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가능성, 소비 둔화 우려, 부동산 시장의 회복 조짐, 글로벌 투자 심리 변화 등이 뒤엉킨 가운데, 다음 주 발표될 여러 경제 지표들은 국가 경제의 향후 흐름을 가늠할 결정적 힌트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는 단순히 일정이 겹쳐 있는 주가 아니라,
캐나다 경제가 어느 방향으로 기우는지를 확인하는 ‘방향성의 한 주’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부동산 시장의 온기를 확인할 시점이다. 캐나다부동산협회(CREA)가 발표할 2월 주택 거래 통계는 최근 움츠러든 시장이 완만한 회복세로 전환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1월에는 거래량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오랫동안 억눌렸던 수요가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만약 이번 발표에서도 회복세가 이어진다면, 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이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가 한층 더 힘을 받을 전망이다.
금리 인하 기대가 서서히 반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 시장은 캐나다 경제 심리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
대기업 경영진들이 제시할 전망에도 관심이 모인다. 데자르댕이 몬트리올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에는 국내 주요 기업들의 최고경영자들이 참석한다.
통신, 항공, 소매 등 핵심 산업군을 이끄는 경영진이 직접 나서, 올해 사업 전략과 시장 전망, 투자 계획을 공유할 예정이다. 세계적인 공급망 재편과 인플레이션 완화 흐름 속에서 기업들이 어떤 전략을 채택하는지는 투자자뿐 아니라 고용·기술·가격 정책에도 영향을 미친다. 기업 현장에서 전해지는 목소리는 현재 경제가 어떤 국면에 있으며, 앞으로 무엇이 변화할지에 대해 가장 생생한 신호가 된다.
무엇보다 결정적인 지표는 인플레이션이다.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할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캐나다 중앙은행(BoC)의 금리 정책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다.
1월 CPI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둔화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했지만, 이번 발표가 그 흐름을 확인해 줄지가 관건이다. 만약 물가가 또다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면, 중앙은행은 지금보다 더 과감하게 정책 전환을 검토할 가능성이 생긴다. 반대로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장기 고금리가 지속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다시 고개를 들 것이다. 가계의 모기지 부담, 소비 여력, 시장의 위험 선호도 모두 CPI 수치에 따라 출렁일 수밖에 없다.
기업 실적에서도 중요한 시험대가 기다리고 있다. 글로벌 편의점·소매 대기업인 Alimentation Couche-Tard가 발표할 3분기 실적은 국제 소비 흐름과 기업 경영 전략의 방향을 살필 수 있는 지표다.
특히 이 회사가 최근 유럽 지역의 Total Energies 소매 자산을 인수한 후 처음 발표하는 실적이라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높다. 소비 둔화와 비용 상승이라는 이중 압박 속에서 기업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인수한 자산이 단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통합되고 있는지가 시장 평가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주목할 지표는 캐나다의 소매판매 흐름이다. 12월에는 연말 쇼핑 특수가 작용해 판매가 증가했지만, 1월의 예비치는 다소 주춤한 흐름을 나타냈다. 이번에 발표될 최종치는 캐나다 가계가 고금리 압박 속에서도 소비를 유지할 여력이 있는지, 혹은 신중 소비로 전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소매판매는 단순한 소비 지표를 넘어, 실질 경기 흐름을 직접 반영하기 때문에 전체 경제의 기초 체력이 드러나는 지표로 평가된다.
결국 이번 주는 캐나다 경제가 앞으로 어떤 모습을 그리게 될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주택 시장의 회복력, 기업 경영진의 전망, 물가 움직임, 소비 흐름은 각기 다른 영역에 위치하지만, 모두 동일한 질문에 연결되어 있다.
과연 캐나다 경제는 불확실성을 넘어 회복 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는지, 다음 주 발표될 일련의 지표들은 바로 그 질문에 대한 초기 답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