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쇼트트랙, 캐나다 텃세가 변수 쇼트트랙은 한국 겨울올림픽의 ‘효자 종목’이다. 그간 겨울올림픽에서 딴 17개의 금메달이 모두 쇼트트랙에서 나왔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겨울올림픽=쇼트트랙 올림픽’이었던 셈이다. 올해도 가장 많은 금메달은 쇼트트랙에서 쏟아질 전망이다. 2006 토리노 올림픽에서 각각 3관왕에 올랐던 안현수·진선유는 없지만 새 얼굴들의 기량도 그 못지 않다는 평가다. ◆한국팀 라이벌은= 한국인 대표팀 감독(전재수)을 영입한 미국과 ‘전통의 강국’ 중국, 홈에서 대회를 치르는 캐나다가 이번 대회 최대 라이벌이다. 특히 선수들은 “캐나다가 제일 무섭다”고 입을 모은다. 홈 텃세 때문이다. 올 시즌 캐나다에서 열린 쇼트트랙 월드컵 3차 대회에서 한국 선수들은 10차례 이상 실격됐다. 여자팀의 조해리는 “몸만 닿으면 바로 실격이다. 특히 한국팀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댄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자칫 잘못하면 ‘제2의 솔트레이크 사태’가 날 수 있다. 2002년 솔트레이크 겨울올림픽 남자 1500m 결승에서 금메달이 확실했던 김동성은 아폴로 안톤 오노(미국)와 자리 다툼을 벌이다 반칙 판정으로 실격당했다. ◆단내 나는 체력 훈련 중= 남자팀의 성시백은 “올림픽 때는 레이스 도중 추월하려면 무조건 아웃코스로 가야 한다. 인코스로 추월할 경우 몸싸움이 치열해지기 때문에 홈 텃세가 심한 캐나다에서는 실격 우려가 크다”고 했다. 아웃코스 추월은 인코스 때보다 체력 소모가 심하다. 그래서 대표팀은 한 달여 남은 기간 체력 훈련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대표팀은 오전 5시에 일어나 오전·오후 4시간씩 훈련을 소화한다. 2시간가량 빙판 훈련을 한 뒤 곧바로 지상 훈련을 2시간 하는 식이다. 대회 전까지는 휴식일도 없다. 이규혁·이강석, 동반 메달 기대 한국이 역대 겨울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에서 따낸 메달은 모두 2개다. 1992년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김윤만이 은메달(1000m)을 땄고, 14년 뒤 2006년 토리노 올림픽 500m에서 이강석이 동메달을 추가했다. 월드컵이나 세계선수권에서는 가끔 금메달 소식을 전해오지만, 중압감이 큰 올림픽에서는 번번이 빙속 강국 선수들에게 밀렸다. 이번 밴쿠버 올림픽에서는 금빛 전망이 다소 밝다. ◆경쟁자는= 한국이 메달을 노리는 종목은 ‘빙속 듀오’ 이규혁·이강석이 나서는 남자 500m와 이규혁이 나서는 남자 1000m다. 이상화가 출전하는 여자 500m도 메달을 노린다. 이강석과 이규혁은 올 시즌 네 차례 월드컵 대회 성적으로 산정한 랭킹 1, 2위에 나란히 올랐을 정도로 최고 기량을 뽐내고 있다. 이상화는 여자 500m 월드컵 랭킹에서 세계기록 보유자 예니 볼프(독일)와 중국의 에이스 왕베이싱에 이어 3위에 올랐다. 남자 500m는 몸집이 작은 동양 선수들이 유리해 한·중·일 3파전이 예상된다. 일본의 나가시마 게이치로와 조지 가토, 중국의 류펑퉁이 좋은 기록을 내고 있다. 1000m에는 미국의 ‘인간 탄환’ 샤니 데이비스가 있다.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1000m 금메달을 목에 건 데이비스는 8개의 스피드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을 수집했다. 올 시즌 열린 네 차례 스피드 월드컵 대회에서는 이규혁이 두 차례 500m 금메달을 따냈고, 데이비스가 1000m 금메달을 휩쓸었다. ◆훈련은 어떻게= 스피드 대표팀은 16일 열리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 스프린트 선수권대회에 출전하기 위해 지난주 일본 오비히로로 건너갔다. 올림픽 전 열리는 마지막 대회인 만큼 상대 선수들의 기량을 최종 점검할 수 있다. 대표팀 김관규 감독은 “빙속은 1000분의 1초를 다투는 기록 경기인 만큼 남은 기간은 컨디션 조절에 힘쓸 예정이다. 지금 좋은 성적을 내는 것보다 올림픽 때 최상의 컨디션을 보이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2010.01.12. 21:51
