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가주 주택가격이 정점에 가깝거나 정점을 지나지 않았느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올해도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해 시장에 상반된 견해가 형성되고 있다. 지난달 LA를 비롯한 남가주 집값이 공급 회복 속에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주 부동산협회(CAR)는 ‘2022년 1월 주택시장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은 계절적인 영향과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 주택으로 쏠림현상이 이어지면서 일부 집값이 낮아졌다고 16일 밝혔다. LA의 기존 단독주택 중간값은 지난해 12월보다 3.1% 하락한 80만960달러로 80만 달러 선에 턱걸이했다. 〈표 참조〉 1년 전과 비교하면 13.6% 올랐지만 지난해 11월 9.4% 하락해 80만 달러 아래로 떨어진 뒤 12월 7.4% 올라 회복한 80만 달러 고지를 간신히 지켰다. 샌버나디노 카운티도 전월 대비 2.2% 하락한 45만 달러로 내려앉았고, 지난해 12월 1% 하락했던 벤투라는 변동 없이 85만 달러를 유지했다. 지난해 12월까지 포함하면 남가주 6개 카운티 중 OC를 제외한 5개 카운티가 한 차례 이상 가격 하락세를 겪었다. 가주 전체 중간 집값은 전월 대비 3.9% 하락한 76만5580달러였다. 전년 대비로는 9.4% 올랐지만 2020년 7월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유지됐던 두 자릿수 상승 기록은 지난달로 끝났다. 가격 상승세가 주춤한 이유에 대해 CAR은 “매물이 전월보다 30% 이상 늘어 현재 속도로 팔리면 소진되는 기간이 지난해 1월 1.4개월에서 1.8개월로 늘었다”며 “바이어 경쟁이 수개월 전과 비교하면 조금이나마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가주 전체의 주택 거래량은 연율로 44만4540건을 기록, 전월 대비 3.4% 증가했다. 전년 대비로는 8.3% 줄며 7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지만 최근 6개월 사이 최소 폭을 나타냈다. CAR의 오토 카트리나 회장은 “이자율이 더 오르기 전에 도전에 나서는 바이어들이 주택시장에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며 “공급 사정이 소폭 개선되면서 가격 상승 폭이 둔화했고 시장의 경쟁 상황도 조금 나아졌다”고 말했다. 다만 2월 이후 봄 성수기를 시작으로 가격 상승 폭은 커질 전망이다. ‘에퀴티 스마트 홈 론스’의 제임스 김 융자 전문가는 “올해도 10% 가까이 집값 상승을 예상한다”며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모기지 이자율 상승이 예고됐지만, 여전히 공급보다 수요가 많다 보니 셀러 입장에서 굳이 가격을 낮출 필요가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CAR의 조단르빈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1월 거래량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고 새로운 모기지 신청 수요도 많았다”며 “다만 이자율 상승과 바이어가 체감하는 부담에 따라 전체 시장의 수요가 좌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정일 기자주택가격 정점 기준금리 인상 남가주 주택가격 집값 상승세
2022.02.16. 21:03
전액 현금을 지불한 주택 구매자 비율이 2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관련 통계 전문업체 데이터퀵사가 지난 1월 OC 주택 거래 현황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이 기간 주택 구입자 중 27.4%가 모기지 융자 없이 전액 현금으로 주택을 구입했다. 데이터퀵사는 이 수치가 지난 해 2월과 11월 기록된 26.1%를 뛰어 넘어 이 회사가 주택 거래 동향을 조사하기 시작한 1988년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1997년 이후 10년 동안 현금 주택구입자는 평균 7.3%에 불과했으나 2007년부터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가주 전역에서도 현금 주택구입자 수가 늘었다. 1월 주택구입자 중 올 캐시 구매자의 비율은 전년 동기대비 2.4% 증가한 30.9%에 달했다. 백정환 기자
