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병원까지 단속, 불체자 안전지대 없다…저인망식 검거 활동 강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체류자 1일 3000명 검거’를 강조하면서 저인망식 단속이 이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농장,식당, 호텔 등에서의 단속도 전면 재개됐고, 헬스클리닉까지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들이 진입해 주민들의 불편과 불안감이 크다.     CNN 보도에 따르면 국토안보부(DHS)는 지난 16일 ICE 요원들에게 업계 반발로 일시 중단했던 “식당·호텔·농장 등의 단속을 재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기조 복귀를 반영한 조치다.   트리샤 매러플린  DHS 대변인은 “불체자 고용은 고용 시장의 인프라를 위협하는 것”이라며 “단속은 공공안전과 국가 안보를 위한 핵심”이라고 말했다. 앞서 스티븐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은 ICE에 하루 3000명 단속 목표〈본지 5월 29일자 A-1면〉를 채우라고 지시한 바 있다. 현재 ICE의 검거 숫자는 하루 평균 2000명 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훌륭한 농장과 호텔업계 종사자들이 갑자기 사라지고 있다”며 일시 단속 중단을 언급했지만 17일 다시 단속 확대를 지시했다. 그는 “민주당 권력 중심지(Democrat Power Center)에서 불체 단속을 확대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문제는 과거 단속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던 병원, 교회, 학교까지 ICE 등 단속 요원들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ICE는 병원, 교회, 학교 등에 대해서도 ‘보호’ 지침을 철회했다.     비영리 매체인 LAist에 따르면 지난 11일 다우니 지역에 있는 세인트존스 커뮤니티 헬스 이동클리닉(이하 세인트 존스 헬스)에 ICE 요원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의 진입 시도가 있었다.     당시 현장에 있던 클리닉 운전사인 알프레도 콘트레라스는 “무장 요원들이 탑승한 아무 표식이 없는 SUV와 밴 5대가 클리닉으로 들어오려 했다”며 “현장 보안요원이 ‘영장 없인 못 들어온다’고 막아서자 몇 분 뒤 떠났다”고 전했다.   현장에 있던 직원들은 급히 환자들에게 상황을 알렸고, 현장에서 체포된 사람은 없었다고 한다. 세인트존스 헬스의 한  관계자는 “이처럼 가까이 온 것은 처음이며 요원의 접근 시도만으로도 환자와 직원 모두가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세인트존스 헬스 측은 이번 주 전체 예약의 약 3분의 1, 치과 예약은 절반이 취소됐다고 밝혔다.   LA카운티 보건국도 “ICE가 병원 내부로 진입한 사례는 없지만, 단속 위협만으로도 대기실 환자 수가 줄었다”고 전했다.   가주간호사협회(CNA) 샌디 레딩 회장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 환자들이 밖에 나가길 꺼리고 치료를 미루다 결국 수술실에 오르게 되는 경우도 있다”며 “ICE에 대한 두려움이 치료 지연과 건강 악화를 부르고 있다”고 말했다.   남가주병원협회(HASC) 애덤 블랙스톤 대변인은 “일부 병원의 응급실 방문자 감소가 보고됐다”며 “체포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필요한 치료까지 미루고 있다는 점에서 지나친 불법체류자 단속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방증”이라고 강조했다. 강한길 기자 [email protected]안전지대 저인망식 저인망식 단속 단속 요원들 일시 단속 불법체류자 이민세관단속국(ICE)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호텔 농장 병원

