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없는 8연속 월드 챔피언 ‘더 빠르게 만드는 일’에만 집중 한국 F1 재유치 가능성 긍정적
포뮬러 원(F1)은 두 대의 차량과 두 명의 드라이버가 전면에 나서지만, 그 뒤에는 수많은 이들이 움직이는 팀 스포츠다.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팀은 올시즌 2위를 달리고 있다.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전례 없는 8연속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을 차지하며 F1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남긴 팀이다.
지난 21일 메르세데스팀의 브래들리 로드(사진 오른쪽) 최고커뮤니케이션책임자(CCO), 빅토리아 존슨 마케팅 오퍼레이션 디렉터를 단독 인터뷰했다. 이들은 팀의 성공을 가능하게 한 요소로 조직의 힘과 ‘원 팀(One Team)’ 문화를 꼽았다.
로드는 “우리 팀은 2000명의 인력이 같은 목표를 향해 움직인다”며 “이 단일한 방향성 자체가 우리의 가장 강력한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메르세데스팀은 매년 ‘미션’을 설정하고, 모든 부서와 구성원의 연간 목표를 여기에 연결한다. 마케팅·인사(HR)·엔지니어링·피트스톱 크루 등 직무는 다르지만, 모두가 ‘차를 더 빠르게 만드는 일’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는지 명확히 이해하도록 하는 구조다.
목표 달성을 위해 팀은 정보 공유도 투명하게 한다. 경기 동안 벌어지는 모든 상황은 영국 본부와 공장으로 실시간 전달된다. 그랑프리 현장에서 활동하는 10%와 나머지 90%가 계속해서 연결되어 있는 셈이다.
존슨은 “정보를 숨기지 않는 문화가 신뢰를 만들고, 신뢰가 있어야 비로소 원 팀이 유지된다”고 강조했다.
메르세데스의 또 다른 강점은 솔직함과 회복력에 기반한 내부 문화다. 로드는 “우리는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직면한다. 비난보다 해결에 집중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직원들이 합류하면 가장 놀라는 부분으로 “누구도 문제를 덮어두지 않고, 서로가 솔직하게 피드백을 주고받는 분위기”를 꼽았다.
존슨 역시 “우승을 놓친 시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팀의 힘은 구성원 간의 건설적 비판과 회복력”이라며 “잘 나갈 때보다 어려운 시기에 서로를 밀어주고 다시 세우는 문화가 메르세데스를 메르세데스답게 만든다”고 말했다. 실제로 팀은 시즌이 어려울수록 내부 회의와 공유가 늘어나며, 실패 원인을 숨기지 않고 공개적으로 공유해 집단적 개선을 이끌어낸다는 설명이다.
기술력 또한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다. 로드는 “승부는 트랙이 아니라 공장에서 난다”며 “얼마나 빨리 성능을 끌어올려 실제 부품으로 구현하느냐가 팀의 운명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메르세데스는 전산 유체 역학(CFD)·시뮬레이터·복합소재 제조 등 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투자를 이어가고 있으며, 메타·SAP·크라우드스트라이크 등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협업도 확대 중이다. 최근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최고경영책임자(CEO) 조지 커츠가 팀 공동 소유주이자 기술 고문으로 합류하면서 인공지능(AI) 기반 혁신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두 사람은 한국 시장에 대해 강한 인상을 드러냈다. 지난달 한국에서 진행된 팀의 쇼런 행사와 관련해 존슨은 “경기가 열리지 않는 나라에서 느껴진 열기는 정말 놀라웠다”며 “기념품 판매율, 팬 반응, 드라이버 인기 모두 예상 이상의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로드도 “코리아 그랑프리(2010~13년) 시절부터 한국 팬들은 늘 기억에 남는 존재였다”며 “당시 관중석이 꽉 차있던 기억이 생생하다”고 회상했다.
현재 메르세데스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쇼런 등 이벤트를 계획 중이며, 내년에는 한국 전용 기념품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이들은 한국의 F1 그랑프리 재유치 가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존슨은 “한국은 충분히 경쟁권에 있는 시장”이라고 했고, 로드는 “F1의 꿈은 서울 같은 글로벌 도시에서 열리는 스트리트 레이스”라며 “현실화된다면 세계적으로도 상징적인 장면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