2011.03.02. 17:49
12월 LA카운티 및 오렌지카운티 주택 시장은 거래량은 증가했지만 가격 하락은 계속됐다. 그러나 전통적인 선호지역 주택 가격은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주택 거래동향 조사업체인 데이터퀵 인포메이션 시스템스에 따르면 12월 남가주 주택판매 건수는 1만9926건을 기록 전년도보다 50.5%나 증가했다. 오렌지카운티의 주택 거래량이 전년 대비 49% LA카운티는 32%나 증가했다. 그러나 주택가격은 LA카운티의 단독주택 중간가격이 32만달러로 전년도보다 36% 하락했으며 오렌지카운티는 29.2% 하락한 42만5000달러를 기록했다.〈표참조〉 지역별 특성을 보면 LA카운티의 경우 세리토스 다이아몬드바 패서디나 라크레센타 맨해튼비치 등 전통적인 주거 선호지역 가격 하락폭이 전체 평균보다 크게 낮았다. 학군이 뛰어난 세리토스(90803)는 가격이 지난 1년동안 14.3% 하락하는 데 그쳤으며 전통적 부촌인 패서디나(91104) 지역도 12월 중간가격이 10.3% 떨어졌다. 다이아몬드바(9175) 노스리지(91326) 지역도 전체 평균보다 주택 가격 하락폭이 훨씬 낮았다. 특히 라크레센타(91214) 맨해튼비치(90266) 등은 12월 중간가격이 전년도보다 각각 5.4% 11.8% 오르는 기현상을 나타내기도 했다. 반면 오렌지카운티는 특정 선호지역을 지적하기 힘든 카운티 여건상 전체적으로 고른 감소폭을 보여 대조를 이뤘다. 주택 가격이 하락하면서 신규 주택구입자들이 내는 월 평균 모기지 페이먼트도 감소했다. 신규 주택구입자들의 월 평균 모기지 페이먼트는 2007년 12월 2060달러에서 지난달에는 1239달러로 800달러 이상 줄었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09.01.28. 15:36
2008.10.29. 14:42
데이터퀵 인포메이션사에 따르면 지난 9월 가주에서는 4만317채의 단독주택과 콘도미니엄이 팔렸다. 전반적으로 콘도미니엄 판매가 호조를 보인 한 달이었다. 9월 주택판매량은 지난 8월 3만7988채에 비하면 6.1% 증가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에 팔린 2만4460채에 비하면 64.8%나 급증했다. 9월에 팔린 주택 중 51.1%는 차압된 주택으로 판매된 주택의 절반 이상이 차압된 주택으로 집계됐다. 지난 8월에 차압주택 비중은 46.9%였고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2.6%였다. 9월 주택 중간판매 가격은 28만3000달러로 전달 중간가격인 30만1000달러에 비해 6% 하락했고 지난해 43만달러에 비해 34.2% 떨어졌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 수석경제학자 로렌스 윤은 "차압이나 숏세일이 거래의 30~40%를 차지한다"며 "할인된 가격에서 팔리기 때문에 주택 중간 판매 가격 이 낮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별로 살펴보면 몇몇 지역은 전반적인 주택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샌타모니카(집코드 90403)의 기존 단독주택 가격은 전년대비 39.8% 상승했고 어바인(92606)과 뉴포트 비치(92661)는 각각 41.5% 47.80%를 기록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학군이 좋아 한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사우스 패서디나(91030)는 단독주택 및 콘도 및 타운홈 가격이 각각 7.4% 15.6% 상승했으며 중간가격은 각각 93만달러 59만1000달러로 집계됐다. 콘도 및 타운홈 판매는 세리토스(90703)가 지난해 비해 81% 상승한 41만달러로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외에 콘도및 타운홈 가격이 전년 대비 호조를 보인 곳은 라미라다(90638) 어바인(92618) 뉴포트 비치(92663)로 각각 73.3% 29.2% 20.9% 늘었다.
