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재정칼럼] 국민 총생산량과 주식시장

2025년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은 3.0% 성장했다. 경제가 확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여전히 주식 투자에 망설이는 사람들이 많다. 이는 체감 경기가 여전히 나쁘게 느껴지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경제 성장은 곧 부의 축적 기회를 의미하며, 이를 잘 활용하는 개인 투자자도 점점 늘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 GDP와 주식시장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더 넓은 시각에서 살펴보자.   미국이 독립한 지 249년이 지났다. 당시에는 국민 자산에 대한 통계조차 존재하지 않았을 만큼 자산 수준이 미미했다. 하지만 현재 미국 국민 전체의 순자산은 약 180조 달러($180 trillion)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순자산이란 주택, 주식, 채권, 자동차, 현금 등 모든 자산에서 부채(주택 담보 대출, 신용카드 부채, 학자금 대출, 자동차 할부 등)를 뺀 순수한 자산을 말한다.   1776년 독립 당시 국민의 약 90%가 농업에 종사했지만, 현재는 1%도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미국은 식량 자급은 물론 농산물 수출국으로 자리 잡았다. 어떻게 이런 변화가 가능했을까? 답은 분명하다. 바로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Innovation & Productivity) 덕분이다. 과거 농업에 종사하던 다수는 이제 기술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산업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 GDP는 1948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3.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업의 이익은 연평균 약 3%, 투자자에게 돌아가는 배당금은 평균 2.5%씩 증가했다. 기업들은 기술 혁신을 통해 더 낮은 비용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수익을 창출한다. 이익은 배당금, 자사주 매입, 그리고 재투자를 통해 투자자에게 돌아가며, 그 결과 기업 가치는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일각에서는 지난 15년간의 주식시장 상승을 근거로 조정장이 곧 올 것이라고 말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런 경고가 실제 투자 수익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2010년 초부터 2024년 말까지 미국 주식시장은 400% 이상 상승했다. 10만 달러를 투자한 사람은 50만 달러 이상을 손에 넣었다. 시장의 단기 흐름을 예측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투자한 이들은 상당한 수익을 얻은 반면, 투자를 망설인 사람들은 그 기회를 놓친 셈이다.   일반적으로 GDP가 성장하면 S&P 500에 속한 기업들의 매출과 이익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역사적으로 GDP가 1% 성장할 때 기업 이익은 약 2.5~3%씩 더 빠르게 증가해 왔다. 물론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항상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성장해 왔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수많은 기업 중 누군가는 항상 수익을 내며, 투자자들은 그 수익을 기대하며 시장에 계속 자금을 투입하기 때문이다.   모든 투자에는 ‘위험(Risk)’이 따르며, 피할 수 없는 하락도 존재한다. 따라서 하락장이 왔을 때에도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해 워런 버핏의 오랜 동업자 찰리 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한 세기에 두세 번 주가가 50% 하락하는 상황을 침착하게 견디지 못한다면, 당신은 기업의 수익 창출 결과를 누릴 자격이 없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Fidelity)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401(k) 백만장자 수는 약 53만7000 명으로, 2023년 말의 42만2000 명 대비 27% 증가했다. 기업에 투자하지 않고 월급이나 자영업 수입만으로는 자산 형성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워런 버핏은 이렇게 말했다.   “잠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죽을 때까지 일하게 될 것이다.”   내일, 다음달, 내년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팬데믹처럼 전혀 예상치 못 한 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투자해 온 사람만이 그 대가를 누릴 수 있다.  이명덕 / 경영공학 박사재정칼럼 총생산량 주식시장 주식시장 상승 국민 자산 투자 수익

2025.08.07. 18:31

썸네일

[재정칼럼] 최고점에 오른 주식시장

미국 투자자들은 2025년 상반기 동안 롤러코스터 같은 주식시장(S&P 500)의 급락과 급등을 경험했다. 특히 4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단 이틀 만에 시장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주식시장 역사상 다섯 번째로 큰 폭락이었으며, 약 6.6조 달러에 달하는 자금이 순식간에 사라졌다.   이렇게 암울하던 시장은 불과 두 달 만에 20% 이상 반등했다. 1950년 이후 두 달 사이에 주식시장이 20% 이상 상승한 경우는 다섯 번뿐이다. 그리고 올해만 해도 이미 여섯 번이나 최고점을 경신했다.   언론들은 연일 시장의 상승세를 보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투자자가 갈팡질팡하게 된다. 주식투자의 기본은 ‘쌀 때 사고, 비쌀 때 판다(Buy Low, Sell High)’는 것이지만, 최고점에서 투자하는 것이 오히려 비싸게 사는 것은 아닐까, 투자 직후 폭락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 때문이다.   과거 사례를 보자. 앞서 언급한 것처럼 1950년 이후 두 달 사이 20% 이상 상승한 시기는 다섯 번뿐이다. ▶1998년 12월 상승 후 6개월 뒤에는 11%, 1년 뒤에는 19% 상승 ▶2009년 4월 금융위기에는 6개월 후 20%, 1년 후 36% 상승 ▶2020년 5월 팬데믹에는 6개월 후 21%, 1년 후 40% 상승.   즉, 주식시장이 최고점에 도달한 뒤에도 계속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주식시장은 통계적으로 4년 중 3년은 상승했다는 사실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주식시장이 최고점을 경신하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다. 1990년 이후로 매년 평균 20번 이상 최고점을 갱신해왔다. 미국 주식시장은 언덕을 올라가는 아이의 요요와 같다. 당시에는 최고점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것이 오히려 저점이 되는 경우도 많다. 주식시장은 꾸준히 상승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수익을 얻었을 때보다 손실을 봤을 때 더 큰 심리적 고통을 느낀다. 그래서 투자를 주저하게 되고, 특히 최고점에서의 투자를 더 두려워한다. 많은 투자자가 “내가 투자하면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 같다”는 두려움을 갖는다. 실제로 단기적으로는 그런 일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주식시장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 전에 다음 세 가지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먼저 투자의 목적과 기간에 따라 위험성을 조절해야 한다. 예를 들어, 10년 이상 장기적인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한 투자라면 다소 높은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 반면, 이미 은퇴한 사람은 안정성을 더 중시해 위험을 줄여야 한다.     두 번째로 균형 잡힌 투자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 주식, 채권, 현금 등 자산을 분산해야 한다. 지난 90년간 주식은 연평균 약 10%, 채권은 약 5.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채권 수익률은 낮지만, 그만큼 위험도 낮다. 포트폴리오 구성 시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떤 종목이 오를지 알 수 없기에 분산 투자해야 한다. 미국 주식, 해외 주식, 대형주, 소형주,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나누어 투자해야 한다. 채권도 마찬가지로 여러 종류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다수의 금융기관들은 기업 실적 개선, 연준의 금리 인하, 무역 관세 완화, 법인세 인하 등의 요인으로 주식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워런 버핏은 “주식에 투자하면 50% 폭락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항상 고려하라고 조언한다.   노후 자금 마련은 몇 년이 아닌 몇십 년에 걸친 장기적인 과제이다. 주식시장 역사는 낙관적인 마음으로 장기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결국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주식시장 최고점 주식시장 역사상 이상 최고점 투자 포트폴리오

2025.07.24. 19:31

썸네일

[재정칼럼] 부자와 낙관적인 투자

미국에 백만장자는 2300만 명으로 전 세계 백만장자의 40%를 차지한다. 한국에서의 백만장자도 130만 명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여기저기에 백만장자가 많이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하루에 1000명씩 백만장자가 탄생하는데 나는 어디에 있는가.   부자가 되려는 방법은 다양하다. 미국에 이민 온 우리가 모두 부자가 될 방법이 무엇인지 함께 생각해 보자.   코로나가 시작한 2020년 3월 말 이후 미국 전 국민의 순자산이 110조(trillion) 달러에서 180조 달러로 불어났다. (참고로 1 trillion이란 1000 billion을 말하고 1 billion은 1000 million을 말한다). 순자산이란 집, 주식, 채권, 자동차, 현금 모두에서 주택 융자금, 신용카드, 학자금, 자동차 융자, 등 모든 빚을 제하고 남은 자산을 말한다.   미국 전 국민 전체 자산 180 조 달러에서 탑 10%가 차지하는 비율은 62.6%이며 빚은 24.5%이다. 그 다음 국민 40%는 자산이 33%이며 빚은 45%가 된다. 나머지 50%의 국민은 자산이 5.6%에 빚은 무려 30.9%가 된다. 요약하면 부자는 빚보다 자산이 훨씬 많고 가난할수록 자산보다 빚이 훨씬 많아지는 것이다.   미국 부자 대부분의 자산은 주식에 투자되어 있다. 부자 탑 1%가 주식시장 50% 이상을 차지하지만, 인구의 절반인 바닥(Bottom)에서 50%는 단 1%만이 주식시장에 투자되어 있다. 참고로 탑 10%가 주식시장의 거의 90%를 차지한다. 이것이 부자가 계속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이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경제가 어렵다, 물가 상승으로 생활하기 어렵다 등은 부자에게 해당하는 말이 아니다. 미국의 탑 부자 10%가 미국 경제 소비의 50%를 차지한다. 미국 부자 소수가 경제 활동 소비에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뜻이다. 지난 5년 주식시장 연평균 무려 15% 이상이다. 지난 10년도 연평균 수익률은 13%이다. 나의 투자 돈이 3배로 증가한 놀라운 수익률이다. 부자가 부지런히 소비해도 자산은 그 이상 더 불어난다.   부자는 경제 침체기, 주식시장 폭락, 등 그때 그 시점에 염려(It’s always something)해야 하는 일에 개의치 않고 낙관적인 마음으로 주식시장에 꾸준히 투자하여 높은 수익금을 받는다. 그러나 가난한 사람은 투자할 자금도 많지 않지만, 투자해도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비관적인 마음 때문에 투자하지 못한다. 또한 수시로 변화하는 주식시장에 민감하게 대응하기에 대부분 실패하는 투자로 이어진다.     미국은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나라이며 주식시장이 금융 경제의 중심이다. 주식시장에 투자하지 않고 개인 재정을 튼튼히 하며 부를 쌓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주식시장이란 한 아이가 요요를 하며 언덕을 올라가는 것과 비슷하다. 여러 가지 이유로 주가는 오르고 내림을 반복한다. 그러나 언덕을 올라가고 있기에 한 지점에서 요요의 최저점이 지나온 최고점보다도 높은 지점에 도달해 있는 것이다. 이것이 장기 투자해야 하는 이유이다.     기억하고 싶지 않은 투자 경험과 주식시장 폭락 등으로 다시는 투자하지 않으리라 결심하기도 한다. 이러한 잘못된 판단은 은행 저축이나 현금 보유 등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눈에 보이지 않는 물가는 끊임없이 올라가고 돈의 가치는 계속 떨어진다. 특히 요즘 은퇴 기간이 30년 이상이라는 장기간을 고려하면 백만장자가 되기는커녕 오히려 빈곤한 삶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분명한 투자의 목적과 장기적인 안목으로 꾸준히 투자하면 성공적인 투자로 여유로운 은퇴를 기대할 수 있다. 성실과 끈기로 뭉쳐있는 우리가 모두 백만장자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부자 낙관 주식시장 연평균 투자 경험 주식시장 폭락

