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인 영주권자 김태흥씨 구명운동

텍사스 A&M대학교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한인 영주권자 김태흥(40·사진)씨가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되면서, 민권센터와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미교협)가 구명운동에 나섰다.     김씨는 지난 7월 한국에서 열린 남동생의 결혼식에 참석한 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세관국경보호국(CBP)에 의해 구금됐으며〈본지 7월 30일자 A-1면〉, 이후 법률 조력 없이 1주일 이상 감금된 상태에서 천식 약조차 제공받지 못한 채 건강이 악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이후 애리조나의 ICE(이민세관단속국) 수용소로 이송됐으며, 현재는 텍사스의 이민자 구금시설에 수감 중이다.     구금 사유는 2011년 경범죄 마리화나 소지 이력으로 추정되며, 김씨는 당시 법원 명령에 따라 사회봉사 서비스 명령을 받은 뒤 이행했다.   김씨는 현재 라임병 치료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가족과 법률팀은 그가 학업과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법률 대리 비용, 보석금, 의료비 등을 위한 긴급 후원을 요청하고 있다.     고펀드미(gofundme.com/f/help-free-will-kim-from-ice-detention) 후원이 진행 중이며, 서명운동(win.newmode.net/nationalkoreanamericanserviceandeducationconsortium/releasewilliamnow?utm_campaign)과 전화걸기 캠페인(secure.everyaction.com/KMr19v9xCkSNRKU9sNxvpw2?utm_campaign)도 참여할 수 있다. 서만교 기자영주권자 구명운동 한인 영주권자 이민자 구금시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2025.08.13. 21:02

썸네일

"아들 공부 마치게 꼭 도와 달라"…김태흥씨 모친 격정 토로

샌프란시스코 공항서 구금됐다가 애리조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센터로 이송된 한인 영주권자 김태흥(40)〈본지 7월 31일자 A-1면〉씨의 어머니가 아들의 석방을 호소하고 나섰다.   김씨의 모친 샤론 이씨는 지난달 31일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미교협)가 주최한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아들의 구금 사실을 알게 된 후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것 같은 기분”이라고 밝혔다. 이씨는 “지금 며칠째 밥이 안 넘어간다”며 “너무너무 가슴이 아프다”고 토로했다.     그는 김씨가 구금된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작은아들(김씨의 동생)에게서 “형이 (공항에서) 이민국 사무실에 들어갔는데 그 뒤로 연락이 없다”는 말을 듣고서였다면서 “그쪽(당국)에서는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고 했다.   김씨 측에 따르면 그는 남동생의 결혼식에 참석하려고 가족과 함께 한국에 갔다가 2주간의 일정을 마치고 지난 21일 미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입국심사를 받던 중 영문도 모른 채 억류됐다고 한다.   김씨의 어머니는 “우리 태흥이가 학교를 다 마치지도 않았는데 빨리 나와서 지금 하던 공부를 다 마치고, 어려운 사람도 도와줄 수 있는 그런 아들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 엄마의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씨의 변호인도 함께했다. 변호인은 “김 씨가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8일 넘게 구금돼 있다가 최근 애리조나주에 있는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센터로 이송됐으며, 김씨가 이 시설에 도착한 이후 연락이 닿지 않는다”고 밝혔다. ICE 구금센터로 이송됨에 따라 추방 절차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변호인은 김 씨가 공항에서 억류될 당시 정식 수용시설이 아닌, 창문이 없는 좁은 공간에서 조사받아 낮에 햇빛도 보지 못하고 밤에는 침대도 없이 의자에서 잠을 자야 하는 등 인권을 유린당했다고 전했다.   당국은 김 씨의 구금 사유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변호인은 김씨가 2011년 소량의 대마초 소지 혐의로 기소된 전력이 문제가 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미교협은 김 씨의 석방을 위해 낸시 펠로시(민주) 연방하원의원과 텍사스를 지역구로 둔 마이클 매콜(공화) 연방하원의원, 한인 영 김(공화·캘리포니아) 연방하원의원과 앤디 김(민주·뉴저지) 연방상원의원 등에게 연락해 도움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씨 석방을 촉구하는 온라인 청원 운동도 벌이고 있다. 관련기사 한인 영주권자 구금센터 이송…추방 절차 강한길·김은별 기자김태흥 아들 아들 공부 모친 격정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한인 영주권자 이민 구금센터

2025.07.31. 21:35

썸네일

“아들 공부 마치게 꼭 도와 달라”