2008.10.29. 14:40
2008.08.27. 15:24
LA카운티 기존단독주택 가격이 콘도미니엄보다 큰폭으로 떨어졌다. 데이터퀵인포메이션사의 조사에 따르면 7월 카운티내 기존 단독주택 매매 중간값은 41만달러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29.3% 하락한 반면 기존 콘도미니엄은 35만5000달러로 18.8% 내려가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A카운티에서 고급 주택가로 알려진 퍼시픽 팰리세이즈(90272)에서는 단독주택의 매매 중간값이 107만300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3% 소폭 하락한 반면 콘도미니엄은 5채가 매매되면서 매매중간값이 오히려 지난해에 비해 무려 63.2%나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이 콘도미니엄의 가격하락폭이 단독주택에 비해 적은 현상은 LA한인타운을 비롯해 아케이디아 글렌데일 밸리지역 팔로스버디스 다이아몬드바 등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도 나타났다. 특히 다이아몬드바는 이 기간 기존 단독주택 매매 중간값이 54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6%나 하락한 반면 콘도미니엄은 32만1000달러로 9.6% 하락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랭캐스터 지역은 카운티내에서 단일도시로 주택매매도 가장 많이 이뤄지고 매매가격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 지역에서 7월 한달간 131채의 단독주택이 매매됐으며 매매 중간값은 지난해에 비해 47.3% 하락한 14만8000달러로 집계됐다. 오렌지카운티 기존 단독주택 및 콘도미니엄의 매매 중간값은 51만5000달러 33만700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28.3% 26.4%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인 밀집지역인 풀러턴의 92833지역 중간값이 37만달러를 기록 지난해에 비해 47.1%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2008.08.27. 15:15
남가주 지역 및 전국 주택 판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칠 시기가 가까워진 것이 아닌가 하는 기대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가주부동산협회(CAR)가 25일 발표한 7월 기존주택 판매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LA카운티의 7월 주택 판매량은 전달 대비 13.8% 전년과 비교해서는 무려 33.6%나 증가했다. 또 오렌지카운티 7월 주택 판매량도 전달 대비 14.9% 전년 대비 48.5% 급증했다. 가주 전체의 7월 판매량은 전달 대비 15.3% 1년전보다는 43.4%나 늘었다. 전국 주택 판매량도 증가해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존주택 판매건수가 10년 최저치를 기록했던 전월의 연율 486만건에서 500만건으로 3.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월가 전망치인 연율 491만채를 웃돈 것이다. 이같은 예상밖의 7월 주택판매 호조 현상은 주택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이 저가 매수세를 불러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7월 판매된 기존주택 중간가격은 LA카운티가 39만3690달러로 전년 대비 34.0%나 떨어졌으며 오렌지카운티 중간가격은 53만7570달러로 전년 대비 26.4% 가주 중간가격은 35만760달러로 1년전보다 무려 40.3%나 떨어졌다. 전국 중간가격은 21만240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2만8600달러와 비교해 7.1% 떨어졌다. 와이스 리서치의 마이클 라선 애널리스트는 "가격이 급락하면서 판매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며 "바이어들에게 매력적인 수준까지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여전히 차압 매물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주택 재고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7월 주택 재고량은 전달보다 3.9% 늘어난 467만채를 기록했다. 이는 7월 판매대비 11.2개월치에 해당한다. 김현우 기자
2008.08.25. 21:02
