan)’의 보험료가 한꺼번에 30% 이상 오를 전망이다.   LA타임스는 최근 “페어플랜 측이 내년 4월부터 보험료를 평균 35.8% 인상하는 안을 가주보험국(CDI)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인상 추진은 지난 1월 발생한 LA 대형 산불로 40억 달러의 손실을 입은 것이 직접적인 배경이다. 최종 승인 여부는 리카르도 라라 가주 보험국장이 결정한다.   페어플랜은 주정부 주도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 민간 보험사들이 잇따른 산불 피해로 계약을 거부하면서 사실상 주택 소유주의 ‘최후의 선택지’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수년 사이 가입자가 수십만 명 늘어나 현재 보장 규모는 6500억 달러에 이른다.   이번 인상률은 2019년(20.3%), 2021년과 2023년 각각 16% 인상된 것보다 훨씬 높다. 지난해에도 48.8%의 인상 요구가 있었지만 15.7%로 삭감된 바 있어 이번 인상안은 그보다 큰 폭이다.   보험국이 이를 승인할 경우 지역별로 인상률이 달라진다. 산불 위험이 낮은 지역은 보험료가 오히려 줄 수 있지만, 산불 취약 지역 주민은 큰 폭의 인상 부담을 져야 한다. 다만 주택 소유자가 화재 위험을 줄이는 조치를 취하면 최대 15%까지 보험료 할인이 가능하다.   힐러리 맥린 페어플랜 대변인은 “페어플랜 요율은 예상되는 보험금과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며 “현재의 위험 포트폴리오와 비용, 성장세를 반영하기 위해 가주보험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인상 요구는 보상 문제와 겹치며 거센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페어플랜이 올해 1월 LA 산불과 지난 10여 년간 발생한 다른 산불의 연기·그을음·재 피해 청구를 부당하게 처리했다는 비판 때문이다. 알타데나와 퍼시픽 팰리세이즈 주민들은 보험사가 제대로 된 검증과 복구를 거부했다며 소송을 제기했고, 지난 6월 주 고등법원은 페어플랜의 연기 피해 보상 정책이 주법을 위반했다고 판결했다. 강한길 기자캘리포니아 보험료 내년 보험료 페어 플랜 인상 추진

2025.10.06. 20:33

썸네일

캐나다인 절반, 생명보험 외면

  캐나다인 절반 가까이가 생명보험을 갖고 있지 않거나 자신이 가입했는지조차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가 비싸다는 인식과 생활비 부담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   보험료 부담이 가장 큰 장벽 보험사 폴리시미(PolicyMe)와 여론조사기관 앵거스리드가 공동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2%가 생명보험이 없거나 불확실하다고 답했고, 49%는 향후 5년 내 생명보험을 가입할 계획이 없다고 했다.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이유가 42%로 더 높았다.   잘못된 인식과 의료검사 부담 보험료 외에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응답(27%), 의료검사 절차가 번거롭다는 응답(26%)도 뒤를 이었다. 일부(21%)는 보험사가 청구액의 절반 이하만 지급한다고 오해하고 있었으나, 실제 지급률은 99%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보험사들이 지급 절차와 결과를 더 투명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재정적 위험에 노출되는 가정 앤드루 오스트로 폴리시미 CEO는 “보험이 없을 경우 갑작스러운 사망 시 가족이 주택 상실, 이주, 파산 등의 위험에 놓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설문에서도 응답자 4명 중 1명은 본인이 사망했을 때 가족이 재정적으로 안전할 것이라는 자신이 없다고 답했다.   젊고 건강할 때 가입이 유리 재정 설계사 제이슨 에반스는 “부모가 질병을 겪은 뒤에는 보험료가 훨씬 오르거나 아예 가입이 거절될 수 있다”며 젊고 건강할 때 생명보험을 드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보험료는 나이가 들수록 매년 평균 8%가량 인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신보험보다 정기보험이 합리적 보험 전문가들은 생활비 부담이 큰 가정에는 종신보험보다 저렴한 정기보험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정기보험은 10년•20년•30년 등 일정 기간만 보장하지만, 종신보험보다 보험료가 크게 낮다. 에반스는 “작은 금액이라도 정기보험으로 시작하는 것이 무보험 상태보다 훨씬 낫다”고 강조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보험료 생명보험 설문조사 캐나다인