2025.06.17. 22:00

썸네일

텍사스 주내 병원 32개 포함, 2025 미국의 탑 250 병원

 미전국 최우수 병원 탑 250에 텍사스 주내 병원 총 32개가 포함됐다. 헬스케어 정보 웹사이트인 ‘헬스그레이드’(HealthGrades)는 미전역 총 4,500여개 종합병원들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4,500만개 이상 리뷰 등 모두 31개 지표를 토대로 비교해 ‘미국의 탑 250 병원’(America’s Top 250 Hospitals for 2025)을 선정, 발표했다. 헬스그레이드는 구체적인 순위를 매기지는 않고 전국 병원 상위 1%에 속하는 ‘탑 50’, 상위 2%에 속하는 ‘탑 100’, 상위 5%까지인 탑 250을 공개했다.   텍사스에서는 탑 250에 총 32개 병원이 이름을 올렸으며 이중 5개는 탑 100에, 1개는 탑 50에 들었다. 타운별로는 달라스와 휴스턴, 그리고 오스틴이 각각 3개로 가장 많았다. 텍사스에서 유일하게 탑 50에 속한 병원은 휴스턴 감리교 병원(Houston Methodist Hospital)이었다. 휴스턴 감리교 병원은 거의 모든 진료과목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고 있지만 특히 외래 정형외과(Outpatient Orthopedic Surgery)의 경우 전국 최고를 자랑한다. 탑 100에 포함된 병원은 휴스턴 감리교 병원 외에 베일러 스캇 & 화이트 메디컬 센터-맥키니(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McKinney), 에딘버그 타운내 닥터스 하스피털 엣 르네상스(Doctors Hospital at Renaissance), 휴스턴 감리교 베이타운 병원(Houston Methodist Baytown Hospital), 달라스 소재 윌리암 P. 클레멘츠 주니어 유니버시티 병원(William P. Clements JR. University Hospital) 등이다. 헬스그레이드 선정 ‘미국의 탑 250 병원’에 포함된 텍사스 주내 32개 병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알파벳 순) ▲Ascension Seton Hays(Kyle, TX) ▲Ascension Seton Williamson Hospital(Round Rock, TX) ▲Baylor Scott & White All Saints Medical Center-Fort Worth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Grapevine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Hillcrest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McKinney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Temple ▲Baylor University Medical Center(Dallas, TX) ▲Doctors Hospital at Renaissance(Edinburg, TX) ▲HCA Houston Healthcare Kingwood ▲HCA Houston Healthcare Southeast(Pasadena, TX) ▲Houston Methodist Baytown Hospital ▲Houston Methodist Hospital(Houston, TX) ▲Houston Methodist Sugar Land Hospital ▲Houston Methodist Willowbrook Hospital ▲Houston Methodist the Woodlands Hospital ▲ Las Palmas Medical Center(El Paso, TX) ▲Medical City Arlington ▲Medical City Dallas ▲Medical City McKinney ▲Medical City Plano ▲Memorial Hermann-Texas Medical Center(Houston, TX) ▲Methodist Hospital(San Antonio, TX) ▲Methodist Hospital Stone Oak(San Antonio, TX) ▲St. David's Medical Center(Austin, TX) ▲St. David's North Austin Medical Center ▲St. David's South Austin Medical Center ▲Texas Health Fort Worth ▲Texas Health H-E-B(Bedford, TX) ▲Texas Health Presbyterian Hospital Plano ▲UTMB Health-Galveston Campus ▲ William P. Clements JR. University Hospital(Dallas, TX)   손혜성 기자  미국 병원 methodist hospital houston methodist houston healthcare

2025.02.05. 7:55

썸네일

시더스·UCLA 전국 최우수 병원…가주 11개 병원 전국 톱 1%

남가주 등 캘리포니아주 11개 병원이 전국 1%대 최우수 병원에 포함됐다.     온라인매체 패치닷컴은 병원정보 제공업체 헬스그레이드가 발표한 ‘2025년 미국 최우수 병원(2025 America’s Best Hospitals Awards)’을 인용, 가주 11개 병원이 전국 1%대인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고 28일 전했다.     헬스그레이드는 전국 4500개 병원을 30개 항목으로 평가했다. 의료진, 진료과목, 환자 진료 및 치료, 환자 만족도 등을 통해 톱 1%에  50개 병원, 2%에 100개 병원, 5%에 250개 병원 목록을 각각 발표했다.     평가 결과 가주 11개 병원은 전국 1%대 최우수 평가를 받았고, 총 31개 병원이 전국 상위 250개 병원에 포함됐다.     11개 병원 중 남가주 지역에서는 시더스-사이나이 메디컬센터가 연속 15년째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 노스리지 호스피털 메디컬 센터(14년 연속), 프로비던스 홀리크로스 메디컬센터(12년 연속), 로널드 레이건 UCLA 메디컬 센터(11년 연속), 스크립스 메모리얼 병원(10년 연속), 스크립스 메르시 병원(8년 연속)도 선정됐다. 〈표 참조〉   2025년 미국 최우수 병원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www.healthgrades.com/quality/americas-best-hospitals)에서 알 수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전국 병원 병원 전국 최우수 병원 전국 최우수

2025.01.28. 22:19

썸네일

“대형병원 해킹”…환자정보 다량 유출 우려

전산망이 해커들에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     LA데일리뉴스의 13일자 보도에 따르면, 해커들은 남가주 내 여러 곳에 병원을 소유한 ‘PIH헬스호스피털’ 1700만명의 환자 정보를 탈취했다며 자신들이 제시한 요구 조건을 수용해야 암호 해독 키를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만약 요구 조건을 수용하지 않으면 환자 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하겠다고 협박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정확한 해커들의 요구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PIH헬스 병원들은 한인들이 빈번하게 이용해 개인정보 유출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유출된 정보는 환자의 정밀 진단 및 검진 기록은 물론 개인정보 등이다.     병원 측은 자사 시설 중 LA의 굿사마리탄 병원을 포함해 다우니, 위티어 병원들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서 환자 진료 예약 등 관련 서비스에도 지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13일 오후 현재 모든 병원은 운영 중이지만 환자들과의 전화 연락, 메시지 관리, 스케줄 확인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현재 상당수 환자가 진료 시간 확인 및 예약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수술 일정도 취소되거나 연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병원 측은 환자들에게 진료 예약시간보다 좀 더 일찍 방문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진료 스케줄 취소 시 환자들에게 곧바로 알리고 있다고 전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환자기록 병원 병원 환자기록 병원 측은 해당 병원

