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에 들어가는 비용이 해가 갈수록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금융 사이트 ‘싱크로니’가 최근 발표한 ‘2025 반려동물 평생관리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이후 반려견에 들어가는 비용은 10%, 반려묘는 20% 가까이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약 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10명 중 8명 꼴로 반려동물 관리 비용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실제 지출이 크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15년 동안 개를 기른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는 2022년보다 평균 11.65% 증가한 2만2125달러~6만602달러가 든다. 고양이의 경우 증가폭이 더 커 2022년보다 평균 19.4% 증가한 2만~4만7106달러 이상이 드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용 부담을 느낀다고 답한 주인은 2022년 3명 중 1명꼴이었던 반면, 올해는 거의 2명 중 1명꼴로 증가했다. 반려동물 보호자 4명 중 3명(74%)은 250달러가 넘는 ‘예상치 못한 반려동물 관리 비용’를 부담한 적 있다고 답했으며, 31%의 보호자만이 고액의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싱크로니 측은 “개 보호자의 60%, 고양이 보호자의 61%, ‘포켓 펫(크기가 주머니에 들어갈 정도로 작은 햄스터 등)’ 보호자의 59%가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지만, 많은 사람들이 진짜 재정적 부담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려견 보호자의 경우 평생 관리 비용을 약 8000달러로 추산하는데, 실제로 15년간 드는 평균 관리 비용은 2만2000~6만 달러 수준. GPS 목줄, 스마트 급식기, 원격 수의사 플랫폼 등 신기술과 기기가 도입되면서 그만큼 비용도 증가했다. 반려묘도 마찬가지다. 반려동물제품협회(APPA)에 따르면 현재 국내 4900만 가구(전체의 37%)가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 30%보다 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고양이 보호자들은 고양이의 평균 수명 15년을 기준으로 6000달러 미만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실제 지출액은 2만 달러에 가깝다. 자동 변기, 사료 공급기 등의 스마트 기기들이 도입되면서 연간 지출 비용이 185~385달러에서 350~480달러로 증가했다. 햄스터와 같은 ‘포켓 펫’에도 수명이 6년이라고 가정했을 때 7600달러~1만4938달러가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켓 펫의 주인들이 관리 비용을 과소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6년간의 반려동물 수명 중 최대 1만5000달러 가까이 들지만, 3000달러 미만 지출한다고 생각했다. 윤지아 기자반려동물 비용 고양이 보호자들 반려동물 보호자 반려동물 수명
2025.06.17. 14:38
가주에서 단독주택을 소유하는 데 드는 ‘숨겨진 비용’이 연 3만 달러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정보 웹사이트 뱅크레이트가 지난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의 주택 소유주는 모기지 이자와 원금 상환 외에도 집을 소유하기 위해 세금과 보험료 등 기타 비용으로 연 3만2262달러를 지불해야한다. 이는 전국에서 하와이에 이어 2번째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국 평균인 2만1400달러와 비교해서 무려 51%나 더 비싼 것이다. 이 조사는 데이터 집계가 제한된 뉴욕을 제외한 전국 49개 주에서 단독주택을 소유했을 때 올해 기준 발생하는 재산세, 보험료, 에너지 요금, 인터넷·케이블 비용, 유지보수 비용을 모두 합산해 분석했다. 가주의 경우 연간 유지보수 비용만 1만7338달러에 이르며, 평균 재산세 또한 7378달러로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높다. 보험료와 유틸리티 등 기타 비용은 연 7546달러로 집계됐다. 이를 전국 기준과 비교하면 연간 평균 주택 유지보수 비용인 8808달러보다 97% 높으며, 재산세의 경우 전국 평균 4316달러 대비 71% 더 많았다. 주택 소유 비용이 큰 이유는 높은 주택 가치로 인해 세금과 보험료가 오르는 데다, 지난 5년간 누적 인플레이션도 약 25%에 달하면서 건축 자재와 인건비, 서비스 비용 등이 급등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같은 물건이라도 5년 전 100달러에 살 수 있었던 것이 이제는 125달러가 된 셈이다. 이 같이 숨겨진 비용은 특히 첫 주택 구매자들에게 더 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뱅크레이트의 주택 대출 전문가 린다 벨은 “대부분 사람들은 주택 구매 시 월별 모기지 상환금만을 고려하고 숨겨진 비용까지는 예상하지 못한다”며 “정기 유지보수, 재산세, 공공요금 등은 매년 수천 달러에 달해 가계 재정에 큰 압박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비용 부담은 주택 구매자들의 후회로 이어지고 있다. 뱅크레이트가 별도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주택 구매를 후회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가운데 42%가 예상보다 높은 유지보수 및 기타 숨겨진 비용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이 같은 불만은 다른 재정적 스트레스보다도 더 흔하게 나타난 후회 요인으로 분석됐다. 벨은 또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비용 부담은 확연히 달라진다”며 “비용이 낮은 지역이라 해도 숨은 비용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수천 달러의 지출은 여전히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주택을 소유하는 데 이처럼 적지 않은 숨겨진 비용이 있기 때문에 주택 구매를 고려하는 이들이라면 초기 구매 비용 외에도 장기적인 유지 비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전국에서 주택 소유 비용이 가장 높은 지역인 하와이에선 연 3만4573달러가 드는 것으로 집계됐다. 수리 및 보수 비용은 평균 1만9642달러, 재산세는 4301달러였지만 에너지와 유틸리티 비용은 평균 7871달러에 달했다. 이 밖에도 주택 소유를 위한 비용이 연 2만9751달러인 뉴저지가 3위, 2만9277달러의 매사추세츠가 4위, 2만7444달러의 워싱턴이 5위 순이었다. 우훈식 기자단독주택 비용 주택 구매자들 케이블 비용 주택 소유 박낙희 가주 주택 보험료 재산세
2025.06.15. 19:50
토론토 교통공사(TTC)가 시내 중심가에 위치한 던다스(Dundas) 지하철역의 명칭을 ‘TMU역(Toronto Metropolitan University Station)’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14일(수) TTC 이사회 정기회의에서 공식 승인됐다. 토론토시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TTC는 “던다스역 인근 지역과 토론토 메트로폴리탄 대학교(TMU)의 변화와 성장에 발맞춰 역명을 변경해야 한다”고 밝혔다. TTC는 이미 요크(York), 뮤지엄(Museum), 퀸즈파크(Queen’s Park), 오스구드(Osgoode)역 등 주요 목적지나 기관의 이름을 딴 명칭을 사용하는 관행을 유지하고 있으며, TMU역으로의 변경도 이 기조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는 “TMU의 급속한 확장과 더불어 던다스역은 캠퍼스 및 학생 생활과 긴밀히 연결된 공간이 됐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사회는 변경 비용 전액을 TMU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명칭 변경을 승인했다. 