2025.07.10. 18:47

썸네일

[재정칼럼] 뜨거운 투자 종목은

주식 투자하면 투자 종목이 화젯거리가 된다. 이중 빠지지 않는 종목은 ‘놀라운 7개 기업’ 즉 애플, 아마존, 구글, 메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테슬라이다. 한 마디로 주식 가격이 많이 상승했고 본인이 이런 기업에 투자했다면 그 결과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2021년 새해에 게임스톱 주식이 1600% 급등하며 순식간에 백만장자가 되었다는 소식이 여러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에 연일 쏟아져 나왔다.   자고 일어나면 불어나는 투자 돈의 달콤한 유혹을 견디기 어렵다. 대출까지 받아서 투자하는 소위 ‘영끌’ 투자도 감행했다. 한마디로 투자 대박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묻지마 투자(FOMO, Fear Of Missing Out)’를 감행했던 것이다.   주식시장은 항상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한 해가 지나서 2022년은 주식시장이 하락했다. 이런저런 이유로 ‘놀라운 7개 기업’에 투자했다고 가정해 보자. 이 당시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폭락한 폭이 애플은 31%, 아마존은 52%, 구글은 44%, 메타는 무려 74%, 엔비디아도 63%, 마이크로소프트는 36% 그리고 테슬라도 73%이다. 일반 투자자 누구에게나 화젯거리인, 이런 기업에 투자했어도 70% 이상 폭락하는 경험을 해야만 한다. 나의 소중한 돈이 70% 손실이라면 당연히 마음고생이 매우 심할 것이다.   잘못된 주식 투자로 힘들게 번 돈을 날리는 것도 문제이지만, 투자로 우연히 큰 수익을 받았다면 이것 역시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우연히 대박 난 결과를 가지고 본인이 투자하는데 재주(Skill)나 감(?)이 있다고 생각하고 본격적으로 투자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처음보다 더 많은 소중한 돈을 투자한다. 이것은 도박장에서 한순간 많은 돈을 딸 수는 있지만, 결국에는 전부 잃는 것과 비슷하다.     상승하는 주식시장에서는 어느 특정한 회사 주식 투자로 돈 많이 벌었다는 소식이 주위에서 들려온다. 그래서 본인도 대박 나는 투자를 찾지만, 미래에 유망한 회사를 선택에서 투자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몇십 년 후의 회사 운명은 물론 단 일 년 후의 회사 전망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제프리 웨스트(Geoffrey West)의 책(Scale: The universal laws of growth, innovation, sustainability, and the pace of life in organisms, cities, economies, and companies)에서 언급한 내용을 인용한다.   1950~2009년 동안 주식시장에 상장되었던 기업은 2만8853개였다. 이중 2009년 연말 현재 2만2469개의 기업 즉 약 80%가 사라졌다. 창업한 기업중 30년 후 생존률은 5% 정도에 불과하다. 또 1955년 포천 500대 기업에 등록되었던 기업이 생존한 확률은 단 12%에 그치고 있다.   새로운 정부의 관세 정책 등으로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오르고 내림을 반복하고 있다. 올해도 ‘놀라운 7개 기업’의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폭락한 폭이 애플은 31%, 아마존은 31%, 구글은 29%, 메타는 34%, 엔비디아도 27%, 마이크로소프트는 21% 그리고 테슬라도 48%이다. 투자한 종목이 폭락하면 마음이 불안하고 두려워 잠도 편히 자지 못한다. 이것은 바람직한 투자 방법이 아니다.   미국 주식시장(S&P 500)은 지난30년은 10.98% 평균 수익률을 기록했다. 어떤 특정한 기업을 선정해서 투자할 이유가 없음을 말해준다. 자그마한 돈을 정기적으로 꾸준히 장기투자 하면 연평균 10% 이상의 수익률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는 길은 하룻밤 사이에 일어나지 않는다.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주식 투자하면 누구나 재정적인 성공을 이룰 수 있다. 투자의 현인 워런 버핏은 ‘빨리 부자가 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천천히 부유해지기는 매우 쉽다’라고 했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투자 종목 투자 종목 주식 투자 일반 투자자

2025.06.26. 20:50

썸네일

[재정칼럼] 백만장자에 대한 오해

지난해 미국에서 무려 56만2000명의 새로운 백만장자(Millionaire)가 탄생했다. 미국의 백만장자는 790만 명이나 된다. 우리는 아메리칸 드림을 이루기 위해 정든 조국 땅과 형제 부모를 뒤로하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열심히 일한다. 백만장자는 우리와 거리가 먼 딴 세상의 일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은근과 끈기를 가지고 열심히 땀을 흘리며 생활하는 한인들은 모두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   우리가 백만장자가 되기 위해서는 백만장자들이 어떠한 사람들인지를 알고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백만장자에 대해서 잘못 생각하고 있는 몇 가지를 함께 알아본다.   ▶백만장자들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는다? = 수입이 가장 많은 부자의 1%가 미국 전체 세금의 45%를 부담하고 있다. 부자 탑 10%는 미국 전체 세금의 75%를 차지한다. 부자들이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백만장자들은 단지 부모로부터 상속을 받아 부자가 되었다? = 많은 사람들이 막연히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가 부자들은 부모를 잘 만나 상속으로 부자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사실과 다르다. 상속으로 부자가 된 경우는 단지 20%에 불과하며, 80%의 백만장자들은 자수성가한 부자들이다.     ▶백만장자들은 자신들이 부자라고 생각할 것이다?=많은 사람들은 백만장자라면 그 사람들은 재정적으로 매우 안정이 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근심과 걱정이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백만장자들 자신도 우리가 염려하는 여러 가지 재정적인 문제들을 함께 고민한다. 아이들의 학자금, 주택 융자, 의료비, 그리고 노후대책 등 우리가 염려하는 것 그대로 걱정한다. 특히 새롭게 된 백만장자들은 더욱더 여러 가지 재정적인 문제에 대해서 많은 생각과 고민하고 있다.   ▶백만장자들은 많은 봉급을 받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 많은 봉급을 받음으로 백만장자가 된 사람들은 전체에서 겨우 절반을 차지한다. 나머지 반은 자영업(Business)이나 적은 봉급을 재정 목적을 가지고 꾸준히 투자하여 백만장자로 이어진다.     미국에서 태어나 사업을 시작한 사람이나 한국에서 이민 와서 사업을 하는 사람이나 기회는 똑같이 주어진다. 언어소통에 조금 부족함이 있을 수 있으나 우리에게는 열심히 일하는 근면 정신이 있다.   ▶백만장자들은 좋은 자동차를 타고 다닌다? = 일반적인 생각으론 부자들은 좋은 자동차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 역시 맞는 말이 아니다. 통계의 결과는 대부분의 부자가 국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타는 자동차는 포드(Ford) 자동차이다.   ▶백만장자들은 항상 골프 등을 즐기며 여유있는 생활을 즐긴다? = 백만장자 중에서 은퇴한 부자들의 비율은 단지 20%에 불과하다. 나머지 대부분의 백만장자는 지금 여러분들과 똑같이 땀 흘리며 열심히 일하고 있다.   ▶백만장자들은 특별한 계층의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 위에서 언급한 대로 대부분의 백만장자는 지극히 평범한 계층의 사람들이다. 상속도 받지 않았고, 포드 자동차를 운전하며 그저 열심히 일하며 부지런히 저축하며 투자한다. 그리고 여러분들과 똑같이 아이들 학자금을 염려하며 노후를 걱정한다. 일반적인 사람들과 특별히 다른 점이 거의 없다.   오늘날의 백만장자들은 재정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많은 돈을 소비하지 않으면서 재정적으로 독립하려고 노력한다. 은근과 끈기로 살아가는 우리 역시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백만장자 오해 백만장자들 자신 모두 백만장자 포드 자동차

