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온타리오에서 응급실을 방문했지만 긴 대기 시간으로 인해 진료 받기를 포기하고 병원을 떠난 환자들이 약 29만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타리오에서 기록된 약 600만 건의 응급실 방문 중 약 4.9%에 해당한다.
온타리오, 캐나다 내 상대적 낮은 수치 지난 9월 18일(목), 공공정책 싱크탱크 MEI(Montreal Economic Institut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온타리오에서 치료를 포기한 환자 비율은 캐나다 내 조사 대상 9개 주 중 가장 낮았다(서스케쳐원 데이터는 미제공). 반면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에서는 대기 문제 등으로 응급실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 비율이 14.15%로 가장 높았고, 매니토바 13.23%, 뉴브런즈윅 12.85% 순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전체 상황 보고서는 캐나다 전체적으로 2024년 한 해 동안 1,630만 건의 응급실 방문 중 약 127만 명(7.8%)이 대기 등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원 문을 나섰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이러한 환자 수가 전년 대비 35.6% 증가했다. 이 중 약 절반은 생명에는 직접적 위협은 없지만,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P3 등급 환자였다.
시스템 문제와 우려 MEI 커뮤니케이션 르노 브로사르 부사장은 성명을 통해 “매년 수천 명의 온타리오 주민이 시스템 문제로 인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응급실을 떠나고 있다”며 “환자들이 치료 지연으로 상태가 악화될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브로사르는 또한 “치료 지연이나 회피로 인해 병세가 악화되면 수술 등 더욱 심각한 의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1차 진료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해결책과 권고안 보고서는 응급실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들을 줄이기 위해 응급실 이외의 접근 가능한 대체 진료 옵션 마련과 병원 시스템 부담 완화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긴 대기 시간을 완화하고, 환자가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원 문을 나서는 위험을 줄이며, 장기적으로 의료 자원의 효율적 활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