자말 마이어스 TTC 이사회 의장은 “이와 관련된 모든 비용은 TMU가 부담하며, 세금은 전혀 투입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명칭 변경은 단순한 이름 교체에 그치지 않는다. TTC와 TMU는 이번 기회를 계기로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 허브(innovation hub)’를 공동 설립하고, 연구와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선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모하메드 라셰미 TMU 총장은 “우리 학교는 관련 분야의 전문성과 연구력을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해 토론토시와 TTC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마이어스 의장 또한 “교통 이용 패턴과 서비스 방식이 변화하고 있는 지금, 실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연구 파트너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2023년 말 토론토 시의회가 ‘던다스’라는 이름이 노예제 폐지를 지연시킨 인물 헨리 던다스(Henry Dundas)와 관련 있다는 학계 연구에 따라 ‘영-던다스 광장(Yonge-Dundas Square)’의 이름을 ‘산코파 광장(Sankofa Square)’으로 변경한 데 이은 것이다. 제인/던다스 도서관은 ‘다니엘 G. 힐 분관’으로 이미 이름이 바뀌었으며, 던다스 웨스트 역도 향후 명칭 변경이 예정돼 있다. 다만 마이어스 의장은 “TTC나 TMU는 헨리 던다스라는 인물에 대해 어떤 입장을 밝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이번 변경은 시의 요청에 따른 행정적 조치이며, 타이밍상 라인 6(LRT) 구축과 함께 진행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한 이번 역명 변경이 ‘시간이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하며, 곧 도입될 핀치 웨스트 경전철 노선(Line 6 Finch West LRT) 관련 고객 안내 시스템 변경과 병행해 진행하면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비용 전액 명칭 변경 토론토 교통공사 변경 비용
2025.05.20. 7:09
"추가 발전비용도 부담해야"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 집중적으로 건설되고 있는 데이터센터에 더 비싼 전기요금을 적용하는데 더해 추가 비용까지 부담시키는 법안이 조지아 주의회에 상정됐다. 데이터센터가 조지아로 몰리는 이유는 땅값이 싸고, 세금 혜택을 많이 주기 떄문이다. 그러나 24시간 내내 돌아가는 ‘전기 먹는 하마’라고 불리는 데이터센터로 인해 치솟는 전기요금이 주민들에게 전가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주 정부 산하 유틸리티 규제 기관인 공공서비스위원회(PSC)는 최근 데이터센터에 더 비싼 전기요금을 적용하는 조지아파워의 요금체계 조정안을 승인했다. 이에 더해 데이터센터에 전기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추가 비용을 물리는 법안(SB 34)도 상정됐다. 법안은 지난달 척 허프스테틀러(공화·롬) 상원의원이 발의했으며, 이번주 상원 소위 투표에 부쳐질 전망이다. 상업용 부동산회사 CBRE에 따르면 작년 중반까지 애틀랜타의 데이터 센터 건설은 전년 동기보다 76% 급증, 북미 8개 주요 지역세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데이터센터는 100메가와트 이상의 전기를 필요로 하며, 조지아에 계획된 일부 센터는 서버를 계속 가동하기 위해 1000메가와트가 필요하다고 보도했다. 이는 조지아의 새 원전 보글의 최대 출력과 맞먹는다. 1메가와트는 수백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법안은 데이터센터 건설은 새로운 송전 인프라, 발전소 건설, 연료 비용 상승 등을 수반하기 때문에 이들 비용을 데이터센터에 부담시키도록 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허프스테틀러 의원은 “소비자가 불공평한 비용을 계속 부담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조지아파워는 이미 여러 차례 가정용 전기요금을 인상했다. 2022년 말부터 PSC가 승인한 일련의 요금 인상으로 인해 조지아 일반 가정의 평균 월 전기요금은 약 43달러나 상승했다. 반면 조지아파워는 'SB 34' 법안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PSC가 이미 데이터센터에 일부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승인했기 때문에 추가로 법안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지난해 데이터센터에 대해 세금감면 혜택을 중단하는 내용의 법안이 상정됐으나 투자 유치 위축을 우려한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가 거부권을 행사했다. 올해도 켐프 주지사의 반대가 있을지, 데이터센터 붐이 얼마나 지속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윤지아 기자데이터센터 비용 데이터센터 인근 서비스 비용 연료 비용
2025.02.11. 14:08
집을 파는 일은 누구에게나 큰 부담이다. 이사를 준비하면서 몇 달에 걸쳐 좋은 구매자를 찾는 일은 살면서 가장 큰 스트레스의 하나로 꼽힌다. 집을 시장에 내놓는 순간, 살면서 남긴 모든 흔적은 좋은 가격을 받는 데 오히려 방해 요소가 되기 쉽다. 벽에 난 움푹 팬 자국이나 깨진 타일, 부풀어 오른 나무 바닥 등이 보이면 모두 수리를 해야 할 것 같은 부담을 느낀다. 집이 너무 낡아 보이거나 관리가 안 된 것 같으면 구매자들은 낮은 가격을 제시하려 한다. 이 때문에 집을 내놓기 전에 부엌을 리모델링하는 등 깔끔하고 세련되게 보이려 한다. 주택 판매 전 수리를 하려는 욕구를 느낄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투자 대비 수익이다. 핵심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집의 가치를 최대한 높이는 것이다. 투자 대비 수익을 높이려면 구매자가 원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주택 구매자는 집을 볼 때 자신의 가구와 소품이 새로운 공간에 어떻게 어울릴지 상상한다. 판매자의 취향이 너무 강하면 이런 상상을 방해할 수 있다. 구매자가 공간마다 자신만의 스타일을 마음껏 구상할 깔끔한 공간을 가장 쉽고 저렴하게 만드는 방법은 바로 페인트칠이다. 주택 관리 전문잡지 '베터 홈스 앤 가든스'의 설문 조사에서 부동산 에이전트의 99%가 집의 가치를 올리는 업그레이드로 페인트칠과 조명 교체를 선택했다. 둘 중에서는 페인트칠을 꼽은 에이전트는 80%나 됐다. 페인트칠이 되지 않은 집은 또 관리가 덜 된 것처럼 보이고 구매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준다. 구매자가 계약을 하기로 결정했더라도 페인트칠 비용을 이유로 가격을 낮춰달라고 요구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협상 과정에서 페인트칠 가치 이상으로 가격을 깎으려 할 가능성이 있다. ▶어떤 색을 고를까 일반적으로 다양한 인테리어 스타일과 어울리려면 개성이 강하고 강렬한 색상보다는 뉴트럴 컬러가 좋다. 최근 몇 년 사이에 페인트칠을 새로 했고 상태가 양호하더라도 재도색 대신 고압 세척을 고려해 볼만하다. 고압 세척을 하면 집을 깔끔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부동산 플랫폼 질로가 최근 집을 샀거나 집을 살 예정인 1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특정 페인트 색상이 집값을 5000달러까지 올린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를 바탕으로 페인트 회사 베어는 질로와 협력해 집의 가치를 높일 페인트 색상을 추천했다. 베어의 에리카 웰펠 색상.창의성 부문 부사장은 색상은 공간에 대한 감정적, 심리적 반응을 강하게 일으킬 수 있다고 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웰펠 부사장은 파란색과 회색, 녹색, 흰색은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차분한 색상으로 구매자들이 집을 둘러보면서 공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구상을 펼치도록 한다고 말했다. 욕실엔 연한 블루= 욕실 페인트는 연한 파란색이 투자 수익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응답자들은 욕실이 연한 파란색인 집에 더 관심을 보였고 구매 의향을 높였다고 답했다. 가격 면에서도 집값 상승 가치가 있다고 봤다. 설문조사에 나타난 선호도를 반영하여 베어는 욕실 페인트로 '이시리얼 무드 MQ3-52(Ethereal Mood MQ3-52)'와 같은 편안한 색상을 추천했다. 침실엔 블루= 침실 페인트는 연한 색에서 짙은 색까지 파란색 선호도가 높았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이 중에서도 아늑한 분위기를 만드는 좀 더 진하고 분위기 있는 파란색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베어는 '소우전 블루 M500-5(Sojourn Blue M500-5)' 같은 짙은 파란색을 추천했다. 