2025.06.19. 19:00

썸네일

[재정칼럼] 인덱스 펀드 50년

뱅가드(Vanguard) 금융회사가 올해 50주년을 기념한다. 미국에서 최초로 인덱스 펀드를 출시한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그 배경에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주식시장(Random Walk Down Wall Street)’이란 책이며 저자는 프린스턴 대학의 버튼 멕키엘 교수이다. 책의 요점은 “주식전문가가 주식을 선별하는 것이나 원숭이가 주식 선별하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는 문장으로 요약된다. 미래의 유망한 회사를 선택해서 투자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뜻이다. 이 책은 150만 권 이상이 팔렸다.   뮤추얼 펀드 투자종목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투자하는 방법에 따라서 ‘액티브 투자(Active Investment)’와 ‘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ment)’로 구분된다.     뮤추얼 펀드는 펀드 매니저가 주식을 선별하여 투자하므로 액티브 투자라고 말하며 펀드 매니저 없이 미리 선정된 회사에 투자하는 것을 패시브 투자라고 말한다. 일반 투자자는 물론 주식 전문가라는 사람도 미래에 유망한 기업을 선택할 수 없다는 개념에 인덱스 펀드를 처음 시작한 것이다.   투자자의 최대 관심사는 투자한 후 발생하는 수익률이다. 뮤추얼 펀드는 펀드 매니저가 투자자의 돈을 모아서 유망하다고 예상하는 회사 주식에 투자한다. 일반적으로 매니저 혼자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투자 선별가(Stock Analyst)’의 의견을 종합하여 투자 결정한다. 이와 반면 인덱스 펀드는 회사 규모에 따라서 이미 선정되어 있기에 펀드 매니저가 필요하지 않다. 한 예로 S&P 500은 미국 500대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력도 좋고 투자 돈도 풍부한 뮤추얼 펀드가 기업을 잘 선정해서 투자하기에 수익률이 인덱스 펀드보다 분명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전혀 다르다. 지난 10년 뮤추얼 펀드와 인덱스 펀드의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모든 뮤추얼 펀드 중에서 인덱스 펀드 수익률보다 높은 뮤추얼 펀드는 약 10%에 불과하다. 뮤추얼 펀드 대부분이 인덱스 펀드 수익률보다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일반 투자자나 투자를 도와주는 재정설계사가 어떤 한 해에 수익률이 탑 25%(Top Quartile)에 속한 뮤추얼 펀드에 투자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1년 후 같은 뮤추얼 펀드가 탑 25%에 속할 확률은 7.33% (S&P Dow Jones Indices)에 불과하다. 다시 설명하면 1년 전에 100개의 뮤추얼 펀드 중에서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펀드 25개 중에서 2년 후에도 같은 자리에 남아있을 뮤추얼 펀드는 단 1.4개라는 뜻이다. 좋은 기업을 선택해서 투자한다는 것이 누구에게나 어렵다는 뜻이다.   뮤추얼 펀드의 평균 비용은 0.9% 정도이지만 인덱스 펀드(Vanguard S&P 500 Index) 투자 비용은 0.03%이다. 1만 달러 투자에 비용은 단 3달러다. 우리가 미래의 수익률을 알 수는 없지만, 투자 비용을 절약하면 그만큼 수익으로 바로 이어진다.   투자로 이익이 발생하거나 손실이 나와도 투자 경비는 꾸준히 부과된다. 한 푼이라도 경비가 적으면 그만큼 나의 호주머니로 들어오는 것이다. 금융산업 투자에선 “싼 것이 비지떡”이라는 말이 성립하지 않는다. 오히려 투자 상품이 비싸면 제대로 된 상품이 아닐 확률이 높다. 제대로 된 상품이 아니라는 말은 수익률이 높지 않다는 뜻이다.   뮤추얼 펀드를 운용하는 매니저는 인덱스 펀드의 평균 수익률보다 높게 하기 위해서는 500대 기업에서 유망한 회사만 선정하여 투자해야 한다. 이 뜻은 투자한 회사 수가 500개보다는 적은 숫자가 될 것이다. 특정한 몇 개 회사에 투자하는 것은 투자 위험성이 그만큼 높아질 것이다.     월스트리트에서 지난 5월1일 ‘투자자들이 축하하는 날(A day for investors to celebrate, Spencer Jakab, WSJ)’이란 기사를 보도했다. 일반 투자자는 투자 경비, 수익률, 위험성, 등을 고려할 때 인덱스 펀드의 유리한 점을 언급한 것이다. 우리 한인 모두 제대로 하는 투자로 성공하는 노후대책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인덱스 펀드 인덱스 펀드 뮤추얼 펀드 펀드 매니저

2025.06.12. 18:36

썸네일

[재정칼럼] 재정설계사가 감추는 비밀

정든 친지와 고국을 떠나 미국에 이민 와서 온갖 고생 하며 아이들 키우며 바쁘게 살아간다. 세월이 흘러서 머리는 희끗희끗해지고 건강은 예전만 못하다. 불현듯 은퇴라는 단어와 함께 마음이 조급해진다. 생활비 마련이 걱정이다.   은행 저축은 물가 상승으로 돈의 가치는 오히려 적어지고 있다. 투자하는 것을 도와줄 사람을 구하는데 이것 역시 쉬운 일은 아니다. 너도나도 재정설계사라고 말하며 투자하는 것을 도와준다고 말하지만 정말로 믿을 수 있는지 불안하기 때문이다.   개인 투자 정보를 전달하는 유명 미디어에서 지난 2021년 ‘재정설계사가 감추는 비밀’이 무엇인지를 발표했다. 재정설계사가 고객에게 비밀로 하기를 원하지만,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미국의 재정설계사에겐 고객의 자산을 투자하거나 운용할 때 두 종류의 의무가 있다. 어떤 재정설계사는 ‘적당한 의무(Suitability)’만을 준수하면 되고 어떤 재정설계사는 고객에게 ‘신용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신용 의무란 투자자 고객의 이익을 우선해서 일해야 한다는 법적인 요구이다. 이러한 법을 ‘Fiduciary’ 의무라고 말한다. 영어로는 ‘Investment advisers must put their clients’ interest ahead of their own financial gain‘이다. 간단히 말해서 재정설계사는 본인의 이익보다 고객의 이익을 먼저 고려해서 고객의 자산을 운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적당한 의무만을 준수하는 재정설계사는 고객의 이익을 위해서 일해야 한다는 법률상 의무가 없다. 이 사람들에게 주어진 의무는 단어 뜻 그대로 투자가 적당하기만 하면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가지 예를 들어본다. 재정설계사가 어떤 금융상품을 추천한다. 투자자가 금융상품에 투자하면 재정설계사는 높은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금융상품을 파는 이유가 투자자의 이익을 위해서 투자한 것인지, 아니면 재정설계사의 이익을 위해서 투자한 것인지 투명하지 않다. 적당한 의무만을 가진 재정설계사는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 이런 상품을 투자자에게 팔아도 법적으로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지만, 신용 의무가 있는 재정설계사는 법적으로 책임이 있다.     신용 의무가 있다고 해도 재정설계사가 얼마나 성의껏 신용 의무를 준수하느냐는 재정설계사 각자에게 달려있다. 하물며 처음부터 신용 의무가 없는 재정설계사가 여러분의 이익을 먼저 고려해서 투자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기에 이 점을 투자자는 기억하고 확인해야 한다는 뜻이다.   금융상품을 취급하는 재정설계사는 제외하고 재정설계사 대부분은 고객의 자산을 운용하며 고객의 투자하는 목적, 투자의 위험성, 투자하는 기간, 등을 확인하고 포트폴리오를 형성해서 운영한다고 말한다.   특정한 회사를 선정해서 즉 개별적인 회사를 선택해서 투자할 수 있고 뮤추얼 펀드에 투자할 수도 있고 혹은 어떤 특정한 금융상품 등에 투자할 수 있다. 투자자는 재정설계사가 어떤 종목에 왜 그렇게 투자하는지를 이해하고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투자하며 발생하는 모든(Total) 투자 경비도 투자자에게 미리 발표해야 한다.   한인들은 소중한 자산을 남에게 맡기면서 신용 의무나 투자 방향 등에 관해서 질문하는 것을 매우 부담스럽게 생각한다. 인정에 약한 우리의 따뜻한 마음 때문이다. 그러나 평생 힘들게 일해서 얻은 소중한 자산임을 기억하고 조금도 주저함이 없이 재정설계사에게 질문하고 확인해야 한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재정설계사 비밀 투자자 고객 재정설계사 각자 재정설계사 대부분

2025.05.29. 18:23

썸네일

[재정칼럼] ‘주식 고수가 꼽은 투자’의 위험성

한국 한 경제 신문사에서 재테크 고수가 출동하는 투자 박람회를 5월에 연다. ‘눈치 빠른 큰손들 이미 미국에서 유턴… 주식고수 5인’은 ‘지금 한국 주식 사라’고 추천한다. 미국의 무역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가득한 세계 금융 투자 환경에서 재테크 비법도 알려준다고 한다.   신문에서 언급하는 주식 고수가 꼽은 ‘올해 뜰 종목은?’ 같은 조언 대부분은 현시점에 의한 투자 포트폴리오이다. 그러나 제대로 하는 투자는 현시점이나 단기간을 대비한 투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본인과 가족의 재정 상태를 고려해서 투자 포트폴리오를 형성해야 한다. 투자가 아이들 학자금을 위한 투자인지, 몇십 년 후 은퇴자금인지, 은퇴 후 생활비 마련인지, 등에 따라서 포트폴리오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국 주식에 투자하라는 조언에서도 기억해야 하는 점이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세계 주식시장에서 한국의 주식시장은 단 1.3%에 불과하다. 미국 주식시장은 58.4% 규모이다. 규모가 2%도 되지 않는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것은 그야말로 ‘몰빵’하는 것과 비슷하며 그만큼 투자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투자의 기본인 분산투자에 크게 벗어나는 것이다.   한국에 강의 초청으로 최근 방문했을 때 길거리에 ‘국민연금의 새로운 기록, 2년 연속 최고 수익률 달성, 적립금 1200조 원 돌파’라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보았다. 호기심에 국민연금의 과거 수익률을 찾아보니 2024년은 15.00% 그리고 2023년은 13.59%였다. 은행 이자와는 비교할 수 없는 높은 수익률임이 틀림없다. 그러나 같은 기간 미국 S&P 500 수익률은 2024년 24.9%, 그리고 2023년은 26.51%이었다. 국민연금 수익률이 무려 10% 그리고 12.92% 차이가 난다. 우리가 생각하는 투자 전문가(?)들이 모여서 운영한 자금이 아닌가.   국민연금은 미국의 소셜 연금과 같은 은퇴한 후 수입이 없는 국민에게 절대 필요한 돈이다. 그런데 적립금 1200조 원의 수익률 10% 차이란 무려 120조 원이라는 엄청난 액수이다. (참고로 1조 원이란 1,000,000,000,000원이다.)   미국 S&P 500 인덱스란 500대 기업으로 구성된 종목이다. 지난 10년(12월 2024)간의 연평균이 13.3%이다. 이것은 투자한 자금이 3배 이상 불어나는 놀라운 수익률이다. 이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낸 투자 전문가는 한국이나 미국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노후 준비로 주식 투자는 필요하지만. 투자자는 매우 조심해야 한다. 특히 주식 종목이나 언제 사고, 파는지를 말하는 조언 등은 더욱더 조심해야 한다. 한국에서도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할 수 있지만, 과정이 조금 복잡하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누구나 손쉽게 ‘제대로 하는 투자’를 할 수 있다.   주식 비법이나 투자 전략을 알려주겠다는 사람도 많고. 주식 대박 종목을 꼽아주는 유튜브와 같은 소셜미디어도 많이 있다. 금융업계도 누구나 투자할 수 있다고 열심히 부추긴다. 주식 정보도 넘쳐난다. 그러나 주위에 떠도는 주식 정보와 군중 심리에 의한 투자는 실패할 가능성 매우 높다는 사실을 투자자는 잊어서는 안 된다.   미국에 사는 한인 동포는 투자하기 더욱더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제대로 하는 투자로 편안한 은퇴 생활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위험성 주식 주식 투자 투자 위험성 세계 주식시장