2010년 밴쿠버 겨울 올림픽이 꼭 30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한체육회는 이번 올림픽에서 금메달 5개 이상을 획득 2회 연속 '톱10' 안에 들겠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전통의 메달밭'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3개 이상을 따고 김연아(피겨스케이팅)와 이강석(스피드스케이팅) 등에게 금메달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비쇼트트랙 금메달'에 대한 기대는 어느 때보다 크다. 한국은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 대회부터 겨울 올림픽에 참가했지만 그간 쇼트트랙 외의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낸 적이 없다. 2006년 토리노 겨울 올림픽에서도 한국은 쇼트트랙에 걸린 8개 중 6개를 휩쓸면서 금 6개 은 3개 동 2개로 역대 최고인 7위에 올랐다. 김연아 '방심은 없다' 막바지 체력 훈련 김연아(20)는 여자싱글의 가장 강력한 금메달 후보다. 세계 피겨 전문가들이 "경쟁자가 없다"고 입을 모을 정도다. 그러나 방심은 금물이다. 약점으로 드러난 플립점프의 안정성을 높이고 체력보강에도 힘을 써야 한다. 체력이 떨어지면 후반부로 갈수록 연기가 흔들렸기 때문이다. ▷경쟁자는 누구= 올림픽을 예상할 때 '확실한 금메달'은 없다. 사샤 코언(미국) 수구리 후미에(일본)가 우승을 다툴 것으로 예상됐던 2006년 토리노 겨울올림픽에서 시즈카 아라카와(일본)가 깜짝 금메달을 따냈다. 이번에도 가장 경계해야 할 상대는 역시 아사다 마오(일본)다. 아사다는 2009년 출전한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개최 대회에서 단 한 개의 금메달도 따내지 못하면서 무너졌지만 지난해 크리스마스날 열린 전일본선수권대회에서 204.62점을 받으며 밴쿠버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홈 어드밴티지를 등에 업은 조애니 로셰트(캐나다)도 복병이다. 로셰트는 지난해 캐나다 키치너에서 열린 ISU 그랑프리 6차대회에서 2개의 점프를 감점당하고 스핀 3개를 레벨2(최고는 레벨4)로 처리하는 등 졸전을 펼쳤지만 우승했다. 미국의 피겨 칼럼니스트 필립 허시는 "로셰트가 받은 예술점수(62.88)는 김연아가 그랑프리 5차 대회에서 받았던 예술점수(61.52)보다 더 높았다. 이런 잣대라면 김연아에게 더 높은 점수를 줬어야 한다"며 "캐나다 텃세를 주의하라"고 조언했다. 이 밖에 안도 미키(일본) 사샤 코언 등이 메달권으로 거론된다. ▷훈련은 어떻게= 김연아는 전지훈련지인 캐나다 토론토에서 훈련 중이다. 결전지 밴쿠버에서 비행기로 약 4시간 거리다. 대회를 한 달여 앞둔 김연아가 가장 주력하는 부분은 체력 훈련이다. 올 시즌 프로그램 막판 스핀에서 계속 레벨3을 받았는데 이는 체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김연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주일에 두 번 정도 프로그램을 2회 연속 소화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완벽한 연기를 위해 부분 반복 훈련도 하고 있다. 스텝 훈련 부분을 집중 연마하거나 연기 초반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 루프에서 트리플 플립으로 이어지는 부분만 반복하는 식이다. 김연아 측근은 "훈련 시간을 늘리진 않았지만 훈련 프로그램을 매번 달리해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온누리 기자
2010.01.12. 21:46
한국은 2006 토리노올림픽에서 역대 동계올림픽 출전 사상 최다 메달(금6.은3.동2)을 획득했다. 안현수 진선유가 각각 쇼트트랙 남녀 3관왕에 올랐고 쇼트트랙 이호석 최은경이 은메달 3개를 따냈다. 안현수와 스피드 스케이팅 이강석이 각각 동메달 1개씩을 보탰다. 한국은 밴쿠버에서도 종합 7위권 진입을 노린다. 대한체육회가 밝힌 밴쿠버올림픽 목표는 금메달 6개. 피겨(김연아) 1개 스피드 스케이팅(이규혁) 1개 쇼트트랙 4개다. 최근 5차례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6개를 따고도 7위 이내에 들지 못한 나라는 없었다. ■ '피겨 퀸' 김연아 김연아(20)는 국제 피겨계와 세계 언론이 인정하는 금메달 후보다. 