2025.09.16. 6:53

썸네일

조지아 주택보험 부담 ‘양호’...평균보다 낮아

주택 보험료가 계속 올라 전국 평균 연 2470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뱅크레이트는 전국의 주택 보험료, 각 지역의 연평균 소득 등을 바탕으로 주택 보험 실제 비용을 분석해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 보험료는 2023년 이후 9% 즉, 연간 209달러 상승했다. 2023~2024년 연간 104달러(4.6%), 2024~2025년 다시 연간 105달러(4.4%)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조지아주의 주택 보험료는 전국 25번째인 평균 1966달러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평균 주택 보험료가 가장 높은 주는 루이지애나로, 무려 6274달러에 달했다. 루이지애나 주민들은 소득의 10% 이상을 주택 보험료에 쓰는 셈이다.   전국 2위는 네브래스카주 6425달러, 3위 플로리다주 5735달러가 이름을 올렸는데, 상위권에 속한 주들은 극심한 기상 재해를 겪는 곳이다. 루이지애나와 플로리다는 허리케인 피해를 자주 받고, 네브래스카는 토네이도와 우박 피해에 노출돼 있다.     메트로 지역별로 보면 전국 34개 대도시 중 뉴올리언스-메테리 지역 주민들이 소득 대비 주택 보험에 가장 높은 비율인 17.48%를 지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마이애미-포트로더데일-웨스트팜비치 지역은 2위로 연 중위소득의 13% 이상이 평균 보험료에 해당한다.     반면 버몬트주는 평균 주택 보험료가 연 834달러로 가장 낮았다. 이곳 주민들은 연 소득의 약 1%만 주택 보험료로 지출한다. 덴버, 로스앤젤레스-롱비치, 샌디에이고, 샌프란시스코, 리버사이드 등지는 평균 주택 보험료는 비교적 높지만, 중간 소득 또한 높아 소득의 3% 미만을 보험료로 지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택 보험료는 캘리포니아주에서 가장 빠르게 상승했다. 지난 2년간 평균 41%가 인상됐는데, 같은 기간 주 평균 소득도 12.5% 증가해 연 소득의 약 2%만 주택 보험료에 지출한다. 전국 대도시 중에서 로스앤젤레스, 샌디에이고, 리버사이드의 주택 보험료가 가장 많이 높아졌다. 미국에서 산불 위험이 가장 높은 캘리포니아는 주택 보험 가입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반면 전국에서 3번째로 보험료가 높은 플로리다주의 보험료는 낮아지고 있다. 지난 2년간 플로리다의 주택 보험료는 평균 579달러(9%) 감소했다. 윤지아 기자보험료 주택 주택 보험료 평균 보험료 사실 보험료

2025.08.26. 15:00

썸네일

연방 보조금 끝나면 보험료 66% 폭등… 60만 명 무보험자 우려

내년 '커버드캘리포니아(Covered California)' 건강보험료가 평균 10.3% 오를 전망이다. 2018년 이후 첫 두 자릿수 인상이다.   커버드캘리포니아 측은 ▶의료비 및 약값 상승 ▶올 연말 연방 보조금 종료 ▶정책 불확실성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 중 의료비 상승이 8%를, 보조금 종료 영향이 2%를 차지한다.   연방 의회가 9월까지 보조금 지원 연장을 결정하지 않으면 캘리포니아는 21억 달러의 지원을 잃게 된다. 이 경우, 약 170만 명 가입자의 실보험료(Net Premium)는 66%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 업계 관계자들은 “보조금이 사라지면 보험료가 올라서 소비자 부담이 크게 늘 것”이라며 “일부는 보장 범위가 낮은 저가형 플랜으로 옮기거나 아예 건강보험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보조금 혜택 중단에 따른 보험료 부담으로 60만 명이 무보험자로 전락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주정부는 보조금 종료에 대비해 1억9000만 달러를 투입, 연방 빈곤선 150% 이하(1인 연 소득 2만3475달러·4인 가족 4만8225달러 이하) 가입자의 보험료를 올해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는 상실할 연방 보조금 규모의 약 9%에 불과하다.     한편 캘리포니아주에 거주하는 성인(합법 체류, 영주권·시민권자) 무보험자(18~64세)는 매년 11월 1일부터 이듬해 1월 31일까지 커버드캘리포니아에 가입할 수 있다.     웹사이트(CoveredCa.com), 전화(800-300-1506), 지정 에이전트, 비영리단체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보험료 내년 보험료 내년 보험료 인상 평균 보험료