블루는 2025년의 색으로 꼽히기도 했다. 페인트 회사 '더치 보이'는 올해의 색으로 '맵드 블루(Mapped Blue)'를 선정했다. 중간 톤의 파란색인 맵드 블루는 옐로우 언더톤이 가미돼 따뜻한 느낌을 준다. 다양한 인테리어 스타일과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꼽혔다. 더치 보이의 리스베스 파라다 컬러 마케팅 매니저는 "맵드 블루가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사이에서 선호도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방과 거실은 중립적인 색상= 주방이나 거실과 같은 공간에서는 중립적인 색상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주방에는 '폴라 베어 75(Polar Bear 75)와 같은 깔끔한 흰색 페인트가 90만 달러 주택의 경우 집의 가치를 1500달러 정도 높인다는 응답이 많았다. 거실은 연한 회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가치 상승도는 600달러 정도로 예상됐다. 집 가치를 떨어뜨리는 색상= 질로의 페인트 색상 설문조사에서는 주택의 가격 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색상도 제시됐다. 너무 밝고 요란한 색상은 거의 모든 공간에서 구매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특히 주방에 밝은 노란색 페인트를 칠했을 때는 구매 욕구를 떨어트린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에 밝은 빨간색을 썼을 경우 응답자들은 90만 달러 주택 거래에서 4000달러 정도의 가치 하락을 예상했다. 안유회 객원기자페인트 비용 페인트칠 가치 페인트칠 비용 페인트 색상
2025.02.05. 18:00
국세청(IRS)이 세금보고 시즌을 앞두고, 업주들에게 W-2, W3, 1099-NEC를 31일까지 제출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정식 고용된 직원에게 지불한 임금에 대한 보고인 W-2나 W-3의 경우 고용주가 사회보장국(SSA)에 보고해야 한다. 프리랜서 등 직원이 아닌 납세자에게 비용을 지급해서 1099-NEC를 발급한 경우에는 이를 IRS에 보고해야 한다. W2와 1099-NEC는 수령자에게도 사본을 수령자에게 송부해야 한다. IRS는 연 10건 이상 이상의 보고를 하는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전자 신고를 해야 한다고 밝히며 전자 신고가 가장 빠르고 정확하다고 덧붙였다. W-2 등 일부 양식에 대해서는 최대 30일까지 마감 기한을 연장할 수 있으나, 이는 반드시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연장 신청은 거부당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IRS 측은 마감 기한을 넘기거나 서류에 오류가 있을 경우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며 마감기한 준수를 당부했다. 다만 연방재난관리청(FEMA)이 지정한 재난 지역에 속한 납세자들이나 기업은 마감기한이 10월 15일로 자동 연장된다. 한편 IRS는 올해 세금보고 접수는 27일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IRS 웹사이트(irs.gov)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원희 기자마감기 비용 엄수 당부 비용 보고 전자 신고
2025.01.23. 22:52
얼마 전 캘리포니아 주에 거주하는 한 학부모가 문의해 왔다. 작년에 첫째 자녀가 사립대학에 진학하며 제출한 재정보조에 문제점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학부모는 가정수입이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 발표하는 수입에 대한 지원금 가이드라인과 보조금에 큰 차이가 있었다며 불만을 표했다. 대학에 가정형편이 어려움을 호소하며 재차 어필을 했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가을학기가 이미 절반 이상 지난 상황에서 다음 학기에 지불해야 할 수만 달러의 학비가 큰 재정부담이 되어 방도를 찾고자 했다. 내용을 검토해 본 결과, 이는 사전에 충분히 피해갈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학부모는 수입이 적으니 재정보조가 잘 이루어질 것이라 믿고 방치한 결과, 연간 약 4만 달러나 더 적게 지원받는 불이익을 당했다. 제출된 정보 자체는 대학의 재정보조 계산 평가 방식에 큰 문제가 없었다. 다만, 대학이 적용하는 재정보조 계산 공식 기준으로 산출된 Financial Need 금액에 대해 대학이 평균치보다 조금 적게 지원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는 재정보조 담당관의 개인적 편견이 약간 반영된 것처럼 보였지만, 재정보조 계산의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결국, 해당 가정은 예상 밖의 엄청난 재정부담으로 어려움에 봉착했다. 금년에 사전설계와 재정보조 공식을 이해하지 못한 탓에, 부족한 금액을 부모융자금인 PLUS(Parent Loan for Undergraduate Student)로 대처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해당 부모는 자녀가 어릴 때부터 대학 학자금에 대한 우려로 529플랜을 꾸준히 저축해 왔다. 약 10만 달러에 달하는 금액을 모았지만, 적립금 대비 이자로 늘어난 금액은 1만 달러도 채 되지 않았다. 문제는 이 저축금액이 재정보조금 계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대학은 529플랜을 학자금 사용 목적으로 설정된 자산으로 보고, 해당 금액을 SAI(Student Aid Index) 계산에 포함시켜 지원금 산정에 불이익을 준다. 이로 인해 학부모는 해당 금액을 먼저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만약 학부모가 사전에 529플랜을 해약했다면, 이자로 발생한 약 1만 달러의 수입에 대해 10% 패널티 세금을 내더라도 원금을 SAI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 자산으로 재배치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SAI 금액이 약 2만 달러 이상 줄어들었을 것이며, 그에 따른 재정보조금 지원도 더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현 시점에서는 이 금액을 학비로 사용하거나 재배치하여 내년도 재정보조 신청서에 적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또한, 학부모는 현재 수입을 줄이기 위해 직장의 401(k)에 최대한 불입하고 있었는데, 이것 역시 불이익을 가져왔다. 401(k) 잔고 자체는 SAI 계산에 크게 반영되지 않지만, 불입금은 모두 Untaxed Income으로 간주되어 SAI 금액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세금 공제를 받지 못한 금액만큼 SAI가 더 증가하는 구조였다. 이 외에도 크고 작은 사전설계가 부족해 추가로 비용이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사전에 시간을 들여 재정보조 설계를 제대로 했다면, 수만 달러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문제는 재정보조 신청서 제출 내용을 대하는 학부모들의 안이한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이다. 준비 부족으로 발생한 엄청난 비용은 돌이킬 수 없다. 이는 ‘사후약방문’이라는 고사성어를 연상시키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문의: (301)219-3719 / [email protected]미국 비용 재정보조금 계산 재정보조금 지원 재정보조 계산
2025.01.22. 15:22
