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성서로 세상읽기] 가면 사회의 페르소나와 ‘참사람’

네덜란드 출신의 세계적 인상파 화가 반 고흐는 일평생 12편의 자화상을 그렸다. 그가 그린 자화상의 대부분은 타계하기 3년 전에 시작해서 주로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 그린 작품들이었다.     자화상에는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그의 표정이 낱낱이 담겨 있다.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날이 가까울수록 그의 자화상은 점점 침울해지고 얼굴은 더욱 말라가고 퀭한 두 눈은 광기에 젖어 가고 있다. 죽기 전 자화상을 완성하고 나서 고흐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내 자화상은 그대로 하나의 거대한 거짓말이다.”   고흐의 탄식처럼, 나란 존재도 거대한 거짓말로 포장되어 있다. 남에게 잘 보이고 인정받기 위해 언행을 꾸밀 때가 많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의 내가 아니다. 인생 무대에서 관객을 향해 연기하는 배우처럼 ‘나’는 각양각색의 가면을 쓰고서 상황에 따라 나 아닌 나로 살아간다. 다양한 페르소나(persona)를 쓰고서 천연덕스럽게 연기하는 배우처럼.     우리는 숱한 가면들을 돌려쓰면서 생활하는 군상들이 어우러진 ‘가면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페르소나’는 본래 고대 그리스의 연극 용어였다. 그 당시 배우들이 쓰고 연기했던 ‘가면’을 페르소나라 칭했다. 페르소나는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페르소나는 그 어원처럼 가면일 뿐이므로 필요할 때 쓰고 벗어 버리면 되는데, 어떤 페르소나를 자신의 자아와 동일시하여 그 가면을 벗지 않게 될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페르소나’는 위선과 같은 부정적인 뜻으로만 쓰이는 말은 아니다. 자신이 속한 조직이나 집단이 요구하는 생각과 태도, 역할과 행동 규범 등과 같은 사회적 코드에 맞춘 ‘외적 인격’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표면 자아’다.     우리 각자는 속한 계층, 국적, 문화, 상황, 인종, 직업에 따라 각기 다른 페르소나를 쓰며 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페르소나는 환경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는 속성을 갖고 있다.   서양 문화를 ‘유죄와 무죄의 문화’라 한다면, 동양 문화는 ‘수치와 명예의 문화’라 할 수 있다. 공적으로 옳고 그름을 따지는 서양 문화에 비해 동양 문화는 개인이나 가문의 체면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말 가운데 페르소나에 해당되는 말로는 ‘체면’, ‘낯(얼굴)’, ‘본분’, ‘도리’가 있다. 한국의 체면 문화를 반영하는 이러한 말들은 ‘연극의 가면’을 뜻하는 페르소나와 쉽게 상응한다.     한국 사회에서 누군가가 체면과 도리를 들먹이며 도와달라 청할 때, 쉬 뿌리치지 못하여 공적인 옳고 그름에 눈감아 버리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우리가 남이가”라는 표현도 연줄로 통하는 한국 문화의 정서가 흠씬 묻어 있다.   이 시대는 자기 본연의 모습이 아닌 다양한 페르소나를 각기 다른 상황에 따라 쓸 수 있는 사람을 유능하다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페르소나가 바깥으로 드러난 외적 인격이라면 내면에 감추어진 내적 인격도 있을 것이다. 외적 인격에 의해 억압된 성격인 내적 인격은 당연히 외적 인격과 반대의 성향을 갖게 된다.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를 자신의 자아와 동일시하게 되면 자신의 내적 인격은 왜곡되어 결국 병든다.     자신의 자아가 타인에 의해 길들여진 거짓 페르소나로 깊이 각인되면 공허함과 허위의식에 사로잡혀 불안, 우울, 인지 왜곡 등에 시달리게 된다. 페르소나와 내적인 자아 사이에 불일치가 일어나게 되면, 이 경우를 우리는 ‘가식(외식)’ 혹은 ‘허위의식’이라 부른다.   바울은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우리의 겉사람은 낡아지나 우리의 속사람은 날로 새로워지도다”(고후 4;16)고 고백한다. 속사람은 참사람을 이름이다. 가식, 위선, 욕망의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동안 우리의 참사람은 서서히 죽어간다. 현대 소비사회는 가면을 쓴 인격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성공하는 처세를 충동하는 소비문화로 가득하다.     모방적 페르소나는 일종의 아바타(avatar)로 살아가는 삶이다. 아바타는 사회적 인격체(페르소나)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가상 존재다. 거짓 페르소나를 자신의 자아와 동일시하는 하는 것은 어리석음이 낳은 결과다. 거짓 페르소나를 벗어 버리고 ‘하나님 앞에’ 선 거룩한 인격을 지닌 채 살아가는 이들이 참사람이고 교회의 희망이다. 이상명 / 캘리포니아 프레스티지 대학교 총장성서로 세상읽기 페르소나 참사람 거짓 페르소나 가면 사회 외적 인격