2025.08.17. 19:10

썸네일

[보험칼럼] 의료사기 방지와 보험료 절감

여러분들께서는 간혹 비양심적인 의료인들에 의한 보험사기 기사를 접하신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심지어는 여기에 한인 의료인들도 포함되어 우리를 부끄럽게 합니다.     미국 전체(화재·상해·의료) 보험의 사기 비용은 연간 약 3086억 달러에 이르며, 의료 산업에서 발생하는 보험 사기는 800억 달러, 메디케어 사기는 약 600억 달러에 이른다고 연방수사국(FBI)은 추산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구당 연간 400~700달러 정도 부담이 발생하는 셈입니다.     이 손실은 바로 환자·보험사·정부 모두에게 부담을 줍니다. 특히 일부 비윤리적인 의료인은 허위·과장 정보를 제출해 부당한 보험금을 청구합니다. 이를 막는 것이 곧 보험료 절감으로 이어집니다.   미국에서 자주 발생하는 보험 사기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진료비 코드 조작(Upcoding) : 실제보다 고가 서비스로 청구 ▶청구 항목 분리(Unbundling) : 묶음 요금을 개별 청구로 변경 ▶제공되지 않은 서비스 청구 : 받지 않은 치료나 검사 청구 ▶허위 진단 : 불필요한 치료 정당화를 위해 기록 조작 ▶불필요한 시술 : 과잉 수술·검사 진행. ▶중복 청구 : 동일 진료를 여러 번 청구 ▶리베이트 수수 : 금전적 이익을 받고 특정 처방·검사 권유   이와 같은 사기의 파급 효과는 결국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상승을 초래하며, 관련 의사는 법적 처벌과 면허 박탈 위험에 놓입니다. 환자는 불필요한 시술로 건강이 악화할 수 있고, 보험사 심사 강화로 정당한 보험금 지급이 지연됩니다. 보험사기 예방은 환자·보험사·정부가 함께해야 효과적입니다.   이런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방법이 필요합니다.   ▶청구서·EOB 확인 : 받은 서비스와 청구 내용 비교 ▶의심 신고 : 보험사 또는 Medicare Fraud Control Unit 제보 ▶AI·빅데이터 활용 : 이상 청구 패턴 조기 탐지 ▶규제 강화 : 정기 감사와 처벌 강화 ▶의료진 교육 : 청구 절차·윤리 교육 실시 등입니다.     또한 보험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선 이와 같은 체크리스트를 꼭 확인하시기를 권합니다.     1. 진료·검사 후, 영수증과 청구 내역을 반드시 비교한다.   2. 알 수 없는 항목이 있으면 즉시 병원·보험사에 문의한다.   3. 의료 기록 사본을 보관해 둔다.   4. 불필요한 시술 권유 시, 반드시 세컨드 오피니언을 받는다.   5. 의심되는 사안은 즉시 보험사 또는 관련 기관에 신고한다.   6. 특히 치과보험 등에서 방문객에게 다른 상품을 제공하고 본인 부담이 없다고 광고하는 오피스는 방문을 자제한다.   미국의 의료보험 제도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보험사와 환자가 경각심을 갖고 꾸준히 본인의 EOB 를 검토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사기 방지는 개인 재정과 건강 모두를 지키는 일입니다. 꾸준한 확인과 적극적인 신고로 투명한 의료 환경을 만드는 것이 장기적으로 내가 속한 회사의 단체 건강 보험료 혹은 나의 개인 의료보험료 절감에 기여할 것입니다. Jake Kim / 이코노 보험, 의료보험 언더라이터보험칼럼 의료사 보험료 보험사기 기사 보험료 절감 서비스 청구

2025.08.14. 22:32

메디케어 파트D 보험료, 내년 큰 폭 인상 가능성

내년에 메디케어 파트 D(처방약 혜택) 보험료가 큰 폭으로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부 보험사의 경우 월 보험료가 올해보다 최대 50달러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NBC뉴스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2026년 보험료 책정 시 약값 상승, 약 사용량 증가, 제도 변화 등을 반영할 예정이다. 올해는 정부 지원으로 최대 인상폭이 월 35달러로 제한됐지만, 내년에는 지원금의 40%가 줄어 인상 한도액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올해부터 메디케어 가입자의 처방약 본인부담금은 연 2000달러로 제한됐다. 이는 고가 약물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는 대신, 연방 정부의 부담 일부를 보험사에 전가한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보험사들이 이 비용을 가입자 부담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는 ▶고가 약물 사용 증가 ▶본인부담금 상한제 도입에 따른 비용 전가 ▶보험료 억제 프로그램 축소 등이 꼽힌다. 여기에 미국은 상당수의 의약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상 가능성도 있다.   정확한 내년 메디케어 보험료는 10월 15일부터 시작되는 오픈 등록 기간에 발표된다. 메디케어 파트 D는 처방약 보험으로, 민간 보험사가 운영한다.   강한길 기자메디케어 보험료 보험료 인상 보험료 내년 내년 메디케어

2025.08.13. 21:13

썸네일

신용점수 낮으면 집 보험료 비싸다

신용점수가 낮으면 집 보험을 최대 2배 이상 부담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또 일리노이 주민 일부는 전국 평균보다 더 높은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소비자연맹과 기후커뮤니티 연구소는 최근 공동으로 보고서를 발표하고 신용점수와 집 보험료와의 상관 관계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일리노이 주민들 중에서 낮은 신용점수를 가진 경우 집 보험료가 신용점수가 높은 주민에 비해 연간 2122달러, 약 12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용점수가 중간인 경우에는 높은 주민에 비해 53% 높은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었다.     이번 보고서는 신용점수를 측정하는 FICO 점수를 기준으로 평균 740점, 낮은 점수 630점, 높은 점수 820점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보험회사는 신용점수를 보험료를 책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한다.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향후 보험료를 신청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보험사는 나이와 지역, 보험료 신청 기록 등을 보험료 산정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펜실베니아주가 신용점수에 따른 보험료 차이가 가장 큰 지역으로 확인됐다. 낮은 신용점수를 받은 주민들이 높은 신용점서를 가진 주민에 비해 181% 높은 보험료를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인디애나주는 전국에서 6번째, 일리노이는 10번째로 신용점수에 따른 보험료 차이가 큰 지역으로 집계됐다.     이렇게 신용점수에 따른 보험료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음이 밝혀지자 이를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실제로 캘리포니아와 매사추세츠, 매릴랜드주에서는 신용점수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산정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한편 지난달 블루밍턴에 본사를 둔 스테이트팜 보험사는 일리노이주 주택 보험료를 27% 인상했다. 이에 일리노이 정부에서는 보험사의 대폭적인 보험료 인상을 규제해야 하며 자동차 보험료 역시 신용점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자 이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신용점수 보험료 펜실베니아주가 신용점수 일리노이 주민들 지역 보험료

2025.08.13. 12:47

썸네일

“오바마케어 보험료, 두 배 가까이 오른다” … 한인들 ‘우려’

