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킴스비디오 기증 영화 5만5천점, 이탈리아 시실리로 간다

폐점을 앞두고 있는 킴스비디오(대표 김용만)의 영화 5만5000점이 이탈리아의 시실리로 간다. 오는 1월 말 폐점하는 맨해튼 이스트빌리지의 킴스비디오 소장 대여용 영화의 새 주인은 시실리의 작은 도시 살레미다. 김용만 킴스비디오 대표는 지난 9월 소장 영화를 비치할 3000스퀘어피트의 도서관을 구비한 단체에 무료로 기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동안 뉴욕대, 컬럼비아대 등 영화학과가 있는 대학교에서 제의가 왔지만 기존 회원들의 대여권을 부여하는 문제에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구 1만1000명의 살레미는 지진을 경험한 후 개발의 의지를 보이고 있는 도시. TV 토크쇼의 사회자 출신인 비토리오 스카비로가 시장을 맡고 있다. 영국의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스카비로 시장을 “가장 괴짜이면서도 개성이 풍부한 이탈리안으로 가난에 찌들은 타운을 되살리는 인물”로 소개했다. 스카비로 시장은 킴스비디오 콜렉션으로 ‘네버엔딩 페스티벌’을 열고 연속 상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985년 애브뉴A의 세탁소에서 탄생한 킴스비디오는 절정기에 8개 지점까지 운영하며 뉴욕 컬트영화의 메카로 자리매김했다. 우디 앨런, 스파이크 리, 마틴 스콜세지 등 영화감독부터 에드 카치 전 뉴욕시장까지 수많은 애호가들이 드나들었던 킴스비디오는 전세계에 12만명을 회원으로 두었다. 킴스비디오는 비디오 렌탈업은 중단하지만 1애브뉴 지점으로 이전해 음악과 DVD 판매사업은 지속한다. 한편 이스트빌리지를 빛냈던 뉴욕의 명물이 계속 사라지고 있다. 록그룹 블론디가 활동했던 CBGB, 패스트라미 샌드위치로 유명한 2애브뉴 델리, 타워레코드 등이 문을 닫았다. 박숙희 기자 [email protected]

2009.01.08. 20:43

한인 소액 투자자그룸 '위드인베스터스' 킴스비디오 건물 매입 완료

한인 소액 투자자 그룹 ‘위드인베스터스’가 7일 맨해튼 이스트빌리지에 있는 킴스비디오 건물을 구입했다. 위드인베스터스는 이날 세인트마크 플레이스에 있는 킴스비디오 건물 매입을 클로징했다. 총 면적 1만7000평방피트 규모의 5층 상용 건물로 구입 가격은 1250만달러. 임대 수익은 연 81만달러로 예상 투자수익률이 6.6%. 이 건물에는 식당을 겸한 스포츠 바(지하~2층)와 노래방(3~4층), 파티룸(5층)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2006년 5월 설립된 위드인베스터스는 이로써 10건의 부동산 공동 투자 프로젝트를 성공시켰으며 총 건물 구입가격은 4922만5000달러에 이른다. 위드인베스터스는 “개미 군단과 같은 소액 투자자들의 힘이 빛을 발했다”며 “안정적인 렌트 수익과 최상의 입지 조건으로 건물 가치는 날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준환 기자 [email protected]

2009.01.07. 17:09

한인 소액투자자 그룹 킴스비디오 건물 산다…위드인베스터스 1250만불에 계약, 101번째 프로젝트

한인 소액 투자자 그룹 ‘위드인베스터스’(대표 남주안 페이스대 교수)가 매물로 나온 맨해튼 이스트빌리지의 명물 ‘킴스 비디오’ 본점 건물을 구입을 추진한다. 위드인베스터스 관계자는 28일 “세인트마크 플레이스에 있는 킴스 비디오 건물 구입 계약을 맺었다”며 “12월 하순에 클로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총 면적 1만7000평방피트 규모의 5층 상용 건물로 구입 가격은 1250만달러. 임대 수익은 연 81만달러로 예상 투자 수익률 6.6%. 클로징이 끝나는 대로 식당(지하~2층)과 노래방(3~4층), 파티룸(5층) 등이 들어설 공사에 들어간다. 위드인베스터스는 500만달러를 다운페이할 계획이며 1인당 투자는 1000달러부터 시작한다. 소액 투자자 그룹 위드인베스터스가 맨해튼 건물 구입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위드인베스터스는 26일 중부뉴저지 엘리자베스에 있는 뱅크오브아메리카 건물을 485만달러에 클로징을 마쳐 9번째 프로젝트를 성사시켰다. 특히 위드인베스터스는 부동산 경기가 침체로 들어서자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올해 구입한 건물은 지난 2월 뉴저지 버겐카운티 듀몬트 쇼핑몰(716만달러), 지난 9월 모리스카운티 라커웨이 쇼핑몰(1640만달러), 지난 26일 유니온카운티 엘리자베스 뱅크오브아메리카 건물(485만달러) 등 2841만달러 규모다. 킴스 비디오 인수가 마무리될 경우 올해 총 4000만달러가 넘는 부동산을 공동 구입하는 셈이다. 이와 관련, 남주안 교수는 “세인트마크 플레이스는 맨해튼의 대학로인 동시에 제2의 한인타운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지역”이라며 “안정적인 임대 수익과 최상의 입지 조건으로 부동산 가치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남 교수는 “맨해튼 이스트빌리지는 32스트릿을 중심으로 경제력을 쌓은 한인 비즈니스가 타민족 마케팅을 이미 시작한 곳”이라며 “젊은 유동인구가 넘쳐나는 지역적 특징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드인베스터스는 오는 13·14일 뉴저지 잉글우드에 있는 사무실에서 투자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맨해튼 이스트빌리지=남북으로는 하우스턴~14 스트릿, 동서로는 D~5 애브뉴 지역으로 젊은 예술가와 히피들, 뉴욕대(NYU) 학생들이 몰리는 최첨단 유행이 시작되는 지역이다. 서쪽은 그리니치빌리지, 북쪽은 그래머시와 스타이브슨트 타운을 경계로 하고 있다. 이스트빌리지 가운데 가장 번화한 곳이 세인트마크 플레이스다. 이준환 기자 [email protected]