2025.09.03. 18:39

썸네일

‘페르소나 원픽’ 반영 숙박시설… ‘인스케이프 양양 by 파르나스’ 분양

        MZ세대(밀레니얼+Z세대)로 불리는 젊은 2030세대가 새로운 소비축으로 떠오르면서 이들의 니즈에 따라 호텔 등 숙박시설의 공급 패턴도 달라지고 있다. 단순히 가성비를 선택하기보다는 돈을 더 지불하더라도 만족도가 높은 ‘가치 소비’에 집중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공간 설계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이다.   MZ세대 소비자들은 자신의 소비 습관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꼼꼼히 가치를 따져 소비하는 미닝아웃(Meaning Out)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MZ 세대의 10명 중 8명은 자신을 가치 소비자로 평가하기도 했다.   지난해 발표된 '2022~2023 공간 7대 트렌드'에는 내 자아를 담은 딱 하나 내 것, 내 공간을 의미하는 ‘페르소나 원픽’이 포함되어 있다. 실제 MZ세대들은 페르소나 원픽 트렌드를 적용한 나만의 고급스러운 설계를 적용한 공간에 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호텔 등 숙박시설도 MZ세대의 성향을 반영하여 공급되는 추세다. 최근 강원도 동해안 일대에 조성되는 호텔은 객실 오션뷰와 마운틴뷰는 물론 루프탑 라운지에서 즐길 수 있는 고급스러운 휴식, 바다를 보면서 수영할 수 있는 인피니티풀까지 갖춰 공급되고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예전에는 가성비 있는, 알짜 소비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면 최근에는 어느 정도 가격을 지불하더라도 만족도 높은 소비를 향한 욕구가 커졌다”면서 “특히 여름 휴가로 찾는 호텔의 경우 단순한 설계를 넘어 객실 내부 특화, 인피티니풀, 루프탑 라운지 등 ‘힙(Hip)’한 공간 설계에 대한 선호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피데스개발은 양양 낙산해수욕장 바로 앞에서 393실 규모의 최고급 숙박시설 ‘인스케이프 양양 by 파르나스’를 분양한다.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일대에 들어서는 인스케이프 양양 by 파르나스는 전용면적 37~151㎡, 지하 7층~지상 39층, 생활숙박시설 393실로 구성된다.   인스케이프 양양 by 파르나스는 174.6m로 강원도에서 가장 큰 높이를 자랑하며, 특히 최고층에 조성되는 루프탑 라운지에서는 오션뷰와 마운틴뷰의 파노라마 전경을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인피니티풀 등 다양한 부대 시설도 들어설 예정이다.   동해 바다의 풍광을 온몸으로 누릴 수 있으며, 국내 최고 명산인 설악산의 마운틴뷰까지 누릴 수 있는 ‘멀티 뷰’ 상품이다. 낙산해수욕장 바로 앞에 위치한 만큼 수영복이나 비치웨어를 입고 나가 편하게 해변에 나가서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서울~양양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서울, 수도권에서 약 90분 만에 닿을 수 있다. 양양은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해 속초, 고성, 강릉 등 동해안 주요 관광지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 강원도 동해안의 관광 거점으로 꼽힐만하다.   거기다서울~춘천~속초를 잇는 동서고속화철도와 강릉~양양~속초~제진을 잇는 동해북부선이 각각 2027년 개통 계획인 만큼 양양을 찾는 발걸음은 더욱 편해질 전망이다.   한편, 인스케이프 양양 by 파르나스는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와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를 소유, 운영하며 30년 이상 호텔 경영 노하우와 서비스 경험을 축적해온 호텔전문기업 파르나스호텔이 위탁 운영한다. 파르나스호텔은 지난 7월 22일 제주 중문에 위치한 럭셔리 리조트형 호텔 ‘파르나스 호텔 제주’를 오픈했다.   시공은 쉐라톤 그랜드인천호텔과 서울드래곤시티,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 하노이대우호텔 등 국내외 다양한 호텔공사 실적을 갖춘 대우건설이 맡는다. 분양 갤러리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역 1번 출구 인근에 있으며, 사전 방문 예약 후 관람할 수 있다.    김진우 기자 ([email protected])숙박시설 페르소나 가치 소비자 생활숙박시설 393실 최고급 숙박시설

2022.08.08. 21:3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