 내년부터 오바마케어(ACA) 보험료가 두 배 가까이 오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언론보도를 통해 제기되면서 내년 오바마케어 가입 희망자들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미주 중앙일보에 따르면 이러한 보도는 팬데믹 시기 도입된 연방 보조금 지원이 올해 말 종료되는데다 보험사들이 보험료 대폭 인상 계획을 밝히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 건강정책연구기관인 카이저패밀리재단(KFF)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ACA 보험 가입자의 실질 보험료가 내년 평균 75% 인상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 월 60달러를 내던 가입자가 내년에는 월 105달러를 부담해야 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보험사들은 매년 여름, 다음 해 적용될 보험요율을 주 정부 규제 당국에 제출한다. 카이저패밀리재단이 17개 주와 워싱턴D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험료 중간 인상률은 약 15%로 나타났다는 게 주요 언론들의 보도 내용이다. 이는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바이든 정부는 팬데믹 당시 오바마케어 보조금을 대폭 확대해 보험료를 낮췄다. 이로 인해 가입자가 두 배 이상 증가해 올 1월 기준 전국 가입자는 2400만 명에 달했다. 의료 권익 옹호 단체 관계자들은 “보험료 급등은 가입자 이탈을 초래해 연방 보조금이 사라지면 많은 가입자가 의료사각지대로 밀려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러한 분석은 달라스 한인 보험업계에서도 나오고 있다. 허진 보험의 허진 대표는 “보험업계 전문가들의 분석과 각 보험사의 보험료 인상 신청서를 종합해 보면, 2026년 오바마케어 플랜의 평균 보험료 인상률은 약 15%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최근 5~7년 사이 가장 큰 폭의 인상”이라고 전했다. 허진 대표는 보험료 급등의 주요 원인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먼저 종료될 것으로 예정된 확대된 세액공제 혜택이다. 2021년 시행된 미국 구조 계획법(American Rescue Plan Act)을 통해 도입된 확대 보조금(Enhanced Tax Credits) 제도가 2025년 말 종료될 예정이다. 이 보조금은 연방빈곤선(FPL) 100%~400%뿐 아니라 그 이상 소득자에게도 적용돼, 월 보험료가 소득의 8.5%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해 왔다. 만약 확대된 세액공제가 연장되지 않을 경우, 보험료가 추가로 10~20%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게 허진 대표의 분석이다. 의료비 상승 압력도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한다. 허진 대표는 “특히 GLP-1 계열의 신약(예: 당뇨 및 비만 치료제)의 보급 확대와 함께,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사용 증가가 보험사 부담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역선택(Adverse Selection) 현상도 보험료 급등을 부추기고 있다. 허진 대표는 “보험료 인상으로 인해 건강한 가입자들이 탈퇴하고, 병원 이용률이 높은 가입자들만 남게 되면, 보험사의 위험률이 상승하게 된다”며 “이러한 악순환은 추가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허진 대표는 오바마케어 보험료 급등 전망과 관련해 한인들에게 몇 가지 대비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대체 보험상품을 검토해보는 것이다. 직장 건강보험, 단기 건강보험(Short-term Plans)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단기 보험은 보장 범위가 좁고, 기존 질병(Pre-existing Conditions)을 보장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공제금액 및 보장 수준을 조정하는 것도 또다른 방안이다. 보험료 절감을 위해 공제금액(deductible)이 높은 브론즈(Bronze) 플랜 등으로 변경을 고려해볼 수 있다. 허진 대표는 ‘Traditional IRA’를 활용해 볼 것을 권했다. 소득 공제를 통해 세금 절감 효과와 함께, 오바마케어 기준 소득(AGI)을 낮춰 보조금 수령액을 늘리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끝으로 보조금 확인 및 전략 설계를 하는 것이다. 보조금은 가구 소득, 가족 수, 거주지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경험 많은 보험 에이전트와 상담해 최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오바마케어 보험료 급등 가능성에 대한 소식이 달라스 한인사회에 남다르게 다가올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한인들의 오바마케어 가입이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허진 대표는 “한국계를 포함한 아시아계 커뮤니티는 2014년 오바마케어 시행 이후 꾸준히 보험 가입률이 증가해 왔다며 “특히 한인들의 무보험률은 2010년대 약 20%에서, 2016년 이후 10% 이하로 대폭 감소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여전히 일부 한인들은 언어 장벽, 이민 신분 문제, 정보 부족 등으로 인해 타 인종에 비해 오바마케어 미가입률이 높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미 의회예산국(CBO)은 향후 10년간 오마바케어 가입자 중 최대 820만 명이 무보험 상태에 놓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결국 연방 의회가 보조금 지원을 연장하지 않으면 수백만 명의 건강보험 상실이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 공화당은 현재 보조금 지원에 부정적이어서 연장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허진 보험 “오바마케어 가입, 최적의 플랜 선택하는 게 중요” 조언   오바마케어 보험료 급등 우려와 관련해 허진 보험의 허진 대표(사진)는 연간 등록 기간(2025년 11월 1일 ~ 2026년 1월 15일) 동안 반드시 보험 전문가(에이전트)의 도움을 받아 다양한 플랜을 비교할 것을 권했다. 허진 대표는 “병원 이용 빈도, 처방약 필요성, 검사나 입원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브론즈(Bronze), 실버(Silver), 골드(Gold) 또는 Catastrophic 플랜 중 자신에게 맞는 보장 수준을 선택해야 한다”며 “2026년에는 소득 증명 요청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세금 신고서, 급여명세서 등 관련 서류를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허진 대표는 “직장 보험, 단기 보험, 메디케이드 자격, HSA(건강저축계좌) 연계 플랜 등 다양한 옵션도 함께 검토해볼 것을 권한다”며 “무엇보다도 경험 많은 보험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보조금 계산과 정책 변화까지 반영된 최적의 플랜을 선택하시기를 권장드린다”고 밝혔다. 허진 대표는 “일부 한인들은 언어 장벽, 이민 신분 문제, 정보 부족 등으로 인해 타 인종에 비해 오바마케어 미가입률이 높은 편”이라며 “그러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바마케어 관련 기타 자세한 내용은 허진 보험(972.800.7187 또는 [email protected]) 문의하면 된다.     〈토니 채 기자〉오바마 보험료 보험료 인상 보험료 급등 실질 보험료

