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뉴욕시장으로 당선된 조란 맘다니가 무상 보육 확대 계획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가운데, 뉴욕시 자녀 두 명 보육비가 월평균 3000달러를 넘어서는 등 부모들의 보육비 부담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금융 서비스 플랫폼 ‘렌딩트리(Lendingtree)’가 17일 발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뉴욕시에서 4세 이하 자녀 두 명을 키우기 위한 월평균 보육비는 329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뉴욕시 전체 투베드룸 평균 렌트 2910달러보다 13.1% 높은 수치다.
전국적으로는 자녀 두 명을 양육하는 가정의 월평균 보육비가 2252달러로 기록됐는데, 이는 뉴욕시 평균과 1000달러 이상 차이가 난다.
뉴욕시 외곽 지역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뉴욕주 포킵시의 경우 자녀 두 명 월평균 보육비가 3210달러로 투베드룸 평균 렌트 1979달러보다 62.2% 높았고, ▶올바니는 2855달러로 투베드룸 평균 렌트 1702달러보다 67.7% ▶로체스터는 2857달러로 투베드룸 평균 렌트 1573달러보다 81.6%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시라큐스의 경우 자녀 두 명 월평균 보육비가 2784달러로 투베드룸 평균 렌트(1392달러)의 두 배였으며, 버팔로는 월평균 보육비 2761달러로 투베드룸 평균 렌트(1343달러)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다.
분석에 따르면 2020년과 2024년 사이 전국적으로 보육비가 약 30% 상승했으며, 보육비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보육 제공 인력 부족 ▶보육 시설 부족 등이 꼽혔다. 인근에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이 아이를 돌봐줄 수 없어 보육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진 것도 원인으로상지목됐다.
뉴욕시에 거주하는 한 학부모는 “부부가 맞벌이를 하고 있고, 아이를 봐주던 어머니(자녀의 할머니)도 병세가 악화되며 보육비가 나갈 수밖에 없는 상다”이라며 “아들을 롱아일랜드의 한 데이케어 센터에 보내기 위해 주당 450달러를 지불하고 있으며, 이는 가족의 가장 큰 지출 항목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한편 맘다니 뉴욕시장 당선인은 기존 3-K·프리케이 제도를 확장해 생후 6주부터 5세까지 아동을 위한 고품질 무상 보육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공약했는데, 이 계획에 필요한 연간 비용은 약 60억 달러로 추산된다.
맘다니는 대기업과 고소득층에 대한 세금 인상으로 자금을 마련하겠다고 했으나, 세금 인상은 뉴욕주의회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공화당 및 고소득층의 반발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