2024.12.15. 20:47

UCSD 헬스, 가주 최고 병원…전국 20위내 2년 연속 선정

UC 샌디에이고 헬스가 또다시 미국 최고의 종합병원 중 하나로 뽑혔다.   U.S. 뉴스앤드월드리포트는 최근 미국의 20대 우수 종합병원 리스트를 발표했는데 UC 샌디에이고 헬스는 2년째 이름이 오르는 영예를 안았다. 이 매거진은 UC 샌디에이고 헬스를 LA의 시더스 사이나이 메디컬센터와 UCLA 메디컬센터, 북가주의 UCSF 헬스와 스탠포드 헬스케어 등과 함께 캘리포니아주 최고의 종합병원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UC 샌디에이고 헬스 외에 샌디에이고 카운티에서는 스크립스 라호야가 가주 6위 그리고 샤프 메모리얼 종합병원이 13위에 올랐다.헬스 병원 샌디에이고 헬스 스탠포드 헬스케어 우수 종합병원

2024.07.25. 20:04

썸네일

샌디마스서 중국계 가정불화 ‘사무라이식’ 칼부림 3명 사상

18일 오후 샌디마스에서 칼부림이 발생, 한 명이 사망하고 두 명이 병원에 이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KTLA 방송이 입수한 현장 영상에는 오른쪽 다리와 손에 피를 흘리고 있는 중국계 여성이 일본도(사무라이 칼)와 같은 칼을 들고 있는 모습이 담겼다. 이 여성은 경찰관이 도착하자 손을 흔드는 모습을 보였고 경찰의 지시에 따라 칼을 버리고 손을 들었다.     LA카운티 셰리프국에 따르면 이 여성은 경찰관들을 인근의 집으로 안내했으며 그곳에서 열상을 입은 여성 한 명과 사망한 사람 한 명이 발견됐다. 셰리프국은 집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다치지 않은 여성 한 명이 추가로 발견됐으며 이 여성 역시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설명했다.   수사당국은 현재까지 이번 사건의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은 모두 중국어만 할 수 있는 상황이라 수사가 지연되고 있다고 한다. KTLA 방송은 이번 사건이 가족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 방송은 현재 통역사들이 현장과 병원 등에 도착한 것을 확인했다고도 전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칼부림 la카운티 셰리프국 캘리포니아 샌디마스 사무라이 사망 병원 통역 중국어 중국계 중국인

2024.07.19. 13:44

썸네일

독립기념일 폭죽 소음 말다툼, 칼부림으로 번져 4명 병원행

4일 로스앤젤레스 샌퍼난도 밸리에서 불꽃놀이로 인한 언쟁이 칼부림으로 변해 네 명이 칼에 찔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LA 경찰국(LAPD)에 따르면 파코이마 지역에서 불꽃놀이의 소음으로 인한 언쟁이 발생했다. 정확한 사건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목격자들에 따르면 말다툼 이후 총격이 있었고 상대방을 칼로 찌르는 상황이 이어졌다.     목격자들은 사람들이 빨간색 트럭에 타고 있던 남성을 끌어내 공격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해당 남성은 폭죽을 터뜨리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싸움이 벌이지는 동안 네 명이 칼에 찔려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들의 상태는 알려지지 않았다. 경찰은 이날 사건으로 한 명이 체포됐다고 밝혔다.     한편 4일 독립기념일 휴일 폭죽놀이로 인해 4일 밤부터 5일 새벽 사이 여러 화재 사건이 발생했다. LA 소방국(LAFD)은 5일 새벽 레세다 지역 내 한 주택의 뒷마당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했다고 전했다. 불길이 인근에 주차돼 있던 여러 차량으로 번지는 사건이었다. 해당 사건으로 인한 부상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저녁 애너하임 지역에서는 한 남성이 폭죽에 불을 붙이다 심한 화상을 입고 병원에 이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그가 폭죽에 불을 붙이려 하자 폭죽이 갑자기 터져버렸다.     노스리지 지역에서는 폭죽으로 인해 나무들이 불타는 사건이 발생해 소방 당국이 출동했다. 부상자가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링컨하이츠 지역에서도 폭죽으로 인해 나무가 불에 타는 사고가 발생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LA 폭죽 폭죽놀이 칼부림 병원 화재 소방서 화상

