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전, LA 근교 리돈도비치의 한 미국 천주교회에서 조용하지만 깊은 울림의 장례식이 열렸다. 주인공은 94세의 한국전 참전 미군 노병이다. 그는 스무 살이던 1952년, 피비린내로 가득했던 ‘단장의 능선(Heartbreak Ridge)’ 전투에서 살아 돌아온 마지막 생존자 중 한 사람이었다. 오죽하면 ‘창자가 끊어지는 아픔의 고지’라 이름하였으리.
그 전투는 미군 1000여 명이 전사하고, 적 중공군 1만5000여 명이 쓰러진 치열한 격전이었다. 그 고지를 지켜 세운 결과가 오늘의 휴전선, 그리고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켜낸 밑거름이 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그는 전쟁 후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가 묵묵히 생을 마쳤지만, 그 젊은 시절의 상흔은 평생 가슴속에 남아 있었다. 그의 희생은 결코 평범하지 않았고 그의 젊음은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불태워졌다.
장례식에는 그 지역 미재향군인회 회원들과 정치인들이 참석했다. 정중한 예식 속에 조총이 발사되고, 미 성조기가 그의 관 위에 덮였다. 엄숙한 묵념 속에서 군악이 흐르고, 조객들은 숨죽여 고개를 숙였다. 몇 사람의 조사가 낭독되는 순서 중, 한 한국 참전용사도 전우로서의 마지막 인사를 영어로 낭독했다. 조객들은 일제히 기립해 박수로 화답했다. 피로 맺어진 우정과 전우애가 세월을 넘어 다시 하나가 되는 감동의 순간이었다.
장례식 후, 주재 영사가 뒤늦게 도착해 종이봉투에 담긴 기념 메달을 유가족에게 건넸다. 종이봉투에 담긴 ‘전쟁영웅’ 기념메달을 개봉도 안 한 채 그냥 유가족에게 전달하는 그 모습은 마치 아이에게 건네는 작은 선물처럼 초라하고 쓸쓸했다.
국가와 민족의 이름으로 마땅히 드려야 할 ‘감사’가 형식적 절차로만 남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제 한국전 참전용사들은 하나 둘 떠나가고 있다. 그들이 사라지면 전쟁의 기억도, 자유의 의미도 함께 희미해질까 두렵다. 전쟁의 참혹함은 시간이 지나면 희미해지지만, 그 희생과 헌신의 의미만큼은 결코 잊혀져서는 안 된다. 그들이 흘린 피가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했음을, 그들의 청춘이 자유의 충혼탑을 세웠음을, 이 나라의 자유와 오늘의 번영은 그들의 피 위에 세워진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 전역에서 이름없이 떠나가는 참전용사들이 아직 많다. 그들의 마지막 길이 쓸쓸하지 않도록 우리가 다시 기억하고, 감사하며, 존경을 표해야 한다. 그 젊은 병사들이 한반도의 자유를 위해 싸웠음을, 그리고 그들의 피가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했음을 감사와 존경으로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줄 수 있는 마지막 훈장이다.
그들이 지켜낸 ‘단장의 능선’ 고지 위에 대한민국의 오늘이 서 있다. 그리고 그들의 용기와 헌신은 여전히 한미 양국의 우정을 이어주는 가장 숭고한 다리로 남아 있다. 세월은 영웅의 육신을 데려가지만, 그들의 용기와 희생의 이야기는 우리 가슴 속에서 영원히 살아있다. 그것이 우리가 그들에게 드릴 수 있는 가장 숭고한 경의일 것이다. 모든 전쟁영웅들에게 마지막 경의를 바친다. “우리는 당신들의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겠노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