콜로라도 주내 주요 메트로폴리탄 2개 지역의 평균 결혼비용은 3만4천~3만5천달러로 주택 다운 페이먼트(선금/계약금)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체 주카사(Zoocasa)는 전미부동산인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NAR)의 2024년 데이터를 사용해 미국내 가장 큰 메트로폴리탄 통계 지역(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80곳의 단독 주택 중간 매매 가격을 조사했다. 주카사는 처음 집을 구매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다운 페이먼트가 주택 구입가의 8%라는 NAR의 자료와 결혼 전문업체인 더 노트(The Knot)의 2023년 미전국 결혼 비용 자료를 토대로 80개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평균 결혼 비용과 다운 페이먼트 비용을 비교했다.NAR에 따르면 전국 단독 주택 중간 매매 가격은 2023년 2분기 40만2,500달러에서 2024년 2분기 42만2,100달러로 올랐다. 더 노트에 따르면, 2023년 전국 평균 결혼식 비용은 3만5,000달러로 2022년보다 5,000달러 증가했다. 콜로라도 주내 2개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경우 모두 다운 페이먼트가 결혼 비용 보다 더 많이 들었다. 덴버의 경우 단독 주택 중간 매매 가격은 66만9,900달러고 8% 다운 페이먼트는 5만3,592달러로 평균 결혼 비용 3만5천달러에 비해 현저히 많았다. 콜로라도 스프링스도 단독 주택 중간 매매 가격은 47만9,600달러, 8% 다운 페이먼트는 3만8,368달러로 평균 결혼 비용 3만4천달러 보다 더 비쌌다. 주카사는 전국 80개 메트로폴리탄 도시 중 47개 도시에서 주택 다운 페이먼트가 평균 결혼 비용보다 낮았다면서 “큰 축하 행사에 열광하지 않는 커플의 경우, 결혼식을 건너뛰고 대신 결혼 비용을 다운 페이먼트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휴스턴의 경우, 결혼식 비용을 다운 페이먼트로 사용하더라도 8,842달러나 남기 때문이다. 그러나 덴버처럼 주택 다운 페이먼트가 결혼 비용 보다 현저히 많은 도시에서는 결혼식을 올리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고 주카사는 덧붙였다. 주카사는 첫 주택을 사고 결혼식을 올리는 것이 부부의 인생에서 가장 큰 비용 중 두 가지일 수 있지만 이러한 비용을 낮추고 둘 다 감당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고 전했다. 부부가 평균 결혼 비용이 높은 도시에 살고 있다면 더 저렴한 지역에서 목적지 결혼식(destination wedding)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 또한 50명 미만의 하객만을 초대하는 결혼식의 평균 비용이 1만6,700달러 정도고 라이브 밴드 대신 DJ를 선택하는 등 공급업체 비용을 줄일 수도 있는 스몰 웨딩도 방법의 하나라고 조언했다. 김경진 기자결혼 비용 결혼식 비용 평균 결혼비용 결혼 비용
2024.10.30. 12:27
━ ADU 신축시 고려해야 할 사항 〈1〉 건축비가 전부는 아니다 〈2〉 ‘먹튀’에 보상 방법 막막 #. 오렌지카운티 부에나파크에 거주하는 S씨는 은퇴 후 안정적인 수입을 얻고자 1000스퀘어피트 크기의 별채(ADU)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건축 비용만 생각했던 그는 시 정부에 내야하는 건축 관련 비용이 너무 많아서 화들짝 놀랐다. 세금과 행정 처리 비용 명목으로 시 정부에 납부해야 하는 금액이 총 건축비의 10%가 훌쩍 넘는 2만8000달러나 됐기 때문이다. 예산이 빠듯했던 그는 홈에퀴티라인오브크레딧(HELOC)을 통해 신축 비용을 마련했는데 추가 비용이 발생해 난감해하고 있다. 가주 전역에 별채(ADU)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일부 주택 소유주들은 ADU 건축과 관련해 예상치 못한 큰 금액을 시 정부에 납부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ADU를 지을 때면 건축 비용 외에도 세금, 행정 처리 수수료 등 로컬 정부에 납부해야 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를 간과했다가는 낭패 보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이 비용은 로컬 정부에 따라 달라서 ADU 신축 결정 전에 관할 로컬 정부에 미리 확인해야 난감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부에나파크의 S씨의 경우엔 건축계획 검토 비용, 건축 허가비용, 개발부담금(impact fee) 등을 건축주가 내야 한다. 개발부담금을 제외한 나머지 비용들은 2000달러 내외이기 때문에 심각한 부담이 되지는 않는다. 개발부담금도 750스퀘어피트 미만이면 면제된다. 하지만 750스퀘어피트 이상의 ADU를 짓는다면 개발부담금은 크기에 따라 비례해 커져서 유의해야 한다. S씨의 경우, 개발부담금에 해당하는 교육세와 상하수도세가 각각 4750달러와 1659달러다. 편의시설 건설 등에 쓰이는 공원세는 1만7000달러에 육박한다. 다른 비용까지 합치면 S씨가 시 정부에 낸 금액은 2만8000달러가 넘는다. 〈표 참조〉 키바 리모델링의 폴 김 대표는 “많은 한인이 은퇴 후에도 고정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서 ADU를 짓는다”며 “임대수익을 위해 750스퀘어피트 이상 ADU를 건설하는 건축주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건축사무소 린콘 인베스트먼트의 세자르 린콘 대표는 “주로 도심지역보다는 교외 지역에서 공원세 등의 개발부담금이 큰 편”이라며 “부에나파크, 풀러턴, 애너하임, 어바인, 발렌시아 등이 대표적으로 높은 개발부담금을 요구하는 시”라고 말했다. URD 건축의 윤근우 대표는 “ADU 건축을 결정하고 건축비용을 내기 전에 개발부담금 등이 얼마인지 사전에 조사를 하는 게 예산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남가주 모든 로컬 정부가 높은 개발부담금을 부과하는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LA시와 LA카운티의 경우 정부 인허가 및 행정 처리 수수료가 5000달러에서 8000달러 사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ADU 건설 후 재산세가 상승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ADU를 건축하면 주택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재산세도 동반 상승한다. ADU 가치 산정은 건축비용에 기준을 두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일례로 본채 가격이 100만 달러인데 ADU 신축에 30만 달러의 건축비를 투입했다면 130만 달러가 재산세 산정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조원희 기자인허가비 비용 건축 허가비용 건축 비용 신축 비용
2024.10.09. 8:14
#. 사회초년생 권모씨는 안전을 위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같은 큰 차를 타라는 부모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기아 포르테를 구매했다. 계산기를 두드려보니 차 가격이 저렴하고 연비도 좋아 유지비 부담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부모의 SUV를 운전할 때와 달리 운전하기도, 주차하기도 편해 다음에 차를 사더라도 소형차를 구매할 것 같다고 전했다. 자동차업체들이 SUV, 전기차 판매에 주력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여전히 소형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 각 업체들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판매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소형차들이 전년동기 대비 두자릿수 판매 신장을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현상은 치솟는 신차 가격과 오토론 이자율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소형차 구매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LA한인타운의 한 자동차업체 관계자는 “신차 초기비용 부담에 제조업체 권장소매가(MSRP)가 저렴한 모델이나 기본 사양 트림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난데다가 최근 졸업시즌까지 겹쳐 코롤라, 시빅, 포르테, 엘란트라 등 소형차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인기 소형차 모델들의 상반기 누적 판매량을 살펴보면 혼다 시빅과 도요타 코롤라가 각각 12만9788대, 12만1991대에 달해 월평균 2만대 이상씩 판매됐다. 전년 동기 대비 판매 신장률이 가장 높은 모델은 미쓰비시 미라지와 닛산 버사로 각각 86%, 61%씩 증가했다. 〈표 참조〉 이들 두 모델은 MSRP가 각각 1만6695달러, 1만6680달러에 불과해 국내서 판매되는 자동차 가운데 가장 저렴한 모델이라는 점이 소비자들에게 어필되며 판매 급증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자동차 서비스 및 기술 제공업체 콕스 오토모티브가 밝힌 7월 신차 평균 거래가격이 4만7433달러임을 감안하면 3만 달러 이상 저렴한 셈이다. 시작 가격이 2만630달러부터인 닛산 센트라 역시 9만대 가까이 팔리며 55%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닛산 라인업 가운데 2번째로 많이 팔린 모델로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말까지 18만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돼 전국서 가장 많이 판매된 모델 톱 20위에 포함될 수 있다. 자동차 전문매체 모터원은 이들 7개 소형차의 누적 판매량이 상반기에만 48만대를 넘어섰다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뚜렷한 구매자 그룹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수년간 구매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SUV와 마진율이 높은 고사양 모델 판매에 주력하며 소형차 모델을 단종시키고 있는 자동차업체들이 이 같은 소형차 판매 신장에 어떻게 대처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소형차 비용 판매 신장률 소형차 구매 자동차업체 관계자 Auto News MSRP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07.07. 18:00