2024.07.05. 14:14

썸네일

한밤에 홀로 배회하던 2세 남아, 도로 한복판에서 차에 치여

2세 남자 아이가 혼자 집을 나와 배회하다 엑스포지션 파크 인근에서 차에 치여 병원에 이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LA 경찰국(LAPD)에 따르면 해당 사고는 2일 자정 무렵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블러바드와 홀데일 애비뉴 인근에서 일어났다. 경찰은 아이가 혼자서 집을 나섰고 차에 치였을 당시엔 도로 한복판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아이는 병원으로 이송돼 긴급 수술을 받았으며 현재 안정을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사고 운전자가 현장을 떠나지 않았었다고 말했다. 또한 음주나 과속이 사고에 영향을 끼쳤다는 증거는 현재까지 없다고 덧붙였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길거리 한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LA 두살배기 병원 수술 회복 음주 과속 아이 아기

2024.07.02. 14:30

썸네일

현대차 훔친 10대들, 검문 피해 도주하다 충돌...탑승자 4명 사망

지난달 28일 업랜드 지역에서 경찰의 검문을 피해 도주하던 차량이 다른 차량과 충돌, 10대 세 명을 포함한 총 네 명이 숨진 것으로 밝혀졌다.    1일 샌버나디노 셰리프국에 따르면 이날 사고는 새벽 1시 48분 풋힐 블루버드와 아치볼드 애비뉴 인근에서 음주운전(DUI) 의심 차량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2018년형 현대 세단 자동차에 타고 있던 운전자는 차를 세우라는 경찰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빠른 속도로 도주했다. 그로부터 약 6분 뒤, 5마일 떨어진 교차로에서 2010년형 머스탱 차량과 충돌한 뒤 전봇대를 들이받아 현장에서 네 명이 즉사했다.  셰리프국에 따르면 이날 사고로 사망한 사람은 도주 차량에 탑승하고 있던 헤수스 길렌(16)과 조엘 실바(16), 그리고 마이클 에이드리언 고메스(17) 등이다. 셰리프국은 네 번째 사망자의 신원은 밝히지 않았다. 해당 차량에는 13세 소년도 탑승해 있었으며 그는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 중이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주 차량이 들이받은 머스탱에 타고 있던 35세 남성과 21세 여성 두 명 역시 병원으로 이송된 상황이다.   한편 셰리프국은 사망자들이 타고 있던 현대 차량은 폰타나에서 도난 신고가 들어온 차량이며 장전된 총 한 정이 발견됐다고 덧붙였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검문 도주 차량 캘리포니아 음주운전 DUI 머스탱 현대 10대 생존자 병원 도난 차량 장전된 총 사망 즉사

2024.07.02. 13:10

썸네일

쿡카운티 병원 집단 소송 피소

쿡 카운티 병원이 작년 발생한 해킹 사건으로 인해 집단소송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공개된 연방 검찰의 수사 기록에 따르면 쿡 카운티 병원은 지난해 3월부터 5월 사이 네바다 주에 본사를 둔 진료 기록 처리업체의 전산 시스템이 해킹을 당하며 피해를 입었다.     이 해킹으로 인해 쿡 카운티 주민들의 생년월일과 소셜시큐리티번호, 의료 기록 등이 대거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주민들의 숫자는 당초 전국적으로 9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이후 1400만명으로 늘어났다. 피해 쿡 카운티 주민들의 숫자는 120만명으로 추산됐다.     이에 연방 검찰이 해킹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고 쿡 카운티 병원이 해킹 사건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집단소송도 쿡 카운티 순회법원과 연방 법원에 제기됐다.     소송에서 쿡 카운티 병원이 해킹 사실을 처음 인지한 것이 7월이었는데 주민들에게 이를 고지한 것은 3개월 후였다면서 이로 인해 주민들이 자신들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시간을 놓쳤다고 주장했다.     최근 시카고를 포함한 주요 도시에서는 병원 관련 해킹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5월만 하더라도 40건의 개인 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방 보건국은 최소 500명 이상의 환자 정보가 유출된 사건의 경우 이를 공개토록 하고 있다.     올해 일리노이 주에서는 엘름허스트에 본사를 둔 앰뷸런스 회사의 네트워크 서버가 공격을 당해 86만명의 앰뷸런스 사용자 정보가 유출됐다. 또 시카고 대학병원에서도 1만명의 개인 정보가 털렸고 루리어린이병원도 해킹으로 전산시스템이 한달 이상 작동하지 않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     Nathan Park 기자병원 집단 병원 집단 카운티 병원 시카고 대학병원

