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법원이 급습 방식의 불법체류자 단속에 제한을 두었지만 LA 지역에서 또 다시 급습 단속이 이뤄졌다. 이민 당국은 6일 오전 7시쯤 LA한인타운 인근 웨스트레이크 지역 홈디포 주차장에서 불체자 단속 활동을 벌였다. 특히 이번 단속에는 렌탈카 업체인 ‘펜스키(Penske)’의 노란색 트럭을 이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국경수비대(BP) 요원들은 이 트럭 적재함에 타고 있다가 주변에 있던 사람들을 검거했다. 이날 작전으로 최소 16명이 검거된 것으로 전해졌다. BP 측은 이번 급습을 ‘트로이 목마 작전(Operation Trojan Horse)’으로 명명했다. 이와 관련 펜스키 측은 “트럭 적재함에 사람을 태우는 것은 금지돼 있으며, 불체자 단속에 우리 트럭이 사용된 것을 몰랐다”고 밝혔다. 이날 단속은 지난달 연방법원이 ‘합리적 의심 없는 검문·체포를 금지한다’는 가처분 명령을 내린 이후 진행된 첫 번째 작전이다. 법원 결정에 연방정부는 항소했지만, 제9 연방항소법원은 지난주 이를 기각한 바 있다. 〈본지 8월4일자 A-1면〉 관련기사 무작위 단속 금지 항소심에도 유지…LA, OC 등 7개 카운티 해당 이민 당국은 이번 작전이 법원이 금지한 ‘무차별 순찰(roving patrol)’과는 다른 성격이라며, 작전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국토안보부(DHS) 측은 “해당 지역은 악명 높은 MS-13 갱단이 장악하고 있어 강력 단속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작전은 최근 급증한 남가주 지역 단속 작전의 연장선이다. 지난 6월 30일에는 LA카운티 내 3곳의 홈디포에서 세관국경보호국(CBP) 요원이 37명을 체포했다. 세차장·창고·공사장 등도 주요 단속 대상이며, 현장 노동자들이 집중적으로 표적이 되고 있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연방 법무부는 지난 5일 LA를 포함한 18개 도시와 가주 등 12개 주를 이민 단속에 협조하지 않는 피난처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 지역은 연방 이민단속에 협조하지 않거나, 지역 경찰이 연방 이민당국에 이민자 신원을 넘기지 않는 곳을 가리킨다. 앞서 지난 4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법무부에 “연방 이민법 집행을 방해하는 주와 로컬 정부 목록을 공개하고, 이 도시들을 정밀 파악해 본격적인 처벌을 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전국에 있는 피난처 도시 600여곳과 사실상 전쟁을 선포한 셈이다. 그는 행정명령을 통해 ‘피난처 도시’로 분류된 주와 도시에 대해 연방 지원금을 삭감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강한길 기자la홈디포 중지 불체자 단속 지난달 연방법원 이민 단속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급습 트럭 적재함 한인타운 인근
2025.08.06. 20:34
섀런 쿼크-실바 가주 하원의원(67지구·민주)은 지난 21일 부에나파크 시청에서 기자 회견을 열어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불법체류자 급습 방식의 단속이 지역 경제와 사회에 광범위한 타격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회견엔 OC 북부의 부에나파크, 풀러턴, 사이프리스, 라팔마, 애너하임, LA카운티의 세리토스, 아티샤, 하와이언가든 등 67지구에 속하는 도시 시의원, 교육위원, 스몰 비즈니스 업주, 이민자 권익 옹호 단체 관계자 등이 동참했다. 쿼크-실바 의원은 “ICE의 급습은 공포를 일으키고 로컬 비즈니스에 해를 끼치며 학교들에도 큰 압박을 가하고 있다. 우리에겐 우리의 가치관을 반영하고 근로자 가족을 보호하는 이민 정책이 필요하다”며 연방 정부의 이민 정책 방향 전환을 촉구했다. 또 가주의 불법체류 근로자가 매년 세수에 230억 달러 넘게 기여하고 있다며, ICE의 단속으로 가주 총생산이 200억 달러 감소할 것이란 경제학자들의 전망을 전했다. 회견 참석자들은 대규모 불체 단속으로 인해 농업, 건설, 숙박과 요식업 등 이민자 노동력 비중이 큰 업종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농장 노동자 가운데 최대 45%가 일터에 나오지 않고 있어 수확과 농산물 유통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ICE가 남가주에서 체포한 2000여 명 가운데 과반수는 범죄를 저지른 적이 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악영향 급습 경제 악영향 지역 경제 ice 급습