2025.07.25. 8:44

썸네일

오바마케어 보험료 급등 우려…보조금 줄고 보험료 올라

내년부터 오바마케어(ACA) 보험료가 두 배 가까이 오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팬데믹 시기 도입된 연방 보조금 지원이 올해 말 종료되는데다 보험사들이 보험료 대폭 인상 계획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비영리 건강정책연구기관 카이저패밀리재단(KFF)은 최근 보고서에서 “ACA 보험 가입자의 실질 보험료가 내년 평균 75% 인상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 월 60달러를 내던 가입자가 내년에는 월 105달러를 부담해야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보험사들은 매년 여름, 다음 해 적용될 보험요율을 주 정부 규제 당국에 제출한다. KFF가 17개 주와 워싱턴D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험료 중간 인상률은 약 15%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주도 예외는 아니다. 가주의 오바마케어 운영 기관인 ‘커버드 캘리포니아(Covered California)’에 따르면, 보조금 종료 시 가주 가입자의 평균 보험료는 월 101달러, 66%나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연소득이 연방 빈곤선의 400% 이하인 저소득층 가입자는 월평균 191달러를 더 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커버드 캘리포니아 측은 또 17만 명 이상의 중간소득 가입자가 내년부터는 보조금을 전혀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는 가주 가입자의 90%가 연방 보조금을 받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팬데믹 당시 ACA 보조금을 대폭 확대해 보험료를 낮췄다. 이로 인해 가입자가 두 배 이상 증가해 올 1월 기준 전국 가입자는 2400만 명에 달했다. 이중 가주 가입자는 약 200만 명이다.   의료 권익 옹호 단체 관계자들은 “보험료 급등은 가입자 이탈을 초래해 연방 보조금이 사라지면 많은 가입자가 의료사각지대로 밀려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의회예산국(CBO)은 향후 10년간 ACA 가입자 중 최대 820만 명이 무보험 상태에 놓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결국 연방 의회가 보조금 지원을 연장하지 않으면 수백만 명의 건강보험 상실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은 현재 보조금 지원에 부정적이어서 연장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강한길 기자오바마 케어 보험료 인상 인상률 중앙값 인상 요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보험료 ACA 연방 보조금

2025.07.20. 19:47

썸네일

“스테이트팜 주택 보험료 대폭 인상 우려”

JB 프리츠커(민주) 주지사와 주의회가 보험사 스테이트 팜의 대폭적인 집 보험료 인상(본지 11일자 1면 보도)과 관련, 우려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프리츠커는 주의회에 이 같은 대폭적인 보험료 인상에 대처하기 위해 관련 기관이 요금 인상을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마련을 요청했다.   프리츠커는 10일 내놓은 성명을 통해 "스테이트팜의 부당하고 자의적인 보험료 인상에 깊은 우려를 전한다. 이번 인상은 일리노이주 보험국의 자체 분석과는 다른 재해 손실 수치에 근거하고 있다”며 “스테이트팜이 다른 지역에서의 손실을 일리노이 주민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스테이트팜의 보험료 인상 외 주택 소유주의 자기분담금 인상과 특정 보험금 지급 축소는 일리노이 주택소유주의 부담을 늘리는 조치”라고 지적했다.     일리노이 주의회의 보험부 역시 “이번 보험료 인상은 소비자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려했다. 시민단체들 또한 스테이트팜이 주민들에게 손실을 전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최대 보험사 중 하나인 스테이트팜(State Farm)은 기상이변으로 인한 손실 증가를 이유로 평균 28.3%에 달하는 주택 보험료 인상을 예고했다. 이같은 주택 보험료 인상은 신규 고객은 15일부터, 기존 고객은 8월 15일부터 각각 적용된다.     인상 폭은 기본 27.2%지만, 추가 내용까지 포함하면 평균 28.3%로 늘어나는데 이는 일리노이 주 역사상 최대폭 인상으로 알려졌다.     스테이트팜은 지난 2024년 상반기 동안 일리노이 주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 1달러당 1.26달러를 손실 보상으로 지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의 1.30달러에 이어 2년 연속 손실이 보험료를 초과한 것을 의미한다.     스테이트팜은 “주택 복구 비용의 상승, 심각한 기상이변의 증가,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보험료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일리노이 주는 2024년 기준 미국 내에서 우박 피해가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로, 총 6억 3,800만 달러의 피해 보상 청구가 접수된 것으로 기록됐다.     스테이트팜은 주택 보험료 인상 외에도 ‘바람/우박 전용 자기부담금(Wind/Hail Deductible)’을 새로 도입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일리노이 주 스테이트팜 고객은 앞으로 바람이나 우박 피해 발생 시 최소 1%의 자기부담금을 부담해야 한다.       앞서 일리노이에 본사를 둔 올스테이트(Allstate)는 지난 2월 주택 보험료를 평균 14.3% 인상한 바 있다. 이들 회사들은 지난해 일리노이 주 전역에서 자동차 보험료를 인상했다.   Kevin Rho 기자스테이트 보험료 보험료 인상 주택 보험료 일리노이 주택소유주