2024.06.11. 12:24

썸네일

시카고대학도 병원 해킹 피해

최근 시카고 지역 주요 병원들이 잇따라 사이버공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시카고대학병원(UCMC)도 해킹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 및 환자 1만여명의 개인 정보 데이터가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시카고대학병원은 성명서를 발표하고 지난 1월 4일~30일 일부 병원 직원들의 이메일 계정이 해킹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병원측은 해킹 사실을 인지하고 곧 필요한 조치를 취했지만 이미 환자 개인 정보 등은 유출된 후였다.     유출된 환자 정보 중에는 진단 및 처방 내용을 비롯 소셜시큐리티와 여권, 운전면허증 등 개인정보, 금융•병원비 정보와 함께 인증 절차 시 묻는 보안 질문과 답 등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시카고대학병원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직원 이메일 계정으로 가짜 이메일을 보내 이를 클릭하면 관련 정보가 유출되는 phishing 수법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측은 성명서를 통해 이번 해킹 사건을 심각하게 다루고 있으며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술적인 안전망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의 관련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병원측은 정확한 피해 규모 등은 공개하지 않고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연락을 할 예정이다.     시카고 지역의 주요 병원들이 해킹의 타겟이 된 것은 올해로 세번째다.     올해초부터 루리 어린이 병원과 어센션 병원 등이 피해를 입었다. 루리병원은 복구까지 1개월이 넘게 걸렸으며 어센션 병원은 일리노이 내의 14개 병원이 랜섬공격을 받아 일부 환자들에 대한 수술이 연기되고 앰불런스를 다른 병원으로 보내는 일도 발생한 바 있다.     이렇게 병원이 사이버 공격의 타겟이 되는 이유는 병원 전산망에 보관된 개인 정보의 양이 일단 많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정보들이 대부분 소셜시큐리티 번호 등 민감한 정보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해커들에게는 먹잇감이 되고 있다. 병원측이 전산망 없이는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정도로 의존감이 큰 것도 사이버 공격을 받게 되는 이유로 꼽힌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대학도 병원 이번 시카고대학병원 가운데 시카고대학병원 해킹 피해

2024.05.30. 13:44

썸네일

병원도 코로나 보고 의무 종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병원은 입원한 코로나환자 수를 보건 당국에 보고해야 하는 의무가 있었으나, 이달부터 4년 만에 보고 의무가 사라졌다.   연방 정부는 이미 지난해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한 바 있다. 그러나 CDC(질병통제예방센터)와 같은 일부 기관은 조기경보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병원이 자발적으로 코로나 환자 데이터를 보고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9일 애틀랜타 저널(AJC)은 CDC의 서면 답변을 인용, “CMS(연방 메디케어·메디케이드서비스센터)의 요구 사항이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보건부와 병원이 호흡기 질환 데이터를 계속 보고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이와 관련, 의료 네트워크가 복잡해 정보 입력에 시간이 오래 걸려 병원으로서는 그만큼 인력 손실을 보게 된다고 지적했다.   카를로스 델 리오 에모리의대 감염병학과 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선진국인 미국의 의료 컴퓨터 시스템이 투박한 것은 말도 안된다”며 “의료 데이터의 흐름은 은행 같지 않다”고 지적했다. "단순히 몇 명의 환자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했는지가 아닌, 그 속에 담긴 의미를 발견하는 정보 유통이 중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윤지아 기자코로나 병원 코로나 환자 병원 코로나 의무 만료

2024.05.09. 15:40

진료비 부담 MZ세대 병원 안 간다

MZ세대가 비싼 의료비 때문에 병원에 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서비스업체 어슈어런스가 지난달 발표한 설문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젊은 층의 3분의 2가 높은 진료비 때문에 진료 예약을 꺼렸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4일 보도했다.   지난해 12월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 ‘재정적 웰빙 2024’는 밀레니얼(M; 1981~1996), Z(1997~2012)세대가 의료 비용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재정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 4명 중 3명은 지난해 예상치 못한 의료비를 지불했다고 답해 X세대(1965~1980) 63%, 베이비부머(1946~1964) 40%를 크게 상회했다. 또한, 진료 예약을 기피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Z세대가 베이비붐 세대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대부분의 성인이 메디케이드 또는 고용주를 통해 건강보험 혜택을 보지만 MZ세대의 4분의 1 이상은 필요에 충족할 만큼 충분한 보험이 없다고 답했다.   연소득 7만5000달러 미만인 성인의 과반수가 건강보험 자기 부담금을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저임금 직종에 종사하는 다수의 젊은이가 건강보험 관련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직장평가사이트 글래스도어에 따르면 올해 엔트리 레벨 직종의 평균 연봉은 4만3472달러로 일을 처음 시작하는 MZ세대의 다수가 이에 해당되기 때문에 보험비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대다수 도시에서의 생활비가 오르고 최근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MZ세대들은 의료보험이 제공되는 직종에 취업하기가 힘든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보고서는 재정 부담으로 젊은이들이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의료비 부담이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젊은 층은 재정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열악하다고 답했으며 Z세대 10명 중 8명은 매일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밝혀 다른 세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외로움은 장기적으로 더 많은 의료비가 요구되는 정신 건강 문제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어슈어런스는 정신 건강 서비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부 젊은이들은 필요한 상담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비싼 의료비는 대부분의 성인에게 가장 큰 재정 부담으로 연준(Fe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미국인의 4분의 1 이상이 비용 때문에 병원 진료, 처방전 작성, 후속 진료 예약 등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진료비 병원 보험서비스업체 어슈어런스 건강보험 혜택 병원비 MZ세대