2025.05.08. 20:35

썸네일

[재정칼럼] 주의해야 할 투자 사기

판사: 당신을 믿는 사람들을 상대로 어떻게 사기를 칠 수가 있단 말이요?   피고: 저를 믿지 않는 사람들은 사기를 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판사: ???   메이도프 투자사기(Madoff-style schemes)는 월가(Wall Street)에서 일어난 사건 규모 중 최대의 사기였다. 투자자들의 피해가 무려 500억달러였다. 얼마나 큰 금액인지 감조차 오지 않는다.   우리가 하루에 1000달러를 소비한다고 가정하자. 10억달러를 전부 소비하려면 걸리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무려 3000년이 걸리는 어마어마한 금액이다. 여기에 곱하기 50을 또 해야 한다. 그래야 500억 달러를 전부 소비할 수 있다. 만일 여기에 쥐꼬리만 한 이자라도 붙는다고 가정하면 영원히 소비할 수가 없다. 이러한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자들이 사기를 당한 것이다. 여기에는 평생 모은 은퇴자금도 물론 포함한다.   떠나온 고국에서도 투자 사기로 전 재산을 잃었다는 소식을 자주 접한다. 투자 사기에 투자자가 속았던 이유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가장 커다란 이유는 높은 수익률 때문이다. 투자 폰지(Ponzi)사기가 다 그러하듯 처음에는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서 일부 다른 투자자에게 높은 이자를 준다. 그리고 투자자들을 더 끌어 모은다.     사기를 당한 사람 중 소위 ‘똑 부러지게 똑똑한 사람’들도 많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가며 노년을 위해서 한 푼 두 푼 투자한 일반인들은 무엇을 믿고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지 망설이게 된다. 투자사기를 피할 방법이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자.   모든 투자자에게 가장 유혹적인 단어는 ‘보장(Guarantee)’이다. 투자가 무엇인가를 보장한다고 말하면 일단 조심해야 한다. 숨어있는 내용을 모르기 때문이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죽음과 세금을 제외하고 보장되는 것은 없다’라고 언급했다. 200년이 넘도록 변하지 않는 진실이다.     소중한 자금을 투자한 재정 문서가 어디에서 발행되는가도 확인해야 한다. 메이도프 회사는 투자자들의 투자 재정 문서를 메이도프 회사에서 직접 발행했다. 투자자들의 돈을 어디 어디에 투자했다고 거짓으로 재정 문서를 만들었다. 투자가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모든 재정 문서가 제삼자인 다른 곳에서 발행되어야 한다.   또 투자자가 확인해야 하는 것은 투자한 돈이 예를 들어 뱅가드(Vanguard)나 피델리티(Fidelity)에 직접 투자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모든 재정 문서가 금융회사에서 투자자 앞으로 직접 발행된다. 그리고 투자한 돈의 움직임을 웹사이트에서는 물론이고 신문이나 다른 매체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항상 알아볼 수 있다.   이해를 못 하는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 최소한 왜 여기에 투자하는지, 모든 투자 경비가 얼마인지 등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투자가 제대로 될 것이라는 막연한 희망을 품어서는 안 된다. 우연히 한, 두 번은 가능할 수는 있지만, 장기간 투자에서는 ‘우연’이 반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메이도프 투자회사도 어디에 어떠한 식의 투자로 수익률을 내는지 투자자들한테 자세한 설명을 한 적이 없다. 그래서 메이도프 투자자들도 그냥 “검은 상자(Black Box)”에 투자했다고 농담하며 웃었지만, 은퇴자금이 전부 날아간 상황에서는 웃고 싶어도 웃을 수가 없을 것이다.   미국 주식시장은 오랜 기간 연평균 약 10%이다. 욕심내지 않고 꾸준히 장기투자 하면 누구나 만족스러운 투자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투자 사기 투자 사기 투자 재정 장기간 투자

2025.04.30. 19:48

썸네일

[재정칼럼] 사업체 운영과 주식 투자

낯선 땅 미국에 건너와 온갖 어려움을 이겨내고 사업체를 일궈온 이민 1세대들의 삶은 그 자체로 한 편의 드라마다. 언어 장벽과 문화 차이를 극복하며, 자녀를 키우고 푼돈을 모으는 고된 여정 속에서 많은 분들이 밤낮없이 사업에 매달려왔다. 심지어 생계를 넘어 목숨을 걸고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노동만으로는 부를 축적하는 데 한계가 있다. 자영업으로 성공을 거둔 이들도 많지만, 부부가 함께 원하는 곳을 여행하며 여유로운 노후를 보내기 위한 충분한 자금을 마련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은퇴 후에도 일하지 않고 꾸준히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과제다. 사업 확장을 꿈꾸며 재투자를 이어가는 것은 당연하지만, 우리가 잠든 시간에도 우리의 자금이 여러 기업에 투자되어 꾸준히 수익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현명한 노후 대비책이 될 수 있다.   최근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크지만, 작년 미국 주식 시장은 57번이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23% 상승하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했다. 이러한 상승세 덕분에 수많은 백만장자가 탄생했지만, 안타깝게도 여러 이유로 주식 시장에 투자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혜택을 누릴 수 없었다.   주식 투자에 대한 한인들의 생각은 극명하게 나뉜다. 일부는 주식 투자를 도박으로 여기며, 실패 경험이 있는 이들은 아예 투자를 금기시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만류한다. 반면, 다른 이들은 신문, 잡지, 지인, 인터넷 주식 정보 등에 의존하여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인다. 잦은 매매를 통해 투자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투기가 도박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업 운영과 자녀 양육에 쉴 틈 없이 바쁜 이민 생활 속에서 제대로 된 주식 투자를 이해하고 실천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자영업에 종사하는 한인 동포들을 위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노후 대비 투자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필자는 사업을 운영하는 분들에게 기회가 될 때마다 매달 500달러씩 꾸준히 주식 시장에 투자할 것을 권유해왔다. 사업 규모에 따라 월 500달러가 큰 부담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지난 30년(1994~2024년) 동안 꾸준히 S&P 500에 투자했다면, 사업과는 별개로 현재 11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형성했을 것이다. 부부가 함께 투자했다면 220만 달러라는 상당한 금액으로 백만장자가 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언급하는 S&P 500은 아마존, 애플, 구글,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등 우리에게 친숙한 미국 500대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대표적인 투자 상품이다.   주식 투자를 통해 부를 쌓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바로 분산 투자라는 투자의 기본 원칙을 실천하는 것이다. 자영업자가 하나의 사업에만 모든 자금을 투자하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크다. 하지만 주식 시장에 투자하면 500여 개의 우량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어 투자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설령 본인의 사업이 어려움에 처하더라도, 꾸준한 주식 투자를 통해 마련된 노후 자금은 든든한 안전망 역할을 해줄 것이다.   일부 투자자들은 주식 투자로 얻는 수익을 불로소득으로 치부하며, 땀 흘려 번 돈만이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노후 자금, 자녀 학자금 등 미래를 위해 필요한 목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회를 놓치게 만든다. 주식 투자 수익은 우리가 투자한 기업의 직원들이 열심히 일해서 창출한 이익의 일부이다. 비록 개인의 투자 금액은 작을지라도, 이러한 자금이 모여 기업은 연구 개발에 투자하고, 공장을 설립하며,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낸다. 이것이 바로 자본주의의 핵심 원리이며, 주식 시장이 성장하는 근본적인 이유이다.   우리 모두는 언젠가 은퇴를 맞이하게 된다. 사업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노후 생활을 위해 사업체를 매각하여 목돈을 마련한다. 이 돈은 부부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생활비를 충당해야 하는 매우 소중한 자금이다. 하지만 주식 투자를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은 이 큰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투자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다. 반면, 사업을 운영하며 꾸준히 주식 투자를 해온 사람은 은퇴 시점에 불어난 투자금을 통해 자연스럽게 큰 목돈을 관리하는 노하우를 터득하게 된다.   오늘도 묵묵히 땀 흘리며 사업을 운영하는 모든 한인 동포들에게 이 글을 바친다. 현명한 주식 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편안하고 안락한 은퇴 생활을 맞이하시기를 진심으로 응원한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사업체 주식 주식 투자 투자 위험 주식 시장

