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골드만삭스 “관세 여파 소비위축”

New York

2025.07.23 22:2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1.1% 전망
평균 관세율 전망치 10%→15%
미국 경제가 관세 영향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둔화 국면으로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22일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이 실질소득을 점점 잠식하면서 금융 여건 완화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1%로 제시했다.
 
그는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소득을 잠식할 것”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소비 지출 흐름이 이미 불안정해 보이는 시점에 일어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또 최근 소매판매 지표가 견조하게 나타난 것과 달리 전반적인 소비는 올해 상반기 중 정체 상태에 머물렀을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메모에서 골드만삭스는 “이는 경기침체 기간 외엔 드문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미국의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종전의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했다.
 
이어 내년 중 평균 관세율이 추가로 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해 3.3%에 머물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전망했다.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0% 수준으로 평가했다.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비관적인 경기 전망은 최근 미국이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관세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급등)을 불러올 것이란 초기의 우려와 달리 물가 급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국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고 긍정적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