한인들이 동계올림픽에 지금처럼 많은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어찌보면 모두 김연아 때문일 정도로 김연아에게는 국민적 관심이 쏠려 있다. 김연아가 금메달을 따면 한국은 동계올림픽 출전 사상 비쇼트트랙에서 첫 쾌거를 이루게 된다. 한국은 지금까지 오로지 쇼트트랙에서만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연아는 지난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그랑프리 대회에서 여자 피겨 역대 최고 점수(210.03점)로 우승하면서 '밴쿠버에서 넘어지지만 않으면 금메달'이라는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 김연아의 금메달 여부는 2월25일 결정된다. ■ '메달밭' 쇼트트랙 안현수 진선유가 부상으로 아쉽게 탈락했다. 밴쿠버 남자 대표팀은 이호석(24) 성시백(23) 곽윤기(21) 이정수(21) 김성일(20) 여자 대표팀은 조해리(24) 박승희(18) 이은별(19) 김민정(25) 최정원(20)으로 구성됐다. 남자는 미국 캐나다 이탈리아 등 서양 국가 여자는 왕멍을 내세운 중국의 거센 도전이 예상되지만 한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금메달 노하우는 무시할 수 없는 큰 자산이다. 남녀 합쳐 총 8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 이규혁의 '4전5기' 비쇼트트랙 종목 금메달에 근접해있는 다른 선수는 스피드 스케이팅의 맏형 이규혁(32)이다. 이규혁은 토리노 올림픽 남자 1000m에서 0.05초차로 동메달을 놓친 뒤 다섯 번째이자 생애 마지막 올림픽을 준비해왔다. 이규혁은 지난해 말 월드컵 5차 대회 남자 500M에서 이틀 연속 금메달을 따내며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다.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한국 역대 최고 성적은 1992년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김윤만이 은메달을 딴 것이다. 이밖에 강광배가 이끄는 남자 봅슬레이 대표팀의 동계올림픽 출전은 참가 자체가 인간승리 드라마다. 김문호 기자
2010.01.01. 21:33
동계올림픽은 1924년 프랑스 샤모니 대회가 효시다. 한국은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5회 대회에 임원 2명 선수 3명을 파견해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에 등장했다.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제6회 노르웨이 오슬로대회에는 불참했고 1956년 이탈리아의 코르티나-담페초 대회에 다시 선수단 5명을 파견했다. 한국이 동계올림픽에서 첫 메달을 딴 것은 쇼트트랙이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열린 제16회 대회였다. 한국은 쇼트트랙 남자 1000에서 김기훈이 금메달 이준호는 동메달을 차지했고 남자 5000 계주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한국은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1000에 출전한 김윤만이 은메달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며 처음으로 종합 10위에 랭크됐다. 동계올림픽은 알베르빌 대회를 마지막으로 하계올림픽과 개최 시기가 달라졌다. 알베르빌 대회까지는 동ㆍ하계 올림픽이 모두 같은 해에 열렸지만 IOC는 동계올림픽 흥행을 위해 제17회 대회를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레르에서 열기로 결정 이후 동ㆍ하계대회가 2년 주기로 교차 개최하게 됐다. 한국은 알베르빌 대회부터 94년 릴리함메르(6위) 98년 일본 나가노(9위) 02년 솔트레이크시티(14위) 06년 이탈리아 토리노(7위) 대회까지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2010.01.01. 21:30
캐나다 원주민의 신화 속에 등장하는 동물을 형상화했다. '미가(Miga)'는 북서 태평양 연안의 인디언 부족 전설에 등장하는 물개 '콰치(Quatchi)'는 북미 북서부 산중의 손이 길고 털이 많은 사람 비슷한 동물로 알려진 '빅푸트(Bigfoot)'를 형상화했다. 또 '수미(sumi)'는 동물의 수호신으로 환경 보호를 상징한다.