2025.07.11. 13:21

썸네일

일리노이 주택 보험료 27% 또 오른다

집 보험료가 크게 인상된다. 최근 텍사스에서 발생한 대홍수와 같은 자연재해가 늘어나면서 보험료도 덩달아 뛰고 있는 것이다.     일리노이 블루밍턴에 본사를 둔 스테이트팜은 최근 일리노이 보험관리국에 신고한 보험료 인상 계획을 통해 8월 15일부터 평균 집 보험료를 27.2%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험료 인상은 일리노이 주에서 오른 집 보험료 인상폭으로는 가장 큰 수치다. 보험료 인상에 해당하는 일리노이 가구는 총 150만 가구에 달한다.     신규로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는 7월 15일부터 인상된 보험료가 적용된다.     30%에 가까운 보험료 인상으로 인해 일리노이 주택 소유주들은 연간 746달러를 추가로 부담하게 된다.     스테이트팜은 이번 보험료 인상의 원인으로 계속되는 자연재해로 인해 보험료 청구와 지급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스테이트은 성명서를 통해 “지난 7~8년간 자연재해 발생으로 인한 보험료 지급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았다. 일리노이의 경우에도 최근 15년간 13년이나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료 지급이 당초 예상을 웃돌았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텍사스주에서 발생한 대홍수로 인해 최소 120여명이 숨진 것과 올해 초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주택이 파괴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다.     캘리포니아 산불로 스테이트팜 보험 가입자들은 총 1만3000건의 보험료 청구를 신청했고 지급된 보험금은 42억달러가 넘었다. 일리노이 역시 폭우로 인한 주택 침수 사태가 다수 발생한 것이 보험료 인상으로 직결됐다는 것이 보험사측 설명이다.     노스브룩에 본사를 둔 올스테이트 역시 지난 2월 집 보험료를 14.3% 올린 바 있다. 당시 인상으로 모두 24만8000명의 일리노이 보험 가입자들이 영향을 받았다.       이와 같은 집 보험료 인상은 일리노이만의 현상은 아니다. 지난달 나온 렌딩트리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6년간 전국 평균 집 보험료는 무려 40.4%가 올랐다. 일리노이주는 전국에서 일곱번째로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는데 2019년에서 2024년 사이 59.5%를 나타냈다. 이 기간 일리노이보다 보험료가 많이 오른 지역으로는 콜로라도, 네브라스카, 유타, 애리조나, 미네소타 등이었다. 일리노이 주민들은 연간 평균 2743달러의 집 보험료를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Nathan Park 기자일리노이 보험료 보험료 인상폭 일리노이 주택 보험료 지급

2025.07.10. 14:41

썸네일

가주 집 보험료 21% 오른다…전국 평균 2배 넘어

가주 주택 소유주들이 올해 평균 21%에 달하는 보험료 인상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국 평균 인상률(약 8%)의 두 배가 넘는 수치로, 최근 몇 년간 반복된 대형 산불과 함께 기후위험 예측 모델의 보험료 반영이 본격화된 영향이다.     보험 비교 플랫폼 인슈어리파이(Insurify)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가주 주택보험 평균 연간 보험료는 2930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지난해 평균 2424달러에서 506달러 인상된 금액이다.       보험료 인상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난 1월 발생한 ‘팰리세이즈 화재’와 ‘이튼 화재’가 꼽힌다. 이들 산불은 LA카운티를 중심으로 수천 채의 주택과 상업용 건물을 태우며 약 1310억 달러 규모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 UCLA의 분석에 따르면 이 가운데 약 450억 달러가 보험금으로 청구될 수 있는 손해로 추산된다.   양 산불로 보험사들이 보험료 수입보다 더 많은 보험료를 지급하면서 가주 보험 체계 전반에도 심각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민간 보험사들이 가입을 받지 않는 고위험 지역의 보험을 보장하는 ‘페어 플랜’(FAIR Plan)은 이번 화재로 최대 40억 달러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페어플랜은 운영 유지를 위해 보험사들에 1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부담을 요청한 상태다.     보험료에 임시 수수료를 추가해 이 비용의 절반인 5억 달러를 소비자 보험료에 일시적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보험료 산정 방식 변화도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1월부터 가주보험국(CDI)은 보험사들이 기후위험 예측 데이터를 반영해 보험료 인상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그 결과 보험사들은 향후 기후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고려한 가격 책정이 가능해졌다.   보험 업계는 이번 인상이 단기적 대응이 아닌 장기적 추세의 시작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빈번해지면서 보험사들의 손해율이 지속해서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사들은 고위험 지역의 보험 인수를 줄이는 동시에, 다른 지역에서도 보험료 인상으로 손실을 상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전국적으로는 루이지애나가 올해 가장 높은 보험료 인상률(27%)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이오와, 하와이, 미네소타 등 내륙 주에서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일 전망이다. 이은영 기자보험료 주택 보험료 인상 보험료 반영 소비자 보험료