2025.07.22. 20:00
연방 이민세관단속국(ICE)이 독립기념일인 4일에도 불체자 단속을 강행했다. LA타임스는 이날 ICE 요원들이 웨스트할리우드에서 방탄조끼를 착용한 채 세차장을 급습, 수십 년간 근무한 직원 2명을 체포했다고 5일 보도했다. 또 이글록의 타깃 매장 앞에선 인기 푸드 벤더 운영자가 단속으로 체포되는 영상이 SNS에 공유되며 지역사회에 충격을 줬다. 국토안보부(DHS)는 5일 성명을 통해 지난주 LA 전역 홈디포 매장 일대를 중심으로 단속을 벌인 결과 37명이 체포됐다고 발표했다. ICE의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도 곳곳에서 열렸다. 4일 수백명의 시민이 LA도심에서 ICE의 단속 중단을 요구하며 행진을 벌였다. 같은 날 'ICE 반대 저항 릴레이 달리기', LA갤럭시 팬 경기 중 퇴장 등도 이어졌다. 이은영 기자세차장 급습 급습 체포 항의 시위 ice 반대
2025.07.06. 19:18
시카고 경찰이 애먼 집을 급습해 집주인에게 굴욕감을 안긴 대가로 시 당국이 290만 달러를 배상하게 됐다. 시카고 시는 경찰의 '번지수 틀린' 압수수색에 대해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한 흑인 여성 앤재닛 영(51)에게 합의금 29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하고 시의회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고 시카고 언론이 1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카고 러시병원의 사회복지사인 영은 지난 2019년 2월 야간 근무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옷을 벗고 욕실로 들어가려던 차에 경찰의 급습을 받았다. 당시 경찰은 총기•마약 소지 혐의로 기소된 용의자에 대한 수색영장을 발부 받아 경찰관 13명을 영의 아파트에 투입했다. 영은 "잘못 알고 온 것 같다"는 말을 반복했으나, 경찰은 벌거벗은 상태인 영에게 수갑을 채워 40여 분간 서 있게 하고 집안을 뒤졌다. 시카고 트리뷴은 "영은 최소 16초간 완전한 알몸 상태로 13명의 남성 경찰관 앞에 서 있었으며 이후 경찰관 2명이 영의 몸에 재킷과 담요를 둘러주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찰은 영의 집에서 아무 것도 찾아내지 못했고, 나중에서야 압수수색 영장이 잘못된 주소지로 발부된 사실이 밝혀졌다. 로리 라이트풋 시카고 시장(59•민주)은 해당 사건 발생 후 "보고받은 내용이 없다"며 입장 표명을 미뤘으나, 작년 12월 내부 이메일을 통해 당시 사건에 대해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현장 동영상이 방송되는 것을 막으려 한 사실이 드러나 비난을 받기도 했다. 시카고 경찰의 부당 행위를 조사하는 독립수사기관 COPA(Civilian Office of Police Accountability)는 이번 사건에 개입된 8명의 경찰관에 대해 해고 또는 정직 처분을 권고했고, 데이비드 브라운 경찰청장은 경찰위원회에 급습을 통솔한 경사를 해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시카고 경찰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압수수색 시행 때 경위 이상 간부급 1명과 여성 경찰관 1명이 반드시 동행하고 출동 경찰관 전원이 보디캠을 착용하도록 내규를 수정했다. 한편 영에 대한 배상금 합의안은 13일 시카고 시의회 재무위원회를 반대 의견 없이 통과했으며, 이번 주말께 본회에서 표결에 부쳐질 예정이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시카고경찰 급습 남성 경찰관 이후 경찰관 경찰관 13명
2021.12.14.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