2024.04.07. 20:00

썸네일

시카고 주요 병원들 잇따라 감원

시카고의 주요 병원들이 잇따라 직원 감축에 나섰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급속도로 늘어난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직원을 대폭 늘렸지만 더 이상 그 숫자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시카고대학병원은 최근 18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정리해고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들 직원들은 시카고대 병원 전체 직원의 2%에 해당하는 수치다. 정리해고를 당한 직원들은 퇴직 수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카고대병원측은 성명서를 통해 “공급이 많아지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의료계의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 아울러 팬데믹 당시 직원들을 늘렸는데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정리해고 대상 직원들은 대부분 직접 환자들을 돌보지는 않았기에 이번 결정이 환자 돌봄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카고대학병원은 2022년 매출 26억달러, 순익 2560만달러를 기록했다. 남부 하이드파크에 위치한 시카고대학병원은 8억달러 이상을 투자해 57만평방피트 규모의 암 센터를 짓고 있으며 2027년 완공될 예정이다.     러시대학병원 역시 직원 정리해고에 나섰다. 정확한 정리해고 규모는 밝히지 않았지만 행정 업무를 보는 직원과 일부 고위직을 해고했다. 러시대학병원의 2022년 매출은 26억달러, 순익은 1800만달러였다.       한편 불법입국 이민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도 직원 임금을 20% 삭감하는 조치를 취했다. 라티노 커뮤니티인 필센의 알리비오 병원은 기존 40시간이던 직원들의 근무시간을 32시간으로 줄였고 비자발적 무급 휴직 중이던 일부 직원은 병원에서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병원 시카고대 병원 직원 정리해고 주요 병원들

2024.02.08. 13:42

썸네일

[건강 칼럼] 다니던 병원·의사가 없어졌어요

요즘 부쩍 다른 치과의 환자분들이 찾아와 다니던 병원이 문을 닫았다는 말을 한다. 환자분이 임플란트 이식을 하고 때가 되어 크라운을 하기 위해 다니던 병원을 찾았더니 문을 닫았단다. 병원에 전화를 수십차례 한끝에 겨우 연락된 병원 측에서는 담당의사가 없어서 치료를 못 해주고, 미리 지불한 치료비도 환불 못 해 준다고 한단다. 더 황당한 것은 그 병원이 파산했다고 한다는 것이었다.     환자 입장에서는 난감한 일일 것이다. 미국의 치과나 의과도 개인 병원의 경우 대체로 자기 이름을 사용하고 그 자체가 법인의 명칭도 된다. 의료법인은 의료인이 아닌 사람이 주인이 될 수 없는 것이 법이다.     그럼에도 타인의 면허를 빌리거나, 고용의사를 써 사무장 병원을 불법으로 운영하는 곳이 한인타운에 많이 있다. 협회에 편지를 써 불법치과라고 고발해 온 분들도 많다. 협회 차원에서 정확한 사실확인을 통해 사법 당국에 고발조치를 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지만, 그동안 생길 환자분들의 피해는 어떻게 막을 길이 없다.   이런 피해를 줄이는 길은 환자분들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조금의 노력을 기울이면 될 것이다.   1. 의사의 이름이 치과명이 아닌 치과의 경우, 꼭 주인이 치과의사인지를 확인하자. 되도록 주인인 치과의사에게 치료를 받도록 한다. 불법인 치과(주인이 치과의사가 아닌)에서 일하는 치과의사들 대부분 갓 치과대학을 졸업한 사회 초년생이다. 이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용만 당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진료의 책임소재를 따지는 상황이 되면 매번 환자에게는 불리한 경우가 된다.   2. 진단, 즉 치료계획을 만드는 이가 치과의사가 아닌 경우 대부분 불법치과이다. 법적으로 의사만이 치료 계획을 짤 수 있고, 환자에게 직접 설명해줘야 한다. 하지만 이런 불법 치과의 경우 사무장이라는 여자들이 환자에게 직접 치료계획을 짜고 설명하고 진료비를 수납하는 일까지 한다.     3. 비용을 무조건 선불로, 현금으로 요구하는 곳은 일단 조심하자. 특히 임플란트 치료는 오래 걸리기에 굳이 미리 다 지불할 필요가 없다. 할인을 조건으로 선불 요구 시 의심해 볼 여지가 있다. 제대로 된 치과라면 굳이 진료비를 미리 받아야 할 이유가 그리 많지 않다.   4.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인터넷을 통해 치과 보드에 신고하자. 모든 상황을 날짜나 치료 일자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기에는 의사의 성명, 다니는 병원의 이름 및 주소 등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야 한다.     1) 의사의 라이센스나 병원이 합법적인지, 보드에 등록된 곳인지를 확인한다. 이곳에서 찾을 수 없는 병원이나 의사라면 불법인 확률이 100%다. 자기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 치과라 하더라도 병원의 명칭을 등록해야 하기 때문이다.   2)치과 보드에 신고하는 링크(www.breeze.ca.gov/datamart/complaint.do?applicationId=1)를 이용하자. 단 돈과 관련된 문제는 다루지 않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 본인이 겪은 사례만 적으면 된다. 2024년 치아건강, 신체건강들 하시고 새로운 한 해 모두가 행복하시길 빕니다.   ▶문의:(213)383-5151 김필성 원장 / 윌셔임플란트 센터건강 칼럼 병원 의사 치과의사들 대부분 사무장 병원 불법 치과