2025.04.23. 19:36

썸네일

[재정칼럼] 예측 불허 시대의 투자 전략

지난해 미국 주식시장은 23%, 2023년에는 24%라는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했지만, 최근 하락세를 보이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주식 시장 폭락과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투자 결정에 앞서 주식 시장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이러한 투자 심리를 반영하듯, 금융 기관들은 끊임없이 주식 시장 예측을 쏟아낸다.   돌이켜보면, ‘이코노미스트’지는 2022년 또는 2023년에 경기 침체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고,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2022년에 미국 경제를 덮칠 ‘허리케인’을 언급했다. 브리지워터의 레이 달리오 대표 역시 2023년에 경제적 고통의 ‘퍼펙트 스톰’을 예상했다.   더블라인캐피털의 제프리 군드라흐 대표는 2024년 주식 시장이 3200까지 폭락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실제 시장은 5881로 마감되며 예측과 큰 차이를 보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으나 아직 답변은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저명한 전문가들의 잇따른 예측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은 지난 2년간 오히려 상승세를 이어갔다.   1950년부터 미국은 11번의 경기 침체를 겪었다. 투자자들이 끊임없이 시장 예측에 귀 기울이는 이유는 바로 투자 손실을 피하고 싶은 간절한 마음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심정은 충분히 이해되지만, 인생과 마찬가지로 투자는 끊임없는 선택의 연속이다. 항구에 머무는 배는 안전하지만, 결코 물고기를 잡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20% 이상 하락하는 약세장(Bear Market)은 투자자에게 고통스러운 경험이다. 폭락의 원인은 매번 다르지만, 투자자들의 불안과 두려움은 변함없다. 폭락 기간을 예측하는 것 또한 어렵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주식 시장은 끊임없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 왔으며, 결국 모든 폭락을 이겨내고 다시 상승했다는 점이다.   주식 시장이 폭락하면 자산 가치는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건전한 투자는 시장 하락 시에도 꾸준한 배당금을 지급하여 투자자들이 저렴한 가격에 주식을 추가 매수할 기회를 제공한다. 시간이 흘러 시장이 회복되면, 늘어난 주식 수는 더 큰 자산 증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 주식 시장은 1950년부터 2023년까지 1200번이나 최고점을 경신했다. 이는 연평균 17번, 즉 평균 20일마다 새로운 최고점을 기록한 셈이다. 특히 작년에는 57번의 최고점 기록을 갈아치웠다.   주식 시장의 수익률 또한 지난 5년간 연평균 15.38%, 10년간 13.32%, 20년간 10.47%, 그리고 30년간 10.98%라는 높은 평균 수익률을 보여준다. 이처럼 전문가조차 예측하기 어려운 주식 시장에서 단기적인 예측에 의존하기보다는 꾸준한 장기 투자를 유지한다면 연평균 10%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복리 효과를 고려할 때, 연평균 10% 수익률은 10만 달러 투자금을 약 7.2년마다 두 배로 불려나가는 놀라운 결과로 이어진다.   노후 대비와 은퇴 후 생활 자금 마련은 단기간이 아닌 수십 년에 걸친 장기적인 계획이다. 투자자들은 낙관적인 마음으로 꾸준히 장기 투자한다면 자산을 성공적으로 증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예측 불허 시장 예측 지난해 주식시장 예측 불허

2025.04.10. 18:45

썸네일

[재정칼럼] 주식 투자 실패 원인

주식시장이 최근 고공행진하고 있다. 2년 연속 20%대 상승이다. 본인만 뒤처지는 것 같아 주식시장에 열심히 귀를 기울인다. 그러나 어느 종목에 어느 시점에 투자하는가 결정하기 어렵다.  현시점에 의한 투자 결정은 실패하는 투자로 이어지기 쉽다.   투자의 기본 원칙은 본인의 재정 상황에 의해서 투자해야 한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주식시장 오르고 내림에 상관없이 과거나 현재나 미래에도 변함이 없다. 주식을 사고판다고 해서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투자가 아니라 도박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대로 하는 투자의 기본이 무엇인지 함께 알아본다.   투자하는 목적 진술서 작성이 필요하다. 투자 목적에 따라서 포트폴리오(Portfolio) 구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학자금 마련, 집을 마련하기 위한 다운 페이(Down Payment), 노후대책 등 얼마나 시간이 필요한지에 따라서 투자 위험성을 조절할 수 있다. 단기간에 필요한 자금은 방어적으로 투자해야 하지만, 몇십 년 후의 은퇴 자금은 투자 위험을 더 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별적인 기업 종목을 선택하거나 펀드 매니저가 운용되는 뮤추얼 펀드를 선택하면 주식 시장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투자자에겐 겸손이 필수이다. 유망한 기업을 선택해서 투자한다는 것은 전문가에게도 어려운 일이다. 투자 비용이 매우 저렴한 인덱스 펀드나 ETF를 통해서 ‘평균’ 수익률을 기대하면 투자한 자금이 불어날 확률이 매우 높다.   금융 방송 등이 24시간 끊임없다. 그러나 CNBC와 폭스비즈니스의 투자에 관한 소식은 재미있을 수는 있지만 지속적인 가치는 없다. 단기 투자를 조장하여 투자 실패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 미디어를 끄고 스마트폰에서 금융 앱을 삭제하는 것도 투자하는 데 유익하다.   투자하는데 은근과 끈기가 부족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금융 시장에서의 인내는 몇 년, 때로는 수십 년이다. 21세기의 첫 10년은 누적 1%의 손실로 미국 주식 투자자들에게 친절하지 않았다. 그러나 2010년대 10년은 연간 수익률이 13.4%, 그리고 지난 5년 연간 수익률이 무려 12.54%이다. 이처럼 주식시장이 하락하기도 하지만, 그 다음 10년 후는 놀라운 수익을 창출하기도 한다. 주식시장 역사가 똑같이 반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에게 큰 이정표를 제시해 준다.   옆집에서 어떤 투자로 큰돈을 벌었다면서 고급 자동차를 사고 해외여행을 간다는 소식을 접하면 마음이 심란하고 조급해진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의 투자 성과와 본인의 투자 성과를 비교하는 것을 멈추어야 한다. 투자 성공은 상대적인 성과가 아니라 본인이나 가족의 재정적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에 의해 측정되어야 한다. 친지들의 투자 성공 무용담(?)에 숨어있는 진실은 아무도 모른다.   주식시장이 두려워서 너무 소극적으로 투자하기도 한다. 이런 방법은 물가 상승만큼 수익을 받지도 못한다. 물가는 구매력을 연간 약 2~3% 감소시킨다. 현금 투자는 물가 때문에 매년 손실이 보장되는 것이다. 주식의 역사적 수익률을 이해하고 주식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주식 통계에 따르면 S&P 500은 어느 날 하루 하락할 확률은 46%이고 어느 한 해에는 손실을 볼 확률은 27%이지만, 10년 동안 손실을 볼 확률은 5%, 20년 동안 0%로 떨어진다. 금융상품에서 말하는 ‘투자 보장’은 유혹적인 말이지만, 낚싯밥에 걸리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변액 연금(어뉴이티), 주가지수 연금, 현금 가치 종신보험 등은 투자와 보험을 혼합한 것이다.     이런 금융상품은 매우 복잡해서 일반 투자자가 이해하기 어렵다. 상품을 만든 금융회사와 상품을 판매한 영업인은 수수료 등으로 돈을 벌 수 있지만 투자한 사람은 그만큼 손실로 이어진다. 투자와 보험은 분리해야 한다.     투자해서 돈을 벌겠다는 것은 투자 목적이 아니다. 동부에서 서부 여행할 때 어떻게 가는지 계획이 없다면 영원히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제대로 하는 투자로 우리 모두 안락한 은퇴 생활로 이어지기를 희망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주식 투자 주식 투자자들 주식시장 역사가 투자 결정

2025.03.19. 19:46

[재정칼럼] 직장인의 은퇴 투자 전략

라스베이거스에는 매일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일확천금을 꿈꾸며 도박을 한다. 도박의 방식은 다양하지만, 공통점은 베팅 후 즉시 결과를 알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도박의 결과를 일주일 후에 알려준다면, 사람들은 라스베이거스를 찾지 않을 것이다.   주식 투자 역시 마찬가지다. 일반 투자자들은 기업에 투자한 후 수시로 주식 가격을 확인하며 변동성을 체감한다. 하지만 기업의 경영, 제품, 재무제표 등 본질적인 요소는 주식 가격처럼 단기간에 급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은 조급한 마음에 단기 수익을 기대하며, 이는 도박과 다를 바 없는 심리를 형성한다. 장기 투자가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소액 투자로 큰 자산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장기 투자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한 달에 585달러씩 연간 7000달러(2025년 IRA 한도)을 연 10% 수익률로 투자한다고 가정하자.   10년 후에는 약 12만 달러, 20년 후엔 약 42만 달러, 그리고 30년 후에는 약 120만 달러로 불어난다.   부부가 함께 투자한다면 2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어 안정적인 은퇴 생활이 가능하다. 하지만 많은 직장인들은 현재의 생활비에 맞춰 소비하며 은퇴 자금 마련을 미루곤 한다. 세월은 빠르게 흐르고, 은퇴 시점이 다가오면 충분한 자금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직장인들은 401(k), 403(b), 457, TSP 등 다양한 은퇴 플랜을 활용해 세금 절감과 동시에 자산을 불릴 수 있다. 1926년 이후 미국 주식시장은 연평균 약 10%의 성장률을 기록해 왔으며, 미래에도 같은 수익률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투자하지 않으면 그 기회를 놓치게 된다. 다음은 효과적인 은퇴 투자 전략이다.   첫째, 직장에서 제공하는 매칭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봉의 5%를 401(k)에 투자하면 회사에서 90%를 매칭해 준다고 가정하자. 연봉이 10만 달러인 직장인이 5000달러를 투자하면, 회사에서 4500달러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는 실질적인 ‘공짜 돈’이므로 반드시 활용해야 한다.   두 번째, HSA(Health Savings Account)는 의료보험과 연계된 저축 계좌로, 많은 직장인이 간과하지만 강력한 은퇴 투자 도구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01(k)에서 인출 시 소득세를 내야 하지만, HSA는 의료비 지출 시 세금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세제 혜택이 더 크다.   세 번째, 회사 매칭과 HSA를 활용한 후에도 여유가 있다면 401(k)에 추가 투자하는 것이 좋다. 2025년 기준, 직장인은 연간 최대 2만3500달러까지 세금 유예 혜택을 받으며 투자할 수 있다. 50세 이상이라면 추가로 7500달러를 더 투자할 수 있어 총 3만1000달러까지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워런 버핏의 오랜 파트너인 찰리 멍거는 “큰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기다림(Waiting)에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 침체, 금리 인상, 전쟁 등의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2023년 24%, 2024년 23%라는 주식 시장의 높은 수익률을 놓친 투자자들은 기다림의 중요성을 실감했을 것이다.   부자가 되는 길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으로 꾸준히 투자한다면 누구나 재정적인 성공을 이룰 수 있다. 워런 버핏이 “빨리 부자가 되는 것은 어렵지만, 천천히 부유해지기는 쉽다”고 말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직장인 은퇴 은퇴 투자 일반 투자자들 장기 투자가