지출을 줄이는 것이 무조건 유리할까? 가진 돈이 절대적으로 적다면 하는 수 없다. 하지만 선택의 여지가 있다면, 따져봐야 한다. 먼저 ‘거래비용’이다. 은행에서 1,000불을 한꺼번에 찾으면 과소비를 할까 봐 한번에 100불씩 열 번을 찾는다. 이럴 경우에는 은행에 열 번을 가야만 한다. 시간도 열 배가 들고 기름값도 열 배가 든다. 큰 지출을 아끼느라 값싼 중고차를 산다. 생각지도 못한 고장으로 시간과 수리비용이 든다. 고장이 잦으면 자동차는 정비소에 있는 시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다. 택시비나 렌트비도 생각해야 한다. 때로는 초기비용을 늘림으로써 ‘거래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신혼부부에게 조금 무리가 되더라도 큰 집을 사라고 조언한다. 아이들이 아직 어린 경우는 특히 그렇다. 아이들은 생각보다 금방 자란다. 아이들이 자랄수록 집은 계속 좁아진다. 집을 사면 최소한 5년 이상 살아야 한다. 이사 비용도 그렇고, 사고 팔 때 들어가는 비용도 엄청나다. 새 집을 알아보는 일도, 사는 집을 내놓는 일도, 융자를 새로 얻는 일도,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가 않다. 거래비용을 따져봐야 하는 이유다. 수입을 늘리는 것은 무조건 유리할까? 한 푼이 아쉽다면 벌어야 한다. 하지만, 때로 나쁜 수입은 좋은 수입을 방해한다. 빌 게이츠나 일론 머스크 같은 사람들은 ‘길에 떨어진 100불을 줍는 것이 오히려 손해’라는 말이 있다. 이런 사람들의 시간당 수입을 계산해 보면 1초에 100불이 훨씬 넘는다. 이 사람들은 길에 떨어진 100불을 줍기 위해 1초를 사용하는 것보다, 그 시간을 자신의 회사나 투자를 위해 집중하는 것이 훨씬 이익일 수 있다. ‘기회비용’이다. 기회비용은 어떤 일을 하는 대신에 다른 일을 못하게 되어 잃는 손해를 의미한다. 내가 지금 이 고객 때문에 다른 고객을 잃을 수 있다면, 잃는 고객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수익이 기회비용이다. 지금 내가 쓰는 시간, 지금 내가 쓰는 돈, 지금 내가 유지하는 관계 때문에, 다른 소중한 것들을 얻을 수가 없다면, 얻을 수 없는 것들이 기회비용이다. 온라인으로 집에서 부업을 할 사람들을 모집한단다. 간단한 일만 하면, 내 이름으로 된 가상계좌에 돈을 넣어준단다. 시간이 지날수록 내 돈이 늘어난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온라인 계좌에 있는 내 돈을 찾고 싶어진다. 하지만 그 돈을 찾으려면 수수료를 보내야 한단다. 수수료를 보내도 돈을 찾을 수가 없다. 천만원 단위로만 출금이 가능하단다. 천만원을 채우기 위해 내 돈을 추가로 송금한다. 하지만 여전히 돈을 찾을 수가 없다. 이미 보낸 돈이 아까워 더 많은 돈을 보낸다. 계속 보내도 출금을 할 수 없다. 요즘 온라인에서 흥행하는 신종사기수법이다. ‘매몰 비용’에 대한 미련을 자극하는 수법이다. 이미 내 주머니에서 나간 ‘매몰 비용’이 아까워 사람들은 계속 더 큰 돈을 보낸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가상계좌는 사라지고 업체도 함께 사라진다. 카드를 사용하면 마일리지를 준다. 몇천불을 쓰면 몇만마일을 받을 수 있다. 마일리지를 돈으로 환산하면 몇십불 또는 몇백불이다. 카드회사와 여행업체들은 자신들이 얻는 수익에 비해 아주 작은 마일리지를 준다. 하지만 수만마일이나, 수십만 마일은 마치 내 돈을 쓰고 상당히 큰 이익을 얻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돈으로 돌려주는 캐쉬백도 있다. 캐쉬백이 쌓이는 재미에 필요하지도 않은 소비를 늘린다. 과소비를 부추기는 ‘현혹비용’이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생각 비용 시간당 수입 매몰 비용 이사 비용
2024.05.16. 12:52
비즈니스를 영위하다 보면 자동차 관련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에 따라서 세금공제 여부가 결정된다. 자동차 비용 관련하여 세금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매우 자세한 서류와 입증 자료가 필요하다. 또한, 자동차 관련 비용은 자주 감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증빙 자료로 운행날짜, 출발지와 도착지, 그리고 운행 목적 등을 기록한 자동차 운행 기록부를 반드시 작성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자동차 비용 금액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표준공제 방법(Standard mileage rate) 과 실비정산 방법(Actual expense) 두 가지가 있다. 어떤 방법이든지 개인 용도와 비즈니스 용도로 나누어야 하고, 개인 용도나 출퇴근용으로 발생한 자동차 비용은 공제받을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집에서 출발해서 사무실까지 가는 거리는 온전히 출퇴근 명목이므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없다. 하지만 사무실에서 비즈니스 관련 상담을 하러 가는 경우에 사무실에서 미팅 장소까지는 비즈니스 명목이므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다만, 미팅 장소에서 바로 집으로 퇴근하는 경우는 출퇴근 명목이므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없다. 이렇게 비즈니스용 마일리지를 입증하고 나면, 자동차 비용 공제를 어떻게 받을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표준공제 방법을 선택할 경우, 계산한 비즈니스 마일리지에 기본 마일리지 비율을 곱해서 나오는 만큼을 비즈니스 비용으로 공제할 수 있고, 실비정산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일 년 동안 지출한 연료비, 오일 교환, 수리, 보험, 자동차 세금, 이자 등 비용에 자동차에 대한 감가상각 비용을 합한 금액에서 당해 전체 사용 마일리지 중 결정된 비즈니스 마일리지 퍼센트만큼공제받을 수 있다. 납세자가 표준공제 방법을 선택한 경우에는, 표준공제 방법이 이미 차량 관련 모든 비용을 포함하여 계산되었기 때문에 자동차 관련 비용을 따로 공제할 수 없다. 단, 비즈니스 목적으로 사용된 주차비와 통행료는 자동차 비용이 아닌 주차비 또는 통행료라는 비즈니스 공제 항목으로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자동차가 비즈니스로 사용된 첫해에 표준 공제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그다음 해에는 실비정산 방법과 표준공제 방법을 계산하여 납세자에게 더 유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지만, 첫해에 실비 공제 방법을 사용한 납세자는 그 자동차에 관해서는 실비 공제 방법만을 사용하여 공제신청을 해야 한다는 점에는 유의해야 한다. 특히, 리스하는 것과 사는 것 중 어느 것이 유리한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리스를 하면 목돈이 없어도 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고 3년 치의 감가상각 금액과 이자가 더해진 금액이 리스 금액이 되기 때문에 새 차를 구매하는 비용보다 적은 비용이 든다. 다만, 3년 뒤에 차를 반납해야 하며 마일리지 제한이 있고 반납할 때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2024년 1월 1일부터 자동차를 운행했을 때의 표준 공제율은 비즈니스 용도로 사용되었을 때는 마일당 67센트, 자선의 목적으로는 마일당 14센트, 그리고 병원 진료의 목적 그리고 군인이 타지역으로 전출을 가야 하는 경우 마일당 21센트를 공제받을 수 있다. ▶문의: (213)389-0080 엄기욱 / CPA·Mountain LLP알기 쉬운 세금 이야기 자동차 비용 표준공제 방법 자동차 비용 비즈니스 비용
2024.05.12. 15:27