2024.01.02. 19:08

OC병원 6곳 A등급 받아…‘립프로그’ 안전성 평가

오렌지카운티 병원 19곳 가운데 6곳이 비영리단체 '립프로그 그룹(Leapfrog Group)'의 안전성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   립프로그 측은 최근 오진, 의료 사고, 병원 내 감염 등의 요소를 근거로 조사한 병원 안전성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A등급을 받은 곳은 뉴포트비치의 호그 메모리얼 병원, 어바인 호그 병원, 애너하임의 카이저 퍼머넌테 병원, 라구나힐스의 메모리얼케어 새들백 병원, 오렌지의 UC어바인 병원, 애너하임의 웨스트 애너하임 병원 등 6곳이다.   B등급은 2곳, C등급은 9곳, D등급은 2곳으로 집계됐다. 최저 등급인 'F'를 받은 병원은 없다.   한인이 많이 찾는 풀러턴의 세인트 주드 메디컬 센터는 B등급, 가든그로브 병원은 C등급을 각각 받았다.D등급을 받은 곳은 파운틴밸리 리저널 병원과 로스알라미토스 병원이다.병원 등급 오렌지카운티 병원 uc어바인 병원 병원 안전성

2023.11.07. 21:00

일리노이 주 병원들 수준 ‘보통’

일리노이 주 병원들의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2회 병원 안전 평가보고서를 내놓고 있는 소비자 감시 비영리단체 '립프로그'(Leapfrog)는 지난 6일 2023 가을철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 전역 3000여 곳의 병원을 대상으로 5개의 주요 부문에서 의사 및 간호사와의 소통, 직원 대처, 약 처방, 퇴원 정보 등 30개 세부사항으로 나눠 평가한 후 각 병원에 대해 A부터 F까지의 등급을 매겼다.     일리노이 주 소재 병원은 지난 봄철의 112곳에서 약간 줄어든 109곳이 평가 대상에 포함됐다.     이에 따르면 일리노이 주 병원들에 대한 평가는 대체적으로 약간 하락했고 주별 순위는 보통 수준인 전체 28위로 지난 봄철 평가와 같았다.   시카고 대학 병원, 노스쇼어 유니버시티 헬스시스템, 러시 대학 병원 등 총 27곳의 병원(24.8%)은 A등급을 받았다.     지난 봄철 보고서에서 B등급으로 평가됐던 3곳의 병원(애센션 레저렉션 병원, 네이퍼빌 에드워드 병원, 노스웨스트 커뮤니티 병원)은 이번 가을 보고서에서 A등급으로 상향 평가됐다.     일리노이 주서 B등급 평가를 받은 병원은 24곳(22.0%)이었고 C등급 평가를 받은 병원은 50곳(45.9%)이었다.     D등급을 받은 병원은 총 8곳으로, 지난 봄 평가에서 C등급이었던 병원 4곳이 D등급으로 하락 평가됐다.     이번 가을 보고서에서 F등급을 받은 일리노이 주 병원은 한 곳도 없었다.     주별로는 전체 병원 51.9%가 A등급을 받은 유타 주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고, 이어 버지니아, 노스 캐롤라이나, 펜실베이니아, 사우스 캐롤라이나, 코네티컷, 몬타나, 테네시, 플로리다, 텍사스 등이 차례로 2위부터 10위까지를 차지했다.  Kevin Rho 기자일리노이 병원 일리노이 주서 커뮤니티 병원 에드워드 병원