한국을 방문한 후 귀국길에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체포돼 일주일 넘게 구금된 영주권자 김태흥(40)씨의 어머니가 아들이 풀려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김씨의 모친 샤론 이씨는 31일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미교협)가 주최한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아들의 구금 사실을 알게 된 후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것 같은 기분"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 며칠째 밥이 안 넘어간다"며 "너무너무 가슴이 아프다"고 토로했다.     한국에서 태어난 김씨는 다섯살 때 가족을 따라 미국에 와 35년 넘게 살면서 영주권을 받았다. 텍사스의 명문 주립대로 꼽히는 A&M대학 박사과정에서 라임병 백신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는 남동생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달 초 한국에 갔다가 2주간의 일정을 마치고 지난 21일 미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입국심사를 받던 중 영문도 모른 채 억류됐다.   김씨의 어머니는 "우리 태흥이가 학교를 다 마치지도 않았는데 빨리 나와서 지금 하던 공부를 다 마치고, 어려운 사람도 도와줄 수 있는 그런 아들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 엄마의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씨의 변호인 2명도 함께했다.   변호인은 "김 씨가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일주일 넘게 구금돼 있다가 최근 애리조나주에 있는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센터로 이송됐으며, 김씨가 이 시설에 도착한 이후 연락이 닿지 않는다"고 전했다. ICE 구금센터로 이송됨에 따라 추방 절차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변호인은 김 씨가 공항에서 억류될 당시 정식 수용시설이 아닌, 창문이 없는 좁은 공간에서 조사받아 낮에 햇빛도 보지 못하고 밤에는 침대도 없이 의자에서 잠을 자야 하는 등 인권을 유린당했다고 전했다.   당국은 김 씨의 구금 사유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변호인은 김씨가 2011년 소량의 대마초 소지 혐의로 기소된 전력이 문제가 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미교협은 김 씨의 석방을 위해 낸시 펠로시(민주) 연방하원의원과 텍사스를 지역구로 둔 마이클 매콜(공화) 연방하원의원, 한인 영 김(공화·캘리포니아) 연방하원의원과 앤디 김(민주·뉴저지) 연방상원의원 등에게 연락해 도움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씨 석방을 촉구하는 온라인 청원(bit.ly/ReleaseWillNow) 운동도 벌이고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공부 아들 아들 공부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연방하원의원 한인

2025.07.31. 21:20

썸네일

한인 영주권자, 샌프란 공항서 8일째 구금

미국에서 35년 넘게 거주한 한인 영주권자가 한국 방문 후 귀국길 공항에서 체포돼 일주일 넘게 구금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미교협)는 “텍사스주 거주 영주권자 김태흥(40·사진)씨가 지난 21일부터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 ‘2차 심사’ 명목으로 감금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남동생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가 돌아오는 길이었다.     다섯 살 때 미국에 온 김 씨는 35년 넘게 미국에 거주했다. 텍사스 A&M 대학 박사과정 학생으로 라임병 치료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해 왔다. 그는 어머니와 짧게 통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변호사와 통화하거나 가족과 직접 소통하는 것조차 허용되지 않고 작은 방에 갇혀 있다.     김 씨의 변호인 측은 “CBP 규정상 최대 억류 기간은 72시간임에도 법을 어기고 일주일 넘게 억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변호인은 구금된 이유를 추측만 하는 상황이라고도 전했다. 김씨는 2011년 텍사스주에서 마리화나 소지 혐의로 기소됐지만, 커뮤니티 서비스 명령을 받은 뒤 이행했다.     한편 미교협과 민권센터는 “즉각 김 씨를 석방해 학업과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영주권자 공항 한인 영주권자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귀국길 공항