2025.03.04. 19:53

썸네일

[재정칼럼] ETF 폭발적 성장의 이유

주식 투자의 시작은 대부분 개별적인 기업을 선택해서 투자한다. 주식 대박을 은근히 기대하며 유망한 기업을 열심히 찾아본다. 필자 역시 이것저것 한껏 머리 궁리(?)하며 기업을 선택해서 투자했었다. 어떤 종목은 놀라운 성과를 냈지만, 이것 역시 단지 운이 좋았던 것뿐이라는 사실을 아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개별적인 투자에서 뮤추얼 펀드 투자로 전환한 것이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주식시장(Random Walk Down Wall Street)’이란 책이 1973년에 출판되었다. 책의 저자는 프린스턴 대학의 버튼 멕키엘(Burton Malkiel) 교수이다. 다소 두꺼운 책의 요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주식 전문가가 주식을 선별하는 것이나 원숭이가 주식 선별하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이다.   50여 년 전은 그야말로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다. 직장인의 401(K) 플랜도 없었고 개인연금 투자(IRA) 플랜도 없었다. 주식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도 없고 스마트폰도 없던 시대였다. 이때에는 회사의 경영진을 직접 만나서 새로운 제품, 기업의 가치(Intrinsic Value), 재무제표, 등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투자 전문인들이 투자 결정하는 데 훨씬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그런데 멕키엘 교수는 주식 전문가나 원숭이나 다를 바가 없다고 폭탄 선언한 것이다. 이 책을 읽고 필자는 뮤추얼 펀드에서 다시 인덱스 펀드 투자로 집중했다.   금융업계에 새로운 투자 종목인 ETF(상장지수펀드) 투자가 1993년에 출시되었다. 필자 역시 인덱스 펀드에서 ETF 투자로 전환한 것은 당연하다. 작년 단 한 해 동안 ETF에 투자된 금액이 무려 1조 달러이고, ETF 시장은 매년 성장하여 현재 약 10조 달러나 된다. 이런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이유는 ETF 투자의 유익한 점이 세월이 갈수록 증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ETF의 장점을 함께 알아보자.   먼저, 투자 방향이 분명하다. 뮤추얼 펀드는 펀드 매니저에 의해서 투자종목이 결정된다. 한 예로 어떤 뮤추얼 펀드의 투자 방향은 외국 기업에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이런저런 이유로 펀드의 수익률이 하락하고 고전한다. 같은 시기 미국 기업의 주식은 상승하는 분위기다. 펀드 매니저는 떨어지는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자산의 일부를 국내 기업으로 투자한다. 이렇게 변형된 투자 방향으로 일반 투자자는 분산투자를 기본으로 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투자가 어디에 어떻게 투자되어 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비용이 낮다. 뮤추얼 펀드에는 재정설계사가 받을 수 있는 수수료가 있는데 4%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부과되는 투자 비용은 재정 문서에 나오지도 않고 재정설계자도 말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 투자자 각자가 숨어있는 비용을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어떤 투자자는 투자 비용이 부과되면 그만한 값어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맞는 말은 아니다.   ETF는 수수료가 일반적으로 부과되지 않는다. 경비도 매우 저렴하다. 뱅가드 S&P 500 ETF의 경비는 단 0.03%다. 투자금 1만 달러에 부과되는 비용이 한 해에 단 3달러라는 뜻이다. 남에게 한 푼이라도 주지 않으면 그만큼 나의 호주머니에 남아 있는 것이다. ‘싼 것이 비지떡’이란 속담은 금융업계에선 적용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절세 효과도 크다. 뮤추얼 펀드는 투자자가 사고팔지 않아도 매년 세금을 내야 한다. 뮤추얼 펀드를 운용하는 매니저가 투자하고 있는 종목을 끊임없이 사고팔기 때문이다. 이것을 ‘턴오버(Turnover)’라고 한다. ETF는 사고파는 횟수가 매우 적기에 발생하는 세금이 거의 없다.   오래전부터 ETF를 이용해서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했다. 말로만 한 것이 아니라 필자의 개인 자산이나 모든 고객의 자산도 ETF에 투자하고 있다. 여러분의 소중한 돈을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것인지 심사숙고하기를 바란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폭발 성장 주식 투자 투자자 각자 일반 투자자

2025.02.09. 16:42

썸네일

[재정칼럼] 새해와 낙관적인 마음

2024년 미국 주식시장은 새로운 최고 기록을 세우며 23% 상승했다. 2023년에는 24%로 상승했다. 2년 연속 20% 이상 상승은 1997년과 1998년 이후 처음이다. 이런 이유로 올해 백만장자가 무수히 탄생했다. 재정칼럼 800편 이상을 쓰면서 주식 투자의 중요함을 누누이 강조했다. 그러나 이런저런 이유로 나의 돈이 주식시장이 투자되어 있지 않으면 이런 놀라운 주식시장의 수익을 받을 수 없는 것이다.   최근 주위에 주식 투자로 큰돈을 벌었다는 투자자를 자주 접한다. 나만 손해를 보는 것 같아 주식 투자에 귀를 기울인다.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전문가라는 사람들의 의견은 크게 두 가지다. 주식시장 가격이 많이 상승했고, 물가 안정은 시간이 더 필요하고, 여러 곳의 전쟁과 분쟁으로 미래가 불확실하기에 시장이 급락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이와 반면 새로운 정부는 기업과 개인의 세금을 줄이고, 기업 경영에 부담되는 여러 규제를 완화하고, 정부 규모를 축소하는 정책은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반영되어 주식시장이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피터 린치는 피델리티의 마젤란 펀드를 13년간(1977~1990) 운영했다. 그 기간 마젤란은 2700% 이상 상승했고 그는 1990년에 46세의 나이로 은퇴했다.     그가 한 방송에서 대담한 내용을 요약하면 이렇다. “주식시장은 오르고 내림을 반복한다. 10% 이상 하락은 2년에 한 번씩 발생하고 약 6년에 한 번씩 큰 폭으로 폭락한다. 그러나 언제 그런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른다. 이것을 아는 사람이 있다면 여러분에게 그 사실을 말할 이유가 전혀 없다.”   투자를 망설이는 투자자에게 피델리티에서 조사한 내용 하나를 소개한다. 1980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주식시장(S&P 500)에 1만 달러를 투자한 후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리면 100만8만2309달러로 불어난다.     같은 기간 동안 주식시장이 가장 많이 상승했던 단 5일 동안 나의 돈이 투자되어 있지 않다면 불어난 돈은 67만1051달러로 줄어든다. 상승했던 10일 동안 투자되어 있지 않으면 48만3336달러로 절반보다 적어진다.     미래를 예측하는 어느 전문가가 상승했던 5일 그리고 10일 언제인지 예측할 수 있겠는가. 한 마디로 불가능하다. 참고로 주식시장이 상승했던 50일 동안 투자되어 있지 않으면 불어난 돈은 단 7만6104달러에 불과하다.   주식시장 투자에는 그때 그 시점에 항상 염려해야 하는 일들이 있다. 20세기에 두 번의 세계전쟁, 한국전쟁, 등이 있었고 12번 이상의 침체기(Recession), 오일 파동, 등이 있었지만 다우 존스는 66에서 1만1497로 상승했다. 21세기는 금융위기도 경험하고 미국 신용등급 하락, 3번의 경기 침체, 2번의 50% 이상 폭락, 전 세계를 폐쇄한 팬데믹을 경험했지만, 다우 존스는 4만 이상으로 상승했다.   부자는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마음을 가지고 팬데믹과 같은 어려운 상황을 좋은 기회란 생각하며 투자한다. 가난한 사람은 투자할 자금도 많지 않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비관적인 마음 때문에 투자하지 못한다.   지난 10년 주식시장은 연평균은 13.3%이다. 투자한 원금이 1만 달러였다면 약 3만5000달러로 3배 이상 불어났다. 미래의 주식시장 수익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오랜 역사는 우리에게 기준치를 제시한다. 오랜 기간 주식투자수익률은 분명 물가 상승보다는 높았다는 사실이다. 이래서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것이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현시점에 의해서 투자하는 것이 아니고 미래를 기대하며 투자하는 것이다. 2025년 새해를 시작하며 독자 여러분은 물론 사랑하는 아이들에게도 투자의 필요성을 알려주어 우리 모두 백만장자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새해 낙관 주식시장 투자 기간 주식투자수익률 주식시장 수익률