2023.11.07. 16:07

썸네일

UCSD 핼스 알바라도 병원 인수

샌디에이고 카운티의 대표적 의료그룹인 UC 샌디에이고 핼스가 동부 지역에 소재한 알바라도 호스피털을 인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샌디에이고 주립대(SDSU) 인근에 소재해 있는 알바라도 호스피털은 올해로 개원 52주년을 맞이한 중형 종합병원으로 302개의 병상을 운영 중이며 간호사와 테크니션 등 600여 명의 직원이 소속돼 있다.     알바라도 호스피털을 소유하고 있는 프라임 핼스케어에 의하면 이번 인수작업은 올해말 완료될 예정이다.알바 병원 병원 인수 이번 인수작업 중형 종합병원

2023.10.10. 19:32

보일하이츠 병원서 정전…환자 200여명 긴급 대피

21일 보일하이츠의 한 병원에서 정전으로 200명 이상의 환자가 긴급 대피했다.   LA소방국(LAFD)에 따르면 이날 오후 11시 45분쯤 이스트 시저 차베즈 애비뉴와 노스 보일 애비뉴 인근에 위치한 어드벤티스트 헬스 화이트 메모리얼 병원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메인 전원은 물론, 비상 전원까지 작동하지 않으면서 병원 내 241명의 환자가 6층 건물에서 주차장 밖으로 긴급 대피했다. 이중 유아 14명을 포함한 위급환자 28명은 인근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     또 대피 도중 진통을 느낀 임산부는 긴급 분만을 했는데 소방관들은 손전등을 사용해 분만을 도왔으며 임산부와 신생아는 출산 직후 다른 병원으로 이송돼 안정을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현장에는 104명의 소방관이 출동해 엘리베이터 작동이 중단되자 긴급 환자를 일일이 들것에 실어 대피시켰다.   병원 측은 22일 오전 전력이 복구됐다고 밝혔으며 정확한 정전 원인은 현재 조사 중이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병원 정전 인근 병원 위급환자 28명 정전 원인

2023.08.22. 23:16

전국 최우수 병원에 뉴욕 병원 4곳 포함

뉴욕주의 병원 4곳이 전국 최고병원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뉴저지주 병원은 이 그룹엔 포함되진 않았으나 해켄색대 메디컬 센터가 뉴저지주 최고 병원으로 선정됐다.     1일 US뉴스&월드리포트가 발표한 2023~2024 '최고 병원 아너롤(Best Hospital Honor Roll)'에 따르면, 최고 병원으로 선별된 22개 병원 중 뉴욕주 병원 4곳이 포함됐다.     US뉴스&월드리포트는 당초 매년 전국 병원의 순위를 매겨 공개했지만, 올해는 전국 병원 랭킹은 발표하지 않고 최고 병원 그룹에 든 22개 병원의 이름만 공개했다. US뉴스의 분석 시스템에 의심을 품는 의견이 나왔고, 또 전국 병원 서열은 큰 의미가 없다는 비판에 따른 조치다. 대신 US뉴스는 심장수술과 무릎 수술, 백혈병, 림프종 및 골수종 등 어려운 벤치마크 수술 평가, 복잡한 전문 진료분야, 각 병원에서 치료받은 환자의 결과와 환자들이 경험한 의료 서비스의 질, 병원 내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돼 있는지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최고 병원을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전국 22개 최고 병원에 포함된 뉴욕주 병원은 ▶마운트사이나이병원 ▶뉴욕 프레스비테리언 병원-컬럼비아·코넬대학 ▶노스쇼어대학 병원 ▶뉴욕대 랭곤 병원 등이다. 아너롤에 포함되진 않았지만 높은 점수를 받은 뉴욕주 병원은 레녹스힐·롱아일랜드 주이시 병원·세인트프란시스병원·몬테피오르 병원 등이었다.   뉴저지주 병원 중에서는 아너롤 명단에 포함된 병원은 한 곳도 없었다. 다만 뉴저지주 병원 중에는 버겐카운티 해켄색에 위치한 해켄색대 메디컬센터가 1위 랭킹에 올랐다. 해켄색대 메디컬센터는 암과 심장병, 당뇨 및 내분비계 치료가 전문적이란 평가를 받았다. 뉴저지주 2위 병원은 모리스타운 메디컬센터, 3위는 밸리병원, 4위는 오버룩 메디컬센터 등이었다.   US뉴스 측은 "대부분의 환자는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가까우면서도 전문성이 높은 병원을 찾는 경향이 있다"며 "이에 따라 국가적으로 병원 서열을 매기는 것보다는, 암·심장병·신경·산부인과 등 분야별로 전문적인 병원의 순위와 지역에 따른 병원 등급을 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평가 시스템을 바꾸게 됐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병원 최우수 전국 최고병원 뉴욕주 병원 전국 병원

2023.08.01. 21: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