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올해 첫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환자 발생

 올들어 첫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WNV) 감염 환자가 텐튼 카운티에서 발생했다고 북 텍사스 공영라디오(NPR)가 지난 9일 보도했다. 덴튼 카운티 보건국(Denton County Public Health/DCPH)은 이날 감염된 주민은 신경침습성(neuroinvasive) 형태로, 일반형보다 증상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DCPH는 환자가 덴튼 카운티내 비법인화(unincorporated) 지역 북서부에 거주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추가적인 개인 신상은 공개하지 않았다. 후안 로드리게스(Juan Rodriguez) DCPH 부국장 겸 역학 책임자는 보도자료에서, “최근 몇 주 사이 모기 트랩 채집에서 WNV 양성 반응을 보인 모기가 늘어나고 있어 WNV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이번 첫 주민 감염 사례 역시 이러한 위험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주민들이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당부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에 따르면, 사람은 감염된 새의 피를 흡혈한 모기에 물렸을 때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 치명적일 수 있는 신경침습성 형태의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근육 및 관절통, 구역질, 졸음, 목 뻣뻣함, 시력 장애, 신체 떨림, 정신 혼란, 기억 상실, 발작 등이 있다. 현재 WNV는 예방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모기 물림 자체를 막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DCPH는 주민들에게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새 모이통, 화분, 빗물받이 등 고인 물을 제거해 모기 서식지를 최소화하고, 제거할 수 없는 물에는 ‘모기 덩크(mosquito dunks)’라 불리는 Bti 제제를 투입할 것 ▲야외 활동 시 긴팔·긴바지를 착용하고, 얇은 옷에는 기피제(repellent)를 뿌릴 것 ▲DEET, 피카리딘(picaridin), 레몬 유칼립투스(lemon eucalyptus) 오일 성분이 함유된 모기 기피제를 사용할 것 등의 행동 수칙 준수를 권고했다. DCPH는 웹사이트(DentonCounty.gov/WNV)를 통해 모기 분포 지도와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손혜성 기자바이러스 웨스트 감염 환자 모기 기피제 주민 감염

2025.09.16. 7:10

썸네일

흙먼지 곰팡이 가주 확산…'밸리열' 감염 환자 급증세

건조한 날씨로 흙먼지를 타고 사람 폐로 들어오는 곰팡이 포자 주의보가 내려졌다. 일명 ‘밸리열(Valley fever)’로 불리는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에 걸리면 심할 경우 사망할 수 있다.     최근 캘리포니아주 공공보건국(CDPH)은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밸리열 감염 환자가 6700명 이상 발생했다며, 건조한 날씨 속 흙먼지를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에도 1만2600명이 감염돼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특히 밸리열은 중가주 샌호아킨 밸리, 중가주 해안가 등에서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벤투라카운티에서도 감염 환자가 늘었다.   밸리열은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이 겨울철 우기 때 땅속에서 급증한 뒤, 여름철 바람에 날리는 흙먼지에 붙은 극미세 포자가 함께 떠다닌다. 사람이 이를 들이마시면 밸리열에 걸린다.     밸리열은 곰팡이에 노출된 지 1~3주 후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 증상은 피로, 기침, 발열, 근육통 등 독감과 유사하다. 심할 경우 폐렴을 유발하고 골수와 뇌로 전이돼 입원 환자의 약 10%가 사망 위험을 겪는다.   CDPH는 예방수칙으로 건조한 날씨 외출 자제, N95 마스크 착용, 토양 물 뿌리기 등을 권고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흙먼지 곰팡이 밸리열 감염 흙먼지 곰팡이 감염 환자

2025.08.21. 22:00

썸네일

LA서 뎅기열 모기 피해 확산...전문가들 '전례 없는 수준'

기후변화로 인한 모기 서식 환경 변화에 가주에서 뎅기열 위험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LA카운티 당국은 최근 주로 열대 기후에서 서식하는 뎅기열 모기 피해가 LA에서 "전례 없는" 수준으로 상승했다고 경고했다. 카운티 공중보건국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지역 내에서 감염된 뎅기열 환자가 최소 4명이라고 밝혔다. 감염 중 3건은 샌게이브리얼 밸리에서, 1건은 파노라마 시티에서 발생했다. 바버라 페러 공중보건국 국장은 "현재 뎅기열 확산 추세는 미미한 편"이라면서도 "주민들은 모기 퇴치제 등을 사용해 접촉을 피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뎅기열은 모기가 감염 환자를 물었을 때 감염돼 다른 사람에 전파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미 감염된 개체가 많다면 언제든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가 토종이 아닌 교란종모기들이 확산하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오르고 강수량이 증가하며 가뭄이 길어지면서 뎅기열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최대치를 기록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온라인 뉴스팀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뎅기열 감염 감염 환자 뎅기열 모기

2024.09.30. 14:5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