2025.07.29. 20:52

썸네일

빌드블록,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 사옥 매입 완료

        지난 13일, 한국의 초고액자산가와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미국 부동산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빌드블록이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에 약 80억원 규모의 사옥 매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빌드블록이 이번에 매입을 완료한 캘리포니아 주 본사 사옥은 샌프란시스코 인근 벌링게임 시에 위치한다. 벌링게임(City of Burlingame) 시는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10분 내외로 이동이 가능할 만큼 교통이 우수하며, 한국계 미국 VC인 알토스벤처스 뿐만 다양한 AI, 바이오 스타트업들이 본사를 두고 있다.     빌드블록은 이번에 매입을 완료한 상업용 부동산을 빌드블록의 본사 뿐만 아니라, 빌드블록을 통해 미국에 진출하려는 아시아 기업들의 교두보의 역할로 활용할 계획이다. 가상 오피스, 우편물 보관, 공유 오피스, 출장 시 필요한 미팅 룸 이용 등의 내용을 담은 멤버십 서비스를 론칭하였고, 이미 100개가 넘는 기업 고객들이 가입 의향서 신청을 완료한 상태이다. 빌드블록은 주로 한국 기업이 미국에 진출하면서 필요한 부동산 매입 매각, 설계 인허가, 건설 시공 업무를 지원하지만, 이번 멤버십 서비스를 통해 기업들의 미국 진출 초기단계부터 지원하며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울 방침이다.     빌드블록에 따르면, 미국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의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늘고 있으며, 특히 샌프란시스코나 실리콘밸리 지역은 한국 스타트업 지원기관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실제로 빌드블록은 한국 정부 산하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한국 금융지주사 계열의 VC 등 다양한 한국 스타트업 유관기관의 미국 실리콘밸리 진출에 필요한 부동산 업무를 총괄하고 있기도 하다.     빌드블록의 이번 사옥 매입 및 본사 업무 공간 확장 또한 이렇게 늘어나는 기업 고객 수요를 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본사에는 기업 고객들이 주로 찾는 ‘오피스 임대차, 매입 매각, 실사용을 위한 설계 인허가, 인테리어 공사 및 시설관리에 특화해 지원하는 “기업 진출 전담팀”을 중심으로 조직의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최지원 기자미국 샌프란시스코 샌프란시스코 지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사옥 매입

2025.05.20. 22:24

썸네일

에어프레미아, 샌프란시스코 신규 취항

  에어프레미아가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에 취항했다고 20일 밝혔다.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은 주 4회(월·수·금·일요일) 일정으로 운항한다. 태평양 시간 기준으로 인천공항에서 오후 5시 30분에 출발하고,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오후 3시에 출발한다. 비행시간은 각각 11시간, 12시간 50분이다. 이번 취항으로 에어프레미아는 LA, 뉴욕에 이어 세 번째 미국 정기편을 운영하게 됐다.   [에어프레미아 제공]  샌프란시스코 에어 샌프란시스코 신규 샌프란시스코 노선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2024.05.20. 20:18

썸네일

하츠필드 잭슨 공항에 '푸드홀' 생긴다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공항'인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고급 식당이 모인 푸드홀이 들어선다.     각 지역 요식업계를 다루는 온라인 매체 '이터(Eater) 애틀랜타'는 애틀랜타 공항의 국제선 터미널(콘코스 F)에 여러 식당이 모인 푸드홀이 2025년 초에 개점 예정이라고 10일 보도했다.     이터지는 "벅헤드핍스 플라자의 푸드홀인 '시티즌스마켓'의 축소판이 될 예정"이라며 공항 푸드홀에 '시티즌스 고'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공항 푸드홀에 입점 예정인 식당은 현지 레스토랑과 전국 유명 체인 등이다. 전국에 체인점을 갖고 있는 햄버거 전문점 '우마미 버거'와 '샘스 크리스피 치킨'을 비롯해 미슐랭 스타 셰프 다니 가르시아가 운영하는 '엘 폴로 베르데'도 입점 예정이다.     또 현지에서 유명한 '에코,' '원 플루 사우스' 등도 포함된다.     시티즌스 고의 규모는 3000스퀘어피트(sqft)로 일반적인 푸드홀에 비하면 크기가 작다. 핍스 플라자에 있는 시티즌스 마켓의 크기는 약 2만5000 스퀘어피트다.   한편 공항 홈페이지에 따르면 애틀랜타 공항에는 300개 이상의 식당, 상점 등이 있다. 음식 전문 잡지 '푸드 앤 와인'은 올해 음식을 즐기기에 가장 좋은 미국 공항 순위를 발표하며 애틀랜타 공항을 2위로 선정했다. 1위는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이 차지했다.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푸드홀 애틀랜타 공항 공항 푸드홀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2023.10.12. 14:30