상업용 부동산에서 리스 계약의 성격은 건물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지난번에는 넷 리스(Net Lease)에 대해서 알려 드렸는데, 이번주에는 그로스 리스(Gross Lease)에서 건물 운영 비용이 어떻게 계약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로스 리스(Gross Lease)는 건물의 운영 비용을 렌트비에 포함해 하나의 금액으로 청구하는 형태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몇 가지 변형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는 모디파이드 그로스 리스(Modified Gross Lease)로 건물주가 계약 당해년도의 운영 예산 비용을 기준으로 렌트 비용을 책정하고, 리스 기간 동안 증가한 운영 비용 (부동산 세금, 보험료, 관리비용 등)의 차액은 입주자의 면적에 따라 분할되어 부담됩니다. 예를 들면 2023년에 리스 계약을 하면 1년간 고정된 렌트비를 지급을 하고, 1년이 지난 2024년 시점에 2023년과 비교하여 부동산 세금이나 보험료, 관리비 등 인상된 차액을 기본 임대료에 더해서 요청합니다. 이 형태는 오피스, 리테일, 인더스트리얼 등 그로스 리스(Gross Lease) 형태로 리스 계약을 할 경우 기본적으로 적용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전문적으로 관리 회사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건물주의 경우 테넌트에게 추가로 비용을 전가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두 번째는 캠 (CAM: Common Area Maintenance) 차지(Charge) 비용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인더스트리얼 공장 창고와 쇼핑센터 리테일에 넷 리스(Net Lease)가 아닌 그로스 리스(Gross Lease) 형태로 계약을 할 때 볼 수 있는 비용입니다. 파킹장이나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도나 로비, 화장실 등 공용공간을 관리하는데 들어가는 비용들을 입주자들이 나누어 내는 비용을 말합니다. 공용 공간은 입주자가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사용 및 관리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공용 공간은 상황에 따라 비용이 변동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캠 차지를 따로 요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 번째로는 티아이(TI· Tenant Improvements)로 새로운 입주자들이 임대한 공간에서 각 테넌트의 성격에 맞게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는 상태로 공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공사를 통해 건물주도 건물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주가 공사 비용을 일부 혹은 전부를 보전해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오피스 빌딩이나 쇼핑센터 임대 계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항으로, 오피스의 경우에는 건물주가 공사를 해주는 경우가 많고, 쇼핑센터 리테일의 경우 테넌트가 공사를 하고 난 후에 건물주가 확인하고 약속된 비용만큼을 보전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대 계약을 할 때, 렌트비와 프리 렌트, TI는 맞물려서 고려되는 요소인 것을 이해하고 임대 협상에 접근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건물주는 리스 계약의 세부사항을 면밀히 검토하고, 잠재적인 비용 부담을 예측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리스 형태, 비용 분담 조항, 그리고 시장 동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해는 건물주가 보다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문의:(213)613-3137 브랜트 구 / CBRE KOREA DESK부동산 가이드 비용 그로스리스 공사 비용 렌트 비용 운영 비용
2024.02.14. 17:57
어려운 경영 환경 속 한인은행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인력을 두 자릿수대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남가주에 본점을 둔 한인은행 6곳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제출한 2023년 실적 보고서(call report)를 분석한 결과, 총직원 수가 2022년의 2975명에서 지난해 2674명으로 301명(10.1%) 감소했다. 〈표 참조〉 다만, 베네핏을 포함한 한인은행들의 급여 규모는 4억 달러를 돌파한 4억318만 달러였다. 이는 2022년보다 1700만 달러가량 늘어난 것이다. 한인은행 6곳 중 4곳 직원 수가 감소했다. 이중 가장 큰 폭으로 인력 감소한 은행은 지난해 10월 구조조정을 단행한 뱅크오브호프로 2023년말 기준 1248명(전년 대비 -19.7%)이었다. 당시 은행 측은 분산된 조직 재편을 통해 중복 업무를 줄이고 수익성을 강화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다만 개편 과정에서 전체 뱅크오브호프 직원 중 약 13%가 감원 대상이 됐다. 한미은행의 경우 2022년 624명이던 직원 수가 지난해 614명으로 10명(1.6%) 감소했다. PCB뱅크는 작년 말 직원 수가 270명으로 전년의 272명에서 2명(0.7%) 줄어들어 감소 폭이 가장 작았다. CBB뱅크도 2022년 179명이었던 인력이 169명으로 10명(5.6%) 줄었다. 반면 최근 올림픽 지점 오픈 등 본격적인 영업 확장에 나선 US메트로뱅크는 지난해 직원 규모가 151명으로 전년의 124명에서 27명(21.8%) 늘어나면서 두 자릿수대의 인력 증가를 기록해 눈에 띄었다. 오픈뱅크도 직원 수가 2022년 221명에서 지난해 222명으로 1명(0.5%) 늘었다. 한인은행들의 급여를 살펴보면 6곳 중 5곳의 급여가 증가했다. 인력을 공격적으로 늘린 US메트로뱅크의 2023년 급여는 2143만 달러로 2022년의 1762만 달러에서 400만 달러에 가까운 21.6%가 늘어났다. 뱅크오브호프(3.9%)와 한미은행(7.0%), PCB뱅크(4.7%), 오픈뱅크(8.9%) 등 상장은행 4곳은 인건비 지출이 각각 한 자릿수대로 올랐다. CBB뱅크의 경우 2023년 직원 급여로 지출한 금액이 되레 2224만 달러로 16.8% 줄었다. 한편, 한인은행 6곳의 1인당 평균 급여는 2022년 12만9915달러에서 16.1% 증가한 15만777달러로 집계됐다. 한인 은행권은 “지속된 수익 악화로 인해서 감원에 나서지 않는 은행들도 공석인 자리를 충원하지 않는 등 한인은행들이 경비 절감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한인은행 관계자는 “현재 인력을 유지하려면 인플레이션 때문에 임금을 올려줘야 한다. 인건비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은행들이 다른 비용을 줄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한인은행 비용 한인은행 6곳 비용 절감 인력 감소
2024.02.04. 18:45
캘리포니아주를 포함한 미국의 14개주에서는 직장은퇴연금을 의무화하고 있다. 지난 2019년 새롭게 시작된 CALSAVER 법에 따라 캘리포니아는 현재 5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한 비즈니스 오너라면 직장은퇴연금 플랜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2025년까지는 더욱 확대되어 단 한명의 직원을 고용한 경우라도 직장은퇴연금 플랜을 제공해야 한다. 직장은퇴연금 플랜으로 401(k), 403(b), 457, SIMPLE IRA, SEP IRA, Pension Plan, CALSAVER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플랜마다 최대 저축 금액의 차이가 있고, 세금공제의 폭도 다르고, 플랜 설정에 있어 셋업이 비교적 쉬운 것과 까다로운 것으로 나뉘기도 한다. 무엇보다 플랜들의 셋업과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면에서도 차이를 보이기에 어떤 플랜이 우리 회사와 맞는지는 하나하나 따져 보고 결정해야 한다. 오늘은 401(k) 셋업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401(k) 플랜을 셋업할때 발생하는 비용은 일반적으로 펀드 관련 비용, 플랜 제공업체 비용, 행정 비용, 그리고 어드바이저 비용 등이 있다. ▶펀드 관련 비용 401(k)를 운영하는 회사는 플랜 내에서 적정한 투자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책임 사항이고, 개인들은 본인이 선택한 투자 결과에 대해 책임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401(k) 플랜에는 주식과 채권을 포함하는 뮤추얼펀드와 은퇴연금에 맞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한 타깃 데이트 펀드 등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선택된 펀드에는 관련된 비용이 발생한다. 