2025.01.23. 18:30

썸네일

[재정칼럼] 변하지 않는 투자의 원칙

만물의 움직임에는 기본적인 원리가 있다. 기본적인 원리는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법칙을 이용하여 달나라 여행을 갔다가 무사히 돌아온다. 투자하는데도 변하지 않는 기본적인 원리가 있다. 그것이 무엇인지 순서 없이 함께 나누어 본다.   투자자에겐 조절할 수 있는 것과 조절할 수 없는 일이 있다. 조절할 수 없는 일은 환율, 이자율, 주식시장 변화, 투자자들의 마음 등이다. 조절할 수 없는 일에 시간과 정성을 소비하기보다는 우리가 조절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     조절할 수 있는 일은 생각보다 많다. 꾸준한 저축, 투자 경비, 분산투자, 학자금, 은퇴 준비, 등이다.   일반 투자자는 좋은 종목에 투자하여 ‘주식 대박’을 기대한다. 그러나 벼락부자가 되는 것은 축복이 아니라 저주가 될 수 있다. 천천히 부를 쌓는 사람들이 돈을 쉽게 버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자산 관리를 잘할 수 있다. 인내심으로 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박으로 한순간 큰돈을 벌 수는 있지만, 반복되기는 어렵다. 결국에는 모든 것을 잃을 확률이 매우 높다.   워런 버핏의 평생 파트너였던 찰리 멍거는 “미래를 결정하는 데 역사보다 더 좋은 선생님은 없다. 30달러짜리 역사책에 수십억 달러 상당의 답이 있다”고 했다.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지침서는 과거이다. 과거는 확률로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90% 실패하더라’라고 말할 때 그렇게 하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과거 주식시장을 돌이켜 보는 것이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주식 시장이 어떤 큰 손에 의해서 조작된 것으로 생각하는 투자자가 있다. 그러나 주식 시장은 믿고 신뢰할 수 있는 기관 중 하나이다. 투자자가 주식 투자에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모른다는 뜻은 자신의 마음이 조작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주식시장이 폭락하면 팔고 주식시장이 상승하며 다시 하는 투자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오르고 내림을 반복하는 주식시장을 염두에 두지 않고 꾸준히 하는 투자가 제대로 하는 투자이다.   보험인, 재정설계사, 브로커 등은 투자하며 발생하는 모든(Total) 경비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뱅가드 창업자인 잭 보글은 미국 금융회사에 대해서 이렇게 언급했다. “미국 대부분 투자회사는 일반 고객에게 부끄러운 행위를 한다. 뮤추얼 펀드 회사가 부과하는 경비는 고객의 돈을 절도(Larcenous)하는 것과 같고 보험회사나 금융회사의 투자 종목에 부과하는 수수료(Commission)는 노상강도와 다름없다”라고 했다. 투자하며 발생하는 경비, 특히 숨어있는 경비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제대로 된 투자는 유동적(Liquidity)이어야 한다. 오늘 투자하고 어떠한 이유로 돈을 찾고 싶으면 그 다음 날 찾을 수 있어야 한다. 투자 돈이 묶이는 부동산 투자(Non-Trade REIT), 벌금을 내고 나와야 하는 어뉴어티(Annuity) 등으로 투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런 투자의 대부분은 만든 사람과 파는 사람에게 이익을 주지만 투자한 사람에겐 그만큼 손실로 이어지기 쉽다.   투자자는 보장(Guarantee)이란 말을 좋아한다. 그러나 모든 투자는 위험성이 있다. 현금도 물가 상승이라는 위험이 있다.     만약 누군가가 투자하는데 보장이란 말을 사용하면 일단 조심해야 한다. 숨어있는 속내용을 자세히 모르기 때문이다. 투자에 ‘너무 듣기 좋은 말은 사실이 아닐 수 있다. (Too good to be true)’라는 말을 명심해야 한다.   주식 투자는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대로 하는 투자는 어렵다. 제대로 하는 투자가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는 순간부터 오히려 성공하는 투자로 이어진다.   주식 투자에도 변하지 않는 기본적인 원리가 있다. 기본에서 벗어난 투자는 실패하는 투자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우리는 인식해야 한다. 미국에서의 이민 생활은 하루가 정신없이 지나간다. 제대로 하는 투자로 안락한 노후대책으로 이어지길 새해에 희망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투자 원칙 변화 투자자들 일반 투자자 주식 투자

2025.01.09. 19:39

썸네일

[재정칼럼] 2024년 재정계획 마무리

연말 모임과 행사로 바쁜 12월이다. 2024년을 마감하며 저축을 극대화하고 세금 납부를 최소화하는 재정 계획을 알아보자. 은퇴 계좌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아직 남아있다. 직장에서는 12월 31일까지 그리고 IRA 또는 Roth IRA에는 2024년 4월 세금 보고할 때까지 투자할 수 있다. IRA에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은 해당 연도의 근로 소득이나 국세청이 책정한 한도를 초과할 수 없다.   은퇴를 위한 투자제도(IRA)는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나 수입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다. 50세 미만은 매년 7000달러 그리고 50세 이상은 8000달러씩 할 수 있다. 수익률 7%만 계산해서 7000달러씩 25년 하면 약 44만 달러, 30년 66만 달러, 그리고 35년은 거의 96만 달러 이상이 된다. 부부가 함께하면 당연히 2배가 되므로 백만장자 이상이 된다. IRA에 투자할 한도가 일 년 수입에 따라야 하는 규칙이 있지만 IRA와 직장 은퇴 플랜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직장인에게 제공하는 401(k), 403(b), 457, TSP 등과 같은 은퇴 플랜을 제대로 이용하면 절세하며 큰 은퇴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2024년 기준으로 2만3000달러까지 세금 유예 혜택을 받으며 투자할 수 있다. 연봉 10만 달러에서 2만3000달러를 투자하면 7만7000달러에 대해서만 세금 보고를 한다. 나이가 50세 이상이면 추가로 7500달러를 더 투자할 수 있으므로 최대 금액 3만500달러까지 세금 공제와 투자 수익 유예를 받으며 투자할 수 있는 것이다.   아이들 키우며 생활하려면 은퇴 플랜의 최대 금액을 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매년 1%씩 자동으로 더 투자할 수 있도록 구성(Set-up)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이들 학자금 마련은 부모에게 큰 부담이다. 529 플랜에 투자해서 불어난 수익에 대한 세금이 유예되며, 그 돈이 수혜자의 교육 자금으로 사용될 경우 세금이 면제(Tax Free)된다. 교육 자금이란 방세, 식사비, 책값, 학교 등록금 및 교육에 연관된 모든 비용을 포함한다. 매년 증여세 신고서를 보고하지 않고도 수혜자당 최대 1만8000달러를 기부할 수 있다. 이 뜻은 부부가 수혜자당 3만6000달러씩 투자할 수 있다. 돈 많은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손주들에게 학자금 마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학부모는 학비 보조를 많이 받기 위해서 529 플랜에 투자하는 것을 망설인다. 529에 투자된 돈은 학생 돈으로 간주하지 않고 부모 돈으로 계산하며 학비 보조금을 책정할 때 529에 있는 총액에서는 5.64%만을 학생 부담금으로 계산한다.   가입자가 사는 주에서 투자하면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미시간(MI)주의 경우 결혼한 부부가 529 플랜에 1만 달러를 투자하면 세금 공제 4.25%, 즉 4250달러를 공제받기에 이것이 바로 수익으로 이어진다.   529에 더 큰 금액을 기부하고 싶다면, 해당 기간 수혜자에게 다른 증여(Gift)가 없다면 최대 5년 치(개인 9만 달러, 커플 18만 달러)를 한꺼번에 기부할 수 있는 ‘수퍼펀드(Superfund)’도 가능하다.   은퇴한 후 일정한 나이가 되면 그동안 세금이 유예(Tax-deferred)되었던 모든 은퇴 계좌에서 정해진 액수의 돈을 찾아야만 한다. 이것을 RMD(Required Minimum Distributions)라고 말한다. RMD 금액은 모든 은퇴 계좌(전년도 12월 31일) 금액을 합하여 계산한다. 정부에서는 노년을 위해 투자한 돈에 대해서 세금혜택을 주었으므로 73세부터는 돈을 찾아서 사망하기 전까지 세금을 내라는 뜻이다. 이런 이유로 나이를 먹어 감에 따라서 찾아야 하는 금액이 증가한다.   RMD를 인출하지 않으면 벌금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서 찾아야 하는 RMD에서 1만 달러를 적게 인출하면 벌금이 25% 적용하여 2500달러가 벌금이 된다. 찾아야 하는 액수에서 적게 찾았음을 인지하여 잘못을 바로 고치면 벌금을 10%까지 줄일 수도 있다.   정부가 투자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을 제한한다는 것은 분명 재정적인 혜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기회를 일반인은 최대로 이용해야 한다. 노후대책이 늦었다고 한탄만 할 것이 아니라 한 해를 보내기 전 은퇴 계좌 투자를 최대 이용하고, 벌금이 부과되는 RMD 인출을 잊지 말고, 아이들 학자금 마련하는 올 마지막 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재정계획 마무리 투자 수익 은퇴 플랜 세금 유예