2008.11.28. 18:30

'킴스 비디오' 본점 문닫는다…영화 테이프 5만 5000개, 회원 12만명

맨해튼 이스트빌리지의 명물 영화 전문 ‘킴스 비디오’ 본점이 간판을 내린다. 킴스비디오 대표 김용만(53·사진)씨는 지난 30일 “본점 5층 건물(6 St.마크 플레이스/8스트릿)을 매물로 내놓았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1만3000평방 피트 규모의 빌딩을 매각하고, 3층의 렌탈용 비디오 5만5000점 운영권도 양도할 예정이다. 영화 비디오 인수자는 3000평방피트의 공간을 확보하고, 킴스 비디오 회원들의 대여권을 계속 허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였다. 킴스 비디오는 마틴 스콜세지 감독과 에드 카치 전 뉴욕시장 사무실 등을 비롯 전 세계에 12만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비디오 렌탈은 중단하지만, 현재 1층의 뮤직숍과 2층의 DVD는 1애브뉴 지점으로 이전해 판매를 계속한다. 지난 23년간 ‘영화의 보고(寶庫)’로 자리매김해온 킴스 비디오는 1985년 애브뉴A의 세탁소에서 탄생했다. 김 대표는 외국 영화와 교재용 영화 1700편을 구입해 자신의 세탁소 안에 숍을 마련했다. “돈을 버는대로 비디오를 구입했지요. 1년에 한개씩 지점을 늘리다보니 다운타운에서 컬럼비아대학교까지 8개 지점을 갖추게 됐습니다. 직원도 한때 250명까지 채용하고, 매상도 연 1천만달러에 이르렀습니다.” 아날로그가 디지털 시대로 바뀌면서 킴스 비디오도 2년 전부터 본점에 하루 평균 고객이 1500명에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지점도 하나둘씩 문을 닫았다. 1960년대 동성애자 대중 목욕탕이었다는 이 건물은 1980년대 초 건물주 프리드만이 AIDS로 사망하자 1984년 에드 카치 뉴욕 시장이 행정명령으로 건물을 폐쇄하기도 했다. 그 후 10여년간 비었던 건물을 김 대표가 저렴한 값에 사들였다. 그는 1993년 영화 ‘몬도 가네’에서 이름을 따 ‘몬도 킴스’로 정하고 빌딩 색깔도 황색으로 칠했다. “그때부터 이스트빌리지가 180도 변했습니다. 영화학도 등 하루 평균 1500여명이 찾아왔지요. 펑키한 뉴요커와 일본 젊은이들도 모여들었습니다.” 이윽고 세인트마크 플레이스는 ‘리틀 도쿄’로 불리며 일본 식당이 속속 생겨났다. ‘킴스 비디오 시대’는 가도 이스트빌리지는 ‘리틀 코리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빌딩은 한인에게 팔릴 것 같습니다. 5층 건물을 유리 건물로 개조한 후 1층엔 한국 식당이, 그 위로는 한인과 관련된 문화 공간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킴스 비디오 인근에는 한인식당 ‘가마’와 ‘보카’가 서로 마주보고 있다. 김 대표는 10여편의 단편영화를 만들며 한국영화 ‘301, 302’와 ‘학생부군신위’를 제작했다. 2006년엔 자작 시나리오로 장편영화 ‘1/3’을 연출하며 감독으로 데뷔했다. 킴스 비디오를 운영하면서 지난 10여년간 뉴욕대와 컬럼비아대 학생들에게 장학금도 지급해왔다. 박숙희 기자 [email protected]

2008.10.31. 19: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