2025.07.03. 0:29

썸네일

‘AAA’ LA서 차 보험료 최저…월평균 114불

자동차 보험료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가운데, 보험료 비교 사이트 웨이닷컴이 조사한 ‘LA지역 최저 보험료 제공 업체’ 순위가 공개됐다.     조사에 따르면 6개월 기준으로 가장 저렴한 종합보험을 제공하는 곳은 AAA로, 평균 보험료는 683달러였다. 뒤를 이어 CSAA가 944달러, 캐피털인슈어런스그룹(CIG)이 1004달러로 나타났다. 반면 웨이닷컴이 조사한 17개 대형 보험사 중 가장 비싼 곳은 2252달러를 기록한 파머스였다. 〈표 참조〉   책임보험(liability)만 가입하는 경우도 보험사별 차이는 뚜렷하다. CSAA는 6개월 기준 219달러로 가장 저렴했고, AAA는 304달러, USAA는 362달러 수준이었다. 가장 비싼 파머스는 717달러에 달했다.   다만 웨이닷컴은 거주지부터 사고 이력까지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보험료의 차이가 크다고 밝혔다.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운전자의 교통 법규 위반 이력, 특히 음주운전(DUI)으로 확인됐다. LA에서 음주운전 전력이 있을 경우 평균 보험료는 6개월 기준 4014달러에 이른다. 이는 위반 이력이 없는 운전자의 평균 보험료인 1544달러보다 2400달러 이상 높은 수준이다.     난폭운전 시 6개월 기준 보험료는 평균 3813달러로 치솟고, 사고 후 조치를 하지 않은 뺑소니는 평균 3871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위반이 반복되거나 사고 이력이 누적될수록 보험료는 더욱 높아진다. 이에 더해 신용점수가 낮거나, 차량이 고가이거나, 주거 지역의 사고 및 절도율이 높은 경우에도 보험료는 오를 수 있다.     캘리포니아의 자동차 보험료는 지난해 평균 25.5%나 상승했는데, 이는 인플레이션과 차량 수리비 증가, 자연재해 리스크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LA는 전국 주요 도시 중에서도 보험료가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평균 자동차 보험료는 연간 1338달러로, 가주 평균인 942달러보다 396달러, 전국 평균인 1140달러보다도 200달러 가까이 높다. 같은 조건으로 뉴욕이나 필라델피아와도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보험료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운전 습관 개선이나 정기적인 보험료 비교 등을 꼽는다.     캘코보험의 대니얼 심 에이전트는 “운전 기록과 보험사 정책을 수시로 확인하고, 1년마다 여러 보험사 견적을 비교해보는 것이 보험료 절감에 도움이 된다”며 “다만 현재 신규 보험 가입을 안 받는 곳도 있고 가입해 있는 보험사에서도 할인이 있을 수 있으니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조언했다. 조원희 기자보험료 음주운전 자동차 보험료 기준 보험료 평균 보험료

2025.06.29. 19:03

썸네일

가주 단독주택 ‘숨은 비용’만 연 3만2262불

가주에서 단독주택을 소유하는 데 드는 ‘숨겨진 비용’이 연 3만 달러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정보 웹사이트 뱅크레이트가 지난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의 주택 소유주는 모기지 이자와 원금 상환 외에도 집을 소유하기 위해 세금과 보험료 등 기타 비용으로 연 3만2262달러를 지불해야한다.     이는 전국에서 하와이에 이어 2번째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국 평균인 2만1400달러와 비교해서 무려 51%나 더 비싼 것이다.   이 조사는 데이터 집계가 제한된 뉴욕을 제외한 전국 49개 주에서 단독주택을 소유했을 때 올해 기준 발생하는 재산세, 보험료, 에너지 요금, 인터넷·케이블 비용, 유지보수 비용을 모두 합산해 분석했다.   가주의 경우 연간 유지보수 비용만 1만7338달러에 이르며, 평균 재산세 또한 7378달러로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높다. 보험료와 유틸리티 등 기타 비용은 연 7546달러로 집계됐다.   이를 전국 기준과 비교하면 연간 평균 주택 유지보수 비용인 8808달러보다 97% 높으며, 재산세의 경우 전국 평균 4316달러 대비 71% 더 많았다.   주택 소유 비용이 큰 이유는 높은 주택 가치로 인해 세금과 보험료가 오르는 데다, 지난 5년간 누적 인플레이션도 약 25%에 달하면서 건축 자재와 인건비, 서비스 비용 등이 급등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같은 물건이라도 5년 전 100달러에 살 수 있었던 것이 이제는 125달러가 된 셈이다.   이 같이 숨겨진 비용은 특히 첫 주택 구매자들에게 더 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뱅크레이트의 주택 대출 전문가 린다 벨은 “대부분 사람들은 주택 구매 시 월별 모기지 상환금만을 고려하고 숨겨진 비용까지는 예상하지 못한다”며 “정기 유지보수, 재산세, 공공요금 등은 매년 수천 달러에 달해 가계 재정에 큰 압박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비용 부담은 주택 구매자들의 후회로 이어지고 있다.     뱅크레이트가 별도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주택 구매를 후회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가운데 42%가 예상보다 높은 유지보수 및 기타 숨겨진 비용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이 같은 불만은 다른 재정적 스트레스보다도 더 흔하게 나타난 후회 요인으로 분석됐다.   벨은 또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비용 부담은 확연히 달라진다”며 “비용이 낮은 지역이라 해도 숨은 비용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수천 달러의 지출은 여전히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주택을 소유하는 데 이처럼 적지 않은 숨겨진 비용이 있기 때문에 주택 구매를 고려하는 이들이라면 초기 구매 비용 외에도 장기적인 유지 비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전국에서 주택 소유 비용이 가장 높은 지역인 하와이에선 연 3만4573달러가 드는 것으로 집계됐다. 수리 및 보수 비용은 평균 1만9642달러, 재산세는 4301달러였지만 에너지와 유틸리티 비용은 평균 7871달러에 달했다.   이 밖에도 주택 소유를 위한 비용이 연 2만9751달러인 뉴저지가 3위, 2만9277달러의 매사추세츠가 4위, 2만7444달러의 워싱턴이 5위 순이었다. 우훈식 기자단독주택 비용 주택 구매자들 케이블 비용 주택 소유 박낙희 가주 주택 보험료 재산세