2024.12.26. 19:35

썸네일

[재정칼럼] 버핏의 천천히 부자되는 법

11월 말까지 주식시장의 지표인 S&P 500지수는 최고치를 올해 53이나 갱신했다. 다우 존스 역시 최고치를 47이나 기록하고 있다. 올 한 해 S&P 500지수 수익률은 26.47%, 다우 존스는 19.16%, 그리고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NASDAQ)은 무려 28.02% 상승이다.   인덱스 펀드 500대 기업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알파벳, 테슬라, 메타, 등으로 미국의 대기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미국 주식시장의 성과(Performance)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표로 삼는다. 주식시장이 최근 상승하는 이유는 기업의 수익 확대, 물가 하락, 폭발적인 인공지능의 성장, 연방정부의 금리 인하, 등으로 전반적인 경제 상황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작년에 24% 그리고 올해 26%로 상승하고 있다. 지난 2년 올라간 주식시장에 투자하면 시장이 폭락하는 것이 아닌지 두려운 마음이 든다. 그러나 1950년 이후 2년 연속 시장이 상승했던 적이 8번 있었다. 8번 중에서 6번은 3년째에도 평균 12%로 상승했다. 모든 강세장의 상황은 물론 다르지만, 주식시장의 역사를 살펴보면 평균 강세장은 5년 또는 1866일이 넘는다는 사실이다.   ‘세금과 하늘나라로 간다는 것’ 외에는 보장이란 없다. 내년(2025년) 주식시장이 약 12% 상승할 확률은 75%이지만, 주식시장 상황도 어떻게 변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새로운 정부는 기업과 개인의 세금을 줄이고, 기업 경영에 부담되는 여러 규제를 완화하고, 정부 규모를 축소한다는 정책은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이다.   미국은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나라이며 주식시장이 금융 경제의 중심이다. 주식시장에 투자하지 않고 노동으로 부를 쌓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주식시장의 수익은 절대 불로소득이 아니다. 나의 자그마한 투자한 돈으로 기업은 새로운 상품을 만들고 시장에 파는 것이다.   우리 모두 정든 고향을 떠나 낯설고 말도 통하지 않는 이국땅으로 왔다. 우리 모두 밤낮으로 열심히 일하지만, 미국에 이민 온 아시안 중에서 한인이 재정적으로 매우 열악하다고 한다. 여러 가지 이유 중 하나는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지 않기 때문이다. 투자한다고 해도 도박처럼 투자하기 때문이다.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어렵다. 특히 주식시장 예측은 더욱더 어렵다. 그러나 워런 버핏의 평생 파트너였던 찰리 멍거는 ‘미래를 결정하는 데 역사보다 더 좋은 선생님은 없다. 30달러짜리 역사책에는 수십억 달러 상당의 답이 있다’고 언급했다.   2001년(21세기)부터 우리는 9·11, 3번의 경기 침체, 2번의 50% 이상 폭락, 국회의사당 건물 쿠데타 시도 실패, 전 세계를 폐쇄한 팬데믹, 40년 만에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 등을 경험했지만, 다우지수는 1만1497에서 4만4997로 상승했다.   인기도서 작가 모건 하우스(The Psychology of Money)에 따르면, 93세인 워런 버핏도 재산의 99%를 65세 이후에 벌었다고 언급하며 “만일 버핏이 65세에 은퇴했다면, 여러분은 워런 버핏이 누구인지 들어본 적이 없었을 것이다”라고 2022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주식시장에 나의 돈이 들어가 있지 않으면 놀라운 수익을 받을 수 없다. 투자의 현인이 워런 버핏은 ‘빨리 부자가 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천천히 부유해지기는 매우 쉽다’고 언급했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주식에 투자하면 누구나 재정적인 성공을 이룰 수 있다. 미국에 이민 온 우리 한인 모두 제대로 하는 투자로 아메리칸드림을 만끽해 보시기를 희망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버핏 부자 주식시장 상황 주식시장 예측 워런 버핏

2024.12.12. 19:49

썸네일

[재정칼럼] 감사(Thanksgiving)한 이유

세계 여기저기에서의 전쟁과 테러 소식,  그리고 미국 내 각종 사건사고 등 연일 비관적인 뉴스가 끊이지 않는다. 이런 소식을 자꾸 접하다 보면 걱정과 불안감만 쌓인다.       하지만 ‘돈의 심리학’의 저자 모건 하우설은 “삶의 질을 높이는 것 대부분은 천천히 진행되므로 사람들이 인식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의 ‘삶의 질’이 어떻게 향상되었는지 감사절을 맞아 알아본다.     ·  지난 20년 동안 세계 인구 가운데 극빈층의 비율은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  결핵, 말라리아, 홍역, 황달, 콜레라, 에이즈 등의 질병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이제 코로나바이러스도 위협이 안 된다.   · 자동차로 미국 최초의 동서 횡단에 성공한 사람은 1905년 버몬트주 출신의 의사와 그의 운전기사였다. 그들은 샌프란시스코에서 뉴욕까지 가는 데 63일이 걸렸다. 오늘날엔 항공기로 몇 시간이면 된다.   · 1870년대 일반인이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는 음악회나 서커스, 실내 보드게임, 카드 게임 등이 고작이었다. 오늘날 엔터테인먼트 옵션은 거의 무제한이다.   ·  1800년 미국인의 평균 수명은 39세였고 1900년에는 49세, 그리고 1950년에는 68세였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80세에 가깝다. 은퇴 평균 나이도 62세로 높아졌다. 과거 62세면 이미 하늘나라에 도착했을 나이다.     · 1920년 주당 평균 세탁 시간이 11.5시간이었던 것이 2014년에는 1.5시간으로 줄었다.   · 일반인의 소득이 50년 전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이는 물가상승률까지 고려한 것이다. 1960년대는 아무리 돈이 많아도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소유할 수 없었다.       · 1870년에는 주말, 휴가, 은퇴 등으로 일생에서 일하지 않는 시간이 햇수로 환산하면 11년이었지만, 1990년에는 35년으로 늘었다. 평균 수명 등을 고려해 현재는 이 기간이 약 40년이다. 인생의 반 정도를 일하지 않고 즐긴다는 뜻이다.     ·  지난 70년 동안 항공 여행은 2100배 더 안전해졌다. 이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할 확률은 0.000025%에 불과하다.   ·  1960년에는 주택 10채 중 1채에만 에어컨이 있었지만 1973년에는 49%로 증가했으며, 현재는 90%에 달한다. 에어컨이 없는 10%는 추운 지역에 있는 주택이다.       · ‘은퇴’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다. 과거에는 대부분이 죽을 때까지 일했다.     · 전염병 치료제 등의 개발로 1990년 이후 1억 명 이상의 어린이를 구했다.   ·  뱅가드(Vanguard) 창업자 잭 보글(Jack Bogle)의 인덱스 펀드 덕분에 무수한 투자자들의 투자 경비 절감은 물론 높은 수익률도 함께 받고 있다.   ·  주식시장이 올해 23.6% 올랐다. 지난 3년 연평균 수익률은 23.89%, 5년은 15.3%, 그리고 10년은 14.7%이다. 수익률 12%로 계산하면 투자 돈이 6년마다 2배로 증가한 놀라운 수익률이다.   인생이란 선택의 연속이기에 불안함과 불확실함이 가득하다. 그러나 살다 보면 흐린 날과 맑은 날이 있기 마련이고 오르막과 내리막이 반복한다. 혹시 실패하더라도 괜찮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 일에 아등바등할 이유가 없다.   우리는 모두 다르지만 매우 특별하고 소중한 존재들이다. 세상에 태어날 확률이 1조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복권 당첨보다 훨씬 더 어려운 놀라운 기적을 모두 경험한 것이다. 여기에 세계 인구의 4%만이 세계 최강국인 미국에서 살고 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은 그중 한 사람이다. 감사한 마음뿐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thanksgiving 감사 오늘날 엔터테인먼트 연평균 수익률 세계 여기저기

2024.11.25. 19:03

썸네일

[재정칼럼] 주식시장은 결국 오른다

주식시장(S&P500)은 올해 들어 약 22% 상승했고, 1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40%나 올랐다. 이렇게 올라간 주식시장에 투자해야 하는지 투자자 마음은 갈팡질팡해진다. 주위에서 주식 투자로 돈 벌었다는 소식도 자주 접한다. 본인만 손해를 보는 것 같아 투자하고 싶지만, 한순간 폭락하는 것이 아닌지 두려운 마음이다.     투자자 대부분은 주식 예측에 귀를 기울인다. 나의 소중한 돈을 투자하기 전 주식시장 향방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이런 투자자의 간절한 마음에 대한 보답(?)으로 금융회사는 주식시장 예측을 끊임없이 발표한다.   금융회사 더블라인(Doubleline Capital)의 건들라크 대표는 2024년 S&P500 지수가 3200으로 폭락한다고 예측한 바 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기술주 가격이 기대에 어긋나면 4500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비관적인 뉴스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인간의 본능이다. 주식시장의 하락이나 폭락 가능성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미래 예측, 특히 주식시장 예측은 더욱더 어렵다는 뜻이다.     주식 전문가라도 주식시장을 정확하게 예측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피델리티에서 뮤추얼펀드를 운용하며 장기간 높은 수익률을 형성했던 펀드 매니저 피터 린치는 “주식시장 폭락을 준비하거나 폭락을 예측해서 투자하면 주식시장 폭락 자체로 잃는 돈보다 훨씬 더 큰 손실을 입는다”고 언급한 것이다.     금융위기 당시 주식 시장도 반토막이 났었다. 주식 투자의 현인 워런 버핏은 이 무렵 뉴욕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20세기에 미국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기타 충격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군사적 분쟁, 수십 건의 경기 침체와 금융 공황, 오일 쇼크, 대통령의 불명예스러운 사임을 경험했지만 다우지수는 66에서 1만1497로 상승했다’고 주장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어떤가? ‘21세기에 우리는 9·11 사태, 3번의 경기 침체, 2번의 증시 50% 이상 폭락, 전 세계를 폐쇄한 코로나19 팬데믹, 40년 만에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 등을 경험했지만, 다우지수는 1만1497에서 4만3988로 상승했다.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상황이 좋아 보일 때도 한 번의 이벤트로 인해 투자 심리가 뒤집히고 급락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매년 중간에 증시 10% 이상 하락을 16번이나 경험했지만, 연말에는 상승으로 마감했다. 2003년도 중간에 14% 하락했지만 연말에 26% 상승으로 마감했다. 2020년 팬데믹 시작과 함께 시장이 34%나 하락했지만 16% 상승으로 마감되었고, 2023에도 10% 하락을 경험했지만 결국에는 24% 상승으로 마감했다.   주식에 투자한 부자는 계속 부자가 되고, 투자하지 못한 가난한 사람은 계속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부자는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마음을 가지고 팬데믹과 같은 어려운 상황도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 투자한다.     반면, 가난한 사람은 투자할 자금도 없지만, 조그마한 돈이 있다고 해도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비관적인 마음 때문에 투자하지 못한다. 비관적인 생각과 결론은 노후 자금, 아이들 학자금, 여러 가지 이유로 필요한 목돈을 준비하는 데 중요한 기회를 손실한다.     보통사람이 노동으로만 부를 쌓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주식시장은 오랜 기간 연평균 약 10%의 수익을 창출했다. 제대로 투자를 하면 누구나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내가 잠들어 있는 고 동안에도 여러 기업에 투자한 나의 자금은 꾸준히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이를 통해 은퇴 자금을 만들 수 있어 은퇴 후에도 편안하고 안락한 생활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주식시장 주식시장 폭락 주식시장 예측 주식시장 향방

2024.11.12. 20:4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