그 비용은 주로 관리 수수료, 운영 수수료, 로드 및 수수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투자 관련 비용은 투자자 개인들의 401(k) 자산에서 분기별로 차감되며, 투자 관련 비용 가운데 일부는 회사가 별도로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플랜 제공업체 비용 401(k)를 설정하기 위해선 플랜 제공업체를 결정해야 한다. 이 회사는 은퇴연금 플랜을 제공하고 운영하며, 플랜의 설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책임을 담당하게 된다. 설정 초기에는 문서 작성 및 기타 초기 비용으로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다. 플랜을 셋업하는 비용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한 번 지불하면 추가적인 비용은 발생하지는 않는다. ▶행정 비용 401(k) 운영에는 플랜 리코드키핑, 회계법률, 트러스트 서비스 등 플랜 관리를 위한 행정적 비용이 발생한다. 기본적인 행정 비용 이외에도 추가로 교육자료 생성, 스테이트먼트 발생, 소프트웨어 운영, 투자자문, 온라인 관리비용 등이 기본적으로 포함된다. 그 외 플랜의 투자옵션 제공을 위한 관련자문비용, Form 5500 준비 및 제출 비용, 감사보고 비용, ERISA 본드 구매 비용 등이 발생한다. TPA(Third Party Administrator)를 고용해서 비용을 지급하는 이유는 401(k) 플랜이 ERISA(직원 은퇴소득 보장법)의 까다로운 법규를 준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이행해야 하는 것은 업주의 책임이고 의무이기 때문에 전문적인 TPA 서비스를 통해 플랜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직원들에게 효과적이고 투명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어드바이저 비용 401(k) 플랜을 운영하는 기업들은 직원들의 베네핏을 위해 일해야 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물론, 개인들의 투자에 대한 책임은 각 개인이 지게 되지만, 스폰서(오너)는직원들에게 플랜옵션, 플랜비용, 직원들의 권리, 투자옵션 등에 대해 충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직원이 플랜에 처음 가입하는 등록 당시 기본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연중 주기적으로 401(k) 플랜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401(k)를 셋업할때 무엇보다 제일 중요하게 따져봐야 할 것은 편익 비용 분석이다. 편익 비용 분석이란 비용 대비 돌아오는 베네핏이 얼마인지를 따져보는 것을 말한다. 회사가 401(k)를 셋업하므로써 내는 비용대비 회사가 받을 베네핏을 얼마일지 생각해 보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런 서비스를 잘 받을 수 있는 전문성이 인증된 공인재정상담가나 파이낸셜 어드바이저에게 상담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문의:(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Financial Advisor 아메리츠 파이낸셜재정설계 연금 비용 어드바이저 비용 행정적 비용 행정 비용
2023.12.20. 18:08
자동차 보험료가 1년 새 무려 17%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분석업체 익스피리언이 최근 연방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전국의 자동차 보험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자동차 보험료가 16.9% 올랐다. 같은 기간 물가 상승률인 3.0%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있다. 이같은 보험료 상승은 자동차 관련 비용이 전년 대비 대체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신차 가격은 작년 대비 4.1%, 자동차 리스는 11.6% 증가했다. 자동차 수리 비용은 가장 큰 상승 폭인 19.8%를 기록했다. 수리비 증가는 최근 자동차 보험료 인상과도 직결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보험 가격이 급등한 것이 보험사들의 손실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건비 및 교체 부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해 보험사들이 부담하는 손해 복구 비용이 늘었다는 것이다. 또 최근 다수의 제조사가 다양한 주행 보조 기능을 보유한 첨단 부품을 모델 라인업에 탑재하면서 이전 대비 수리가 복잡해지고 교체 비용이 뛰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전기차 상용화도 여기에 일조한다. 전기차는 센서 등 충격에 취약한 부품이 개솔린 차보다 내부에 더 많아서 사고 시 수리비 견적이 비싸게 나올 수 있다. 이에 보험사들이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와 상관없이 전기차를 아예 전손(total loss) 처리하는 경우도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손 시 보험사가 제공하는 렌트카 비용과 최근 증가한 사고 건수 및 심각성도 보험료 인상 요인이다. 익스피리언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전손 처리 비율은 1년 새 24%에서 27%로 3%포인트 올랐다. 진철희 캘코보험 대표는 “물가 상승과 사고로 인한 클레임 비용 증가로 보험사들의 손실이 큰 상태”라며 “이들은 수익 구조 보전을 위해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보험료가 비싸다고 해서 섣불리 보험을 해지해서는 안 된다”며 “보험을 유지한 채로 새로운 보험 상품 쇼핑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보험을 해지한 후 만족할 만한 상품을 찾지 못해 재가입 시 보험료가 이전 대비 급등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는 것이다. 한편 가주의 자동차 보험 비용은 전국에서도 높은 편에 속했다. 주별 자동차 보험료 가격 순위를 매겼을 때 가주는 10위에 올랐다. 구독형 자동차 렌트업체 핀(FINN)의 조사에 따르면 가주의 차 보험 가격은 연간 평균 2453달러로 추산됐다. 1위인 플로리다의 4813달러의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에서 보험료가 가장 저렴한 오하이오의 941달러보단 161% 비쌌다. 전국 평균인 연 1870달러와 비교했을 땐 가주의 운전자들은 매년 583달러(31%)가량 더 내는 셈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최근 급등한 자동차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보험사들의 보험료 감면 혜택을 공유했다. 익스피리언은 일부 보험사에선 차량에 추가적인 장치를 설치하거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 운전자 주행 습관을 기록하고 안전한 주행이 보고되면 보험료가 내리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충돌 대비 방어적 운전법 등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등록 및 이수하면 보험료가 최대 15%까지 감소하는 상품들도 있다. 프로그레시브 보험의 경우 두 가지 보험료 절약 방법을 모두 제공하고 있다. 올스테이트 보험에서도 운전 교육을 통한 보험료 인하 혜택이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다양한 자동차 보험사의 보험 상품을 검토해보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덧붙였다. 유명 보험사뿐만 아니라 규모가 작은 업체들도 경쟁력 있는 커버리지와 가격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험사를 결정하기 전 다양한 상품을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비용 자동차 자동차 보험료 자동차 수리비 상승 비용 보험료 전손 전기차 박낙희
2023.10.09. 18:00