2010.01.01. 21:20
'겨울 탄환' 샤니 데이비스(28.미국.사진)가 2010년 밴쿠버 겨울올림픽 5관왕에 도전한다. 데이비스는 스피드스케이팅 500m와 1000m 1500m 5000m와 더불어 1만m에도 출전이 확정됐다.미국빙상연맹은 1일 "1만m에 출전하려던 채드 헤드릭이 출전권을 양보했다"며 "데이비스가 스피드스케이팅 개인종목 5개 부문에 모두 나설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미국 빙속 역사상 겨울올림픽 개인종목 5개 부문 출전은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대회 당시 5관왕에 올랐던 '빙속 황제' 에릭 하이든 이후 데이비스가 두 번째다.데이비스는 2006년 토리노 겨울올림픽에서 1000m 금메달과 1500m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는 겨울올림픽 사상 첫 흑인 금메달리스트가 됐다. 이력도 독특하다. 두 살 때 롤러스케이트를 처음 접한 그는 여섯 살 때 처음 스피드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이후에는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을 병행했는데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겨울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 선수로 출전하기도 했다. 대표팀의 이규혁(32)은 밴쿠버 올림픽에서 한국의 올림픽 사상 첫 빙속 금메달을 따내기 위해 데이비스와 경쟁해야 한다. 이번 시즌 열린 네 차례 빙속 월드컵에서는 데이비스가 1000m 금메달을 모두 휩쓸었고 이규혁이 500m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했다. 온누리 기자
2010.01.01. 21:19
'뜨거운 가슴을 안고(With Growing Hearts) 가자! 밴쿠버로.' 4년을 기다려 온 제21회 동계올림픽의 해가 밝았다. 2010밴쿠버 올림픽이 2월12일 캐나다 밴쿠버 BC플레이스 스타디움에서 화려한 개막식을 갖고 17일간의 열전에 돌입한다. 눈과 얼음에서 펼쳐질 대축제는 하계올림픽 때와는 또 다른 겨울 스포츠만의 짜릿한 진수를 보여줄 것이다. 이번 밴쿠버 올림픽에는 주최국 캐나다와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 80여 개국에서 2600여 명이 저마다 조국의 명예를 걸고 참가해 스키와 빙상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루지 아이스하키 컬링 등 7개 종목에 걸린 총 86개의 금메달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캐나다는 이번 올림픽 준비를 위해 총 17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빙상장과 봅슬레이 크로스컨트리 코스 등 7개 경기장을 새로 만들었고 알파인스키 슬로프 등 4개 경기장을 보수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역대 동계올림픽 참가 사상 최대 규모 선수단을 파견하는 한국은 지난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 올림픽에 이어 2회 연속 종합순위 '톱10'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직 종목별 예선이 모두 끝나지 않았지만 한국은 7개 종목 중 5개 종목에서 50명 이상이 참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48명 출전)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토리노 올림픽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로 종합 7위에 올랐다. 김문호 기자
2010.01.01.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