2025.06.15. 19:50

썸네일

스피드 티켓 받으면 보험료 20% 올라

워싱턴 지역에서 속도위반 티켓 1장을 받으면 보험료가 20%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뱅크레잇(Bankrate)이 최근 분석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버지니아에서는 한번의 속도위반으로 보험료가 최대 21%까지 오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티켓이나 과실사고가 없을 경우 버지니아 운전자의 연평균 보험료는 2162달러였으나, 속도위반 티켓 을 받을 경우 21% 상승해 2626달러,자기 과실 사고를 유발할 경우 42%가 인상돼 3068달러,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면 105% 상승해 4423달러를 기록했다.    메릴랜드에서는 티켓이나 과실사고가 없을 경우 2931달러였으나 속도위반 티켓 을 받을 경우 19% 상승해 3492달러,자기 과실 사고를 유발할 경우 49%가 인상돼 4369달러,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면 83% 상승해 5373달러를 기록했다.     피드 티켓으로 보험료가 가장 많이 오르는 곳은 노스캐롤라이나(49%), 와이오밍(40%), 가장 적게 오르는 곳은 뉴욕(7%), 하와이(9%), 버몬트(10%), 텍사스(12%), 뉴저지(13%) 등이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스피드 보험료 스피드 티켓 속도위반 티켓 연평균 보험료

2025.06.02. 12:39

썸네일

속도위반 티켓 받게 되면 가주선 보험료 39% 올라

가주가 속도위반 티켓으로 보험료가 가장 많이 오르는 주 3위에 랭크됐다.     뱅크레잇(Bankrate)이 최근 분석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가주는 한 번의 속도위반으로 보험료가 최대 39%까지 오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에서 같은 경우 가장 많이 보험료가 오르는 곳은 노스캐롤라이나(49%)이었으며, 와이오밍(40%)이 2위에 올랐다. 다만 벌점이 없는 깨끗한 기록을 가진 운전자의 연간 평균 보험료는 주마다 달라 노스캐롤라이나가 1957달러, 와이오밍은 1759달러였지만, 가주는 무려 2975달러로 차이를 보였다.     가장 적게 오르는 주로는 뉴욕(7%), 하와이(9%), 버몬트(10%), 텍사스(12%), 뉴저지(13%) 등이다. 참고로 뉴욕은 무벌점 운전자의 평균 보험료가 연간 4195달러로 나타났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보험료 과속 속도위반 티켓 과속 티켓 보험료 상승비율

2025.06.01. 20:02

썸네일

“소득세·보험료 인하 힘쓸 터” 조지아 공화당 홍수정 하원의원

조지아주 의회의 유일한 한인 공화당 정치인인 홍수정 주 하원의원이 한인 유권자를 대상으로 3년차 의정활동 소감과 원내 활동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 29일 홍수정 의원은 둘루스 한식당에서 후원의밤 행사를 열고 “이 땅에서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한 한인 이민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해 정치를 시작했다”며 “조지아주에서 한인 자긍심을 지키기 위해 앞으로도 힘쓰겠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백규 조지아 한인식품협회 회장, 이경철 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장, 이미쉘 코리안 페스티벌 재단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홍 의원은 2023년부터 공화당 원내대표를 맡고 있다. 지난 회기엔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의 10억달러 규모 소득세 환급법안 의결을 이끌었으며 스몰 비즈니스 감세책을 주도했다. 홍 의원은 “최근 보험료 인하 법안 발의를 위한 연구위원회에 속하게 됐다”며 “공공안전과 감세 두가지 민생 문제가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척 에프스트레이션 하원의원은 이날 “우리 공화당은 학교 공공안전 확보를 위해 청소년 정신건강 자금을 늘리고 학군간 소통을 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며 “한국과의 자매결연을 법제화해 한미 양국의 파트너십 강화에도 일조했다”고 강조했다. 맷 리브스 하원의원 역시 “올해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고령층 세금 감면과 소상공인 혜택을 늘리는 법안을 만들어나가겠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하원의원 보험료 홍수정 의원 최근 보험료 후원의밤 행사

2025.05.30. 16:0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