썸네일

LA<->UC버클리, 1년간 항공편으로 통학해 석사 졸업-렌트비 절약 위한 선택

    LA에 거주하는 대학원생이 1년 동안 렌트비를 아끼며 수업을 듣기 위해 항공편을 이용해 샌프란시스코 지역 학교를 다닌 것으로 나타나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이름이 빌(Bill)로만 알려진 학생으로 그는 지난 1년 동안 UC 버클리의 1년 단기 엔지니어링 석사 과정 프로그램에 합격해 LA와 버클리를 비행기로 오가며 수업을 들었다.   빌은 학교에 합격한 뒤 어차피 공부를 마친 1년 뒤에는 다시 LA로 돌아올 것이고 북가주 샌프란시스코 지역의 비싼 렌트비를 피하는 방법으로 LA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비행기로 통학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빌은 지난 1년 동안 일주일에 최소 3번은 LA 국제공항에서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을 오가며 수업을 들었다.   그는 수업이 있는 날은 새벽 3시30분에 일어나 6시에 출발하는 비행기를 타고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도착한 뒤 그곳에서는 전철(BART)을 타고 버클리로 이동해 오전 10시 수업에 참석했다고 전했다.   하루 종일 수업이 끝난 뒤에는 거꾸로 된 순서로 자정 쯤에 다시 LA로 돌아오는 일정을 반복했다.   빌이 1년 동안 비행기 통학에 지출한 교통비 총액은 5592.66달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671.29달러는 전철 요금, 520달러는 주차비, 1948.27달러는 개스비, 39.96달러는 기내 와이파이 사용료였다.   순수 비행기 요금으로는 알래스카 항공 요금으로 1552.10달러와 40만7500마일 마일리지 포인트, 사우스웨스트 항공 요금으로 758.24달러와 15만6945마일 마일리지 포인트, 유나이티트 항공 요금 71.30달러와 5500마일 마일리지 포인트, 애비앙카 항공 요금 15.60달러와 6500마일 마일리지 포인트, 스피리트 항공 요금 15.90달러였다고 그는 밝혔다.   1년 동안 그가 탄 항공편은 모두 238편이었고 총 비행 길이는 9만2089마일로 집계됐다. 그가 통학에 사용한 시간은 총 7만5955분이었다.   빌은 또 똑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반복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김병일 기자버클리 항공편 렌트비 절약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석사 졸업

2023.06.29. 11:58

썸네일

미국내 최우수 공항 순위 조사

 미국내 대도시 최우수 공항 순위 조사에서 덴버 국제공항(사진)이 전국 11위를 차지했다. 최근 월스트릿저널(WSJ)이 전국의 20개 대도시 공항을 대상으로 신뢰성(Reliability), 가치(Value), 편의성(Convenience)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분석한 최우수 공항 순위에 따르면, 덴버 국제공항(DEN)은 신뢰성 부문에서 34점, 가치 부문에서 58점, 편의성 부문에서 49점을 얻어 종합점수 41점으로 11위에 올랐다. 덴버공항의 세부항목별 순위를 살펴보면, 정시도착률 78%(12위), 평균 도착 지연 시간 14분(11위), 정시 출발률 72%(18위), 평균 출발 지연 시간 17분(15위), 항공편 취소율 2.5%(14위), 보안검색 지연 시간 0.06분(3위), 국내선 평균 요금 304달러(5위), 항공시장 점유율 33%(6위), 주차비 8달러(2위), 렌터카 비용 404달러(10위), 도심까지 우버택시비 49달러(16위), 물 1병 가격 2.84달러(7위), 옐프 레스토랑 평점 2.81(2위), 최대 보행 거리 8,040피트(19위), 논스톱 목적지 216(4위), 고객 만족도 점수 759(14위) 등이다. 특히 덴버공항은 주차비, 식당 평점이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조사에서 최우수 공항 순위 1위는 총점 61점을 기록한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SFO)이 차지했다. 2위는 애틀랜타 국제공항(ATL/59점), 3위 미니애폴리스 국제공항(MSP/57점), 4위 디트로이트 국제공항(DTW/54점), 5위 피닉스 국제공항(PHX/53점), 6위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X/52점), 7위 휴스턴 부시 국제공항(IAH/51점), 8위 라스베가스 국제공항(LAS/49점), 9위 샬롯 국제공항(CLT/46점), 10위는 시애틀 국제공항(SEA/46점)이 각각 랭크됐다. 이어 11위는 덴버 공항이었고 12위는 보스턴 국제공항(BOS/41점), 13위 필라델피아 국제공항(PHL/39점), 14위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ORD/38점), 15위 올랜도 국제공항(MCO/38점), 16위 마이애미 국제공항(MIA/37점), 17위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DFW/36점), 18위 포트로더데일 국제공항(FLL/36점), 19위 뉴욕 JFK 국제공항(JFK/24점), 20위는 뉴왁 국제공항(EWR/19점)이었다.      이은혜 기자미국 최우수 덴버 국제공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최우수 공항

2022.12.05. 14:4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