미국의 부동산 매매는 서류가 많고 복잡한 것 같지만, 바이어가 알아야 할 여러 가지의 사항들을 자세하게 서류로 기재해 알려주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더 정확하고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지불하는 비용이나 융자에서도 에스크로가 셀러와 바이어의 의견을 중간에서 정리하고 확인하기 때문에 더 확실하다. 부동산 매매가 잘 마무리되면 바이어와 셀러는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를 클로징 비용이라고 한다. 셀러의 클로징 비용에는 무엇이 있을까. 하나, 부동산 에이전트에게 주는 커미션이 있다. 커미션은 협상 여지가 있다. 셀러와 부동산 브로커와의 합의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관습적으로는 5%로 알고 있다. 2.5%는 셀러의 에이전트, 2.5%는 바이어의 에이전트에게 돌아간다. 셀러의 입장에서는 조금이라도 커미션을 아끼고 싶어서 최대한으로 깎아보려고 노력하지만, 커미션이 기본보다 너무 낮아도 바이어를 소개하는 에이전트 입장에서는 커미션을 더 많이 주는 부동산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될 수도 있다. 똑같은 자동차에 가격이 같은데, 어떤 딜러는 캐시백이 있고, 다른 하나는 없다면 어떤 쪽에 관심이 갈까. 둘, 부동산을 팔 때는 시와 카운티에 이전세를 내야 한다. 해당 지역에 따라 책정하는 가격이 다르고 없는 곳도 있다. 부동산 전문인과 궁금한 점을 미리 상의하자. 새로 지은 콘도 경우에는 이를 바이어가 낸다. 셋, 홈 어소시에이션이 있는 콘도나 타운하우스, 게이트 하우스의 경우 통상적으로 HOA에 관련된 서류 비용은 셀러가 부담한다. HOA 트랜스퍼 비용, HOA 서류 비용 등이 있다. 시 리포트 비용도 있는지 확인하자. 넷, 타이틀 보험이 있다. 바이어의 경우 융자한 금액만큼 보험을 들고, 셀러는 판매 가격을 커버하는 금액을 들게 된다. 다섯, 에스크로 비용이 있다. 이는 바이어와 셀러가 각자의 에스크로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에스크로는 바이어와 셀러가 서로 동의한 내용만 시행한다. 여섯, 바이어를 위해 홈 워런티를 들어준다. 이는 일 년 동안 집에 문제가 있는 경우 홈 워런티를 통해 고칠 수 있다. 잘 사용하던 것들도 주인이 바뀌면 금세 알아차리고 에어컨이 안 되거나. 워터 히터가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 때문에 이런 경우 홈 워런티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렇듯 각자의 위치에서 일하게 된다. 부동산 매매가 순조롭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집이 예쁘거나 바이어가 좋거나 셀러가 집을 잘 관리해서 등 모든 게 정답일 수 있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바이어와 셀러, 에스크로, 타이틀, 융자회사, 부동산 에이전트가 한마음으로 팀워크를 이루어졌을 때 만족한 결과가 온다. 바이어와 셀러가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에스크로가 바이어와 셀러의 의견을 잘 정리하고 중간에서 마무리해 주고, 부동산 에이전트가 광고를 열심히 해서 좋은 바이어를 찾아와야 최상의 결과를 얻게 된다. 부동산 매매는 서로 협력하여 선을 이루는 과정이다. ▶문의:(213)500-8954 미셀 정 / 뉴스타부동산 LA 명예부사장부동산 가이드 비용 지불 부동산 매매가 셀러 에스크로 셀러 지불
2023.09.06. 18:29
전국에서 가주가 반려동물을 키우기에 가장 비싼 주로 조사됐다. 마켓워치가 래브라도 리트리버를 키우는 견주들의 평균 지출 비용을 조사한 결과 가주 견주들은 개의 일생 평균 3만5452달러를 지출했다. 이는 테슬라 모델3 가격을 넘는 금액이며 전국 평균치(2만8801달러)보다 23.1% 높은 수준이다. 이 비용에는 애견 보험료, 수의료, 사료비, 장난감 비용 등이 포함됐다. 지출 품목으로 살펴보면, 가주에서는 매년 평균적으로 사료 753달러, 케어시설 이용료와 그루밍 1079달러, 보험과 수의사 진료에 1283달러를 소비하고 있었다. 이는 전국 평균치인 2524달러보다 더 많은 금액이다. 여기에다 개가 예상치 못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병원비가 발생 시 보험 가입자의 경우, 평균 1500달러의 추가 비용을 지불했다. 보험이 없는 경우엔 수천에서 수만 달러까지 나올 수 있다. 다만, 보험은 대부분 병원비 선불 결제 후 자가부담금을 제한 나머지를 30일 후에 돌려받는 경우가 대다수여서 여유자금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가주 다음으로 래프라도 리트리버를 키우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지역은 뉴욕으로 3만4248달러였으며 매사추세츠 3만3318달러, 뉴저지 3만2947달러, 워싱턴 3만2894달러를 기록했다. 평균 지출 비용이 가장 적은 주는 오클라호마 2만4855달러, 미시시피 2만5104달러, 인디애나 2만5479달러로 나타났다. 통상 개를 처음 입양하면 평균적으로 백신 접종비용 199달러, 중성화 수술 298달러, 심장사상충 및 벼룩 및 진드기 진료 등 184달러, 반려견 용품 (목줄, 그릇, 우리, 동물 침대 등) 356달러로 총 1038달러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마켓워치의 조사에 따르면, 약 16%는 수의료 비용을 감당하지 못 해서 반려동물을 떠나보냈다. 수의사 앤젤라 비얼 박사는 “반려동풀 병원비로 백신, 기생충 예방만을 생각하는데 예상치 못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거액의 진료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평균 지출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으로 ▶입양 전 품종 및 크기 고려▶셀프 애견 미용 ▶반려동물 보험가입을 조언했다. 정하은 기자비용 병원비 백신 접종비용 진료 비용 수의료 비용
2023.08.23. 23:31
캘리포니아주가 출산 비용이 가장 비싼 주 중 한 곳으로 드러났다. 7일 의료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 ‘페어 헬스’에 따르면 지난해 가주 출산 비보험 제왕절개 수술 평균 비용은 5만 달러에 달했다. 또 보험이 없는 경우 자연분만을 해도 드는 비용은 평균 3만6000달러로 나타났다. 다만 보험 적용 시에는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이 각각 평균 2만 달러와 1만6500달러였지만, 이것도 전국 평균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었다. 실제 전국 평균 제왕절개 출산 비용은 보험 적용 시 1만5500달러, 자연분만은 1만3000달러로 가주에 비해 약 20% 낮았다. 페어 헬스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의 출산 비용은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가장 비싼 출산 비용이 드는 지역 5위로 꼽혔다. 한편, 출산 평균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곳으로는 알래스카 주가 뽑혔는데 보험 적용 시 자연분만 평균 비용은 2만1525달러, 제왕절개는 2만6000달러였다. 반면 출산 평균 비용이 가장 낮은 주는 앨라배마주로 자연분만은 7840달러, 제왕절개는 8913달러로 알려졌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출산 비용 출산 비용 출산 비보험 제왕절개 출산
2023.08.07. 20:34
내년 커버드캘리포니아 프리미엄이 2020년 이후 최대인 9.6% 오른다. 가주 커버드캘리포니아 당국은 2024년 1월 1일부터 주내 카운티들 전체의 프리미엄 평균 상승률을 공개하고 사실상 대다수의 가입자가 예년과 마찬가지로 부담없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제약값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프리미엄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전했지만 보조금 지원이 확대되고 저소득층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그대로 유지되며 올해와 유사하게 가입자 중 20%는 프리미엄을 내지 않게 된다고 전했다. 또한 33%의 가입자는 현재와 유사한 플랜을 유지할 경우 프리미엄이 그대로 유지되거나 오히려 내려가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주정부 지원금은 연방 빈곤선 연 수입의 250%인 개인(3만3975달러)과 4인 가정(6만9375달러)에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LA카운티는 동북지역의 프리미엄이 평균 9.5%, 서남부지역은 7.6% 오르며, OC는 평균 11% 상승이 예고됐다. 커버드캘리포니아 관련 세부 정보는 한국어 웹사이트(https://www.coveredca.com/korean/)에서 찾을 수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지원금 비용 프리미엄 인상 프리미엄 평균 보조금 지원
2023.07.26.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