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달라스 협의회(회장 김원영)가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달라스 협의회는 지난 11일(화) 오후 2시, 미 재향군인의 날(Veteran’s Day) 및 한미동맹 72주년을 맞아 알링턴에 소재한 6.25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비 참배를 했다.
이날 행사에는 주달라스 영사출장소 도광헌 소장과 오원성 제21기 달라스 협의회장을 비롯해 월남참전용사 전우회 달라스 지회 회원, 지역사회 인사들이 함께 했다. 이날 행사는 오원성 전 협의회장이 6.25 참전용사 기념비 건립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했다. 오원성 전 협의회장은 이 기념비 건립과정에 참여했다.
행사는 헌화, 추모 묵념, 김원영 협의회장의 기념사, 도광헌 출장소장의 축사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김원영 협의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한미동맹은 올해로 72주년을 맞았는데 그 시발점은 6.25였으며, 한국전쟁 때 미국은 3만7천명의 전사자와 9만2천명의 부상자, 그리고 3천 7백 명의 실종자를 감수하고 대한민국의 자유를 위해 함께 피를 흘린 그야말로 혈맹”이라며 “이런 든든한 혈맹이 있었기에 일정부분의 안보와 그에 수반된 비용을 미국에 의지하며 그 여유분으로 남은 자본을 경제에 투입할 수 있었고, 이것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이 있게 한 큰 원동력이 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 후손들이 해야 할 일은 이처럼 든든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북한이 다시는 전쟁을 꿈꾸지 않게 국방을 튼튼히 하고 강군을 육성하는 것”이라며 “휴전 상태인 한국 전쟁을 끝내 남북 평화 공존과 교류 협력의 새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광헌 출장소장은 축사를 통해 “제22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달라스 협의회가 출범 이후 첫 공식행사로 이곳 알링턴 한국전 참전용사비 앞에서 한미동맹 72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게 된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이라며 “72년 전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대한민국의 낯선 땅에서 피와 땀을 흘리신 미국 참전용사 여러분의 숭고한 희생을 우리는 결코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 영사관은 이러한 희생과 헌신을 기리기 위해 참전용사의 그 유가족분들께 ‘Home of a Hero’라고 적힌 현판을 직접 전달하고 있다. 그분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다”고 피력했다.
알링턴 참전용사 기념비는 한국인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되새기는 자리이며, 한국이 어떤 어려움을 극복하고 번영의 민주국가로 발전되어 왔는지를 알리는 기억의 공간으로 평가된다.
한편, 알링턴 참전용사 기념비는 한국전쟁과 한국 방위를 위해 희생된 참전용사를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준공됐다. 건립 추진은 미 참전용사협회 215지부에서 2018년부터 기념비 모금을 시작했고, 코로나로 참전용사들이 세상을 떠나며 사업 추진이 지연되었다가 2022년 한국 보훈부와 알링턴시의 지원 결정으로 기념비 건립이 다시 본격화됐다. 주달라스 영사출장소 제3대 소장으로 2019년 2월 부임한 홍성래 소장이 한국 보훈부로부터 20만 불 예산 승인을 받았고, 제4대 출장소장으로 2022년 2월 부임한 김명준 소장의 재임 당시인 2023년 11월 11일 미 재향군인의 날을 맞아 건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