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구금 한국인 316명, 드디어 집으로

New York

2025.09.11 21:2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이민당국 구금·체포 7일 만…한국시간 12일 오후 귀국
미 잔류 1명은 영주권 신청자, 구금 상태서 법적 절차
“트럼프, 한국인 미국에 계속 남으라 권유해 귀국 지연”
이민 당국에 구금됐다가 풀려난 한국인 근로자들이 탑승한 대한항공 전세기가 11일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이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민 당국에 구금됐다가 풀려난 한국인 근로자들이 탑승한 대한항공 전세기가 11일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이륙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근무하다 이민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한국인 317명 중 1명을 제외한 316명이 12일(한국시간)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외교당국에 따르면, 대한항공 전세기 KE2901편은 미 동부시간 11일 오전 11시38분께 조지아주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을 이륙해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했다.  
 
조지아주 포크스턴 구금시설에 수용됐던 한국인은 총 317명(남성 307명·여성 10명)으로 최종 파악됐다. 잔류를 선택한 영주권 신청자 남성 1명을 제외한 316명이 귀국길에 올랐다. 잔류자는 가족이 현지에 거주 중이라 남았으며, 구금 시설에 머무른 채 이민관련 재판 등 법적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귀국 전세기엔 이들과 같은 공장에서 일하다 함께 체포된 외국인 14명(중국인 10명·일본인 3명·인도네시아인 1명)도 동승해 총 330명이 탑승했다.  
 
앞서 이들은 11일 오전 2시17분께 포크스턴 수용소를 출발해 약 6시간을 달려 오전 8시30분경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했다. 공항 활주로에 진입한 버스는 곧장 대기해있던 대한항공 전세기로 접근했다. 이들은 수용복에서 체포 당시 입었던 옷으로 갈아입고 차례대로 버스에 탑승했으며 수갑 등 구속 장비는 착용하지 않았다. 버스에는 전세기까지 이들을 데려갈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도 탑승했다.
 
현장에서 촬영된 영상 등을 보면 환한 미소에 밝은 표정을 짓는 사람이 많았고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기도 했다. 그간 현장대책반장으로 이들의 귀국을 지원한 조기중 워싱턴DC 총영사의 손을 부여잡고 감사를 표하는 사람도 있었다.  
 
전날 근로자들의 귀국이 돌연 중단됐던 원인에 대해 한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잔류 요청 때문”이라고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구금된 한국인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일하며 미국 인력을 교육·훈련시키는 방안,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미국으로 오는게 좋겠다고 답했다”며 “근로자들이 다시 미국에 와서 일을 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것도 확약받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단속과 관련해 호세 무뇨스 현대차 미국법인 대표이사 사장은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최소 2~3개월의 공사 지연을 일으킬 것”이라며 “공장 건설 단계에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기술과 장비가 많다”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