주택 가격 하락세가 가속도를 더하면서 LA카운티 중간 주택 가격이 마침내 40만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가주부동산중개인협회(CAR)가 25일 밝힌 자료에 따르면 LA카운티 6월 중간 주택가격은 39만6560달러를 기록, 전달(42만2160달러)보다 6.5%나 하락했다. 이는 1년전과 비교해서는 무려 32.3%나 급락한 것이다. 가주 전체 중간가격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7%나 하락한 36만8250달러에 그쳤다. 전달(38만4840달러)과 비교해서는 4.3% 떨어진 수치다. 오렌지카운티 중간 주택가격은 56만900달러를 기록, 전년도보다 22.5% 하락했다. 그러나 주택 판매는 소폭 상승했다. 6월 가주 주택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7% 늘었으며, 가주 전체 주택판매는 1년전보다 17.5% 증가했다. 오렌지카운티 주택 판매도 전년도보다 18.1% 늘었다. CAR의 윌리엄 브라운 회장은 “주택 가격 하락세는 계속되고 있지만 주택 판매는 조금씩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가격이 많이 낮아진데다 이자율이 낮은 상황이 지속되면서 6월 주택 판매가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주에서 6월 중간 주택가격이 가장 높은 도시는 맨해튼 비치로 194만2500달러를 기록했으며, 로스 알토스가 159만5000달러, 벌링게임이 157만5000달러, 뉴포트 비치가 132만5000달러로 뒤를 이었다. 특히 맨해튼 비치는 중간가격이 1년전보다 무려 49.4%나 올라 이채를 띄었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08.07.25. 21:09
리버사이드 샌버나디노 등 주택가격 급락 지역의 주택 구입 융자에 대해 보다 많은 다운 페이먼트를 요구하던 융자업체들이 다운 페이먼트 비율을 낮추기로 해 주택 구입이 한결 쉬워지게 됐다. 최대의 모기지 투자업체인 프레디맥과 패니매는 지난 5월 중순까지만 해도 부동산 시장 불안정 지역에 대해서는 다른 지역보다 다운 페이먼트 비율을 5% 높게 요구했으나 최근 이러한 정책을 폐지했다. 프레디맥과 패니매가 구입하는 융자를 컨포밍 융자의 경우 일반 융자은행들은 융자를 내 준 후 이 상품을 프레디맥과 패니매에 판매해 자금을 융통하기 때문에 프레디맥과 패니매의 정책에 준하여 융자 기준을 맞춘다. 따라서 프레디맥과 패니매의 결정에 영향으로 컨포밍 융자 상품의 다운 페이먼트 비율도 낮아지게 된다. 패니매의 한 관계자는 "6월 1일부터 부동산 시장 불안정 지역에 대한 추가 다운 페니먼트 요구 조항을 없애기로 했다"며 "미니멈 다운 페이먼트 비율도 3%로 낮췄다"고 말했다. 김현우 기자
2008.05.28. 18:15
지금처럼 매물이 넘쳐날 때에 셀러들은 주택을 팔기 위해 보다 많은 노력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경험에 비추어보면 요즘같은 시장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부동산 흐름이나 정보는 개개인 셀러의 경우와는 관계가 없을 때가 많다. 예를 들면 한인타운이나 팜데일 리버사이드 지역은 부동산 상황이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같은 기준을 놓고 평가하면 안 된다. 따라서 셀러는 자신이 주택을 팔고자 하는 지역의 특성을 정확히 조사하고 잘 교육된 셀러가 될 필요가 있다. 현명한 셀러로서 갖춰야 할 조건을 정리해봤다. 첫째 주택시장을 생각할 때는 절대적으로 로컬적 특성을 중심으로 생각해야 한다. 현재 전체적으로 판매가 부진하고 가격이 계속 하락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가격이 더 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지역이 그런 것은 아니다. 텍사스 지역 같은 경우는 올해들어서도 가격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셀러는 우선 자기 지역에서 주택이 어떻게 팔리고 가격 상황은 어떤지 주시해야 한다. 이때 1년전 6개월전 3개월전 그리고 최근 판매 가격 현황을 꼼꼼이 조사해봐야 한다. 이렇게 하면 계절별로 가격 특성을 알 수 있고 앞으로 가격이 어떻게 될 지 파악할 수 있다. 두번째는 바이어와 셀러의 특성을 살펴봐야 한다. 현재 그 지역을 많이 찾는 바이어가 어떤 입장에 있는 사람인지 왜 샤핑을 하는지 어떤 매물을 많이 찾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거기에 맞춰 주택을 꾸미고 마케팅한다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경쟁 관계에 있는 셀러들도 파악해야 한다. 같은 가격에 좋은 조건 좋은 주택이라면 당연히 팔릴 것이다. 따라서 주변에 오픈하우스를 하면 들러 내집이 과연 경쟁력이 있는지 비교해보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다. 세번째는 전문가의 조언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아무래도 처음이나 두번째 주택을 팔기 위해 나서는 사람보다 전문가들은 그 지역의 상황을 보다 상세히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전문가한테 조언을 듣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 네번째 셀러는 자신의 주택에 대해 객관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 냉철하게 주변의 주택과 자신의 주택을 비교하고 공인감정사에게 감정을 받아보면 팔고자 하는 주택의 가치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략적인 가격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주택 가격이 매월 1%씩 하락한다면 그리고 3개월내 팔고 싶다면 가격을 3% 이상 내릴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지금 당장이라도 팔아야 한다면 보다 큰 폭의 디스카운트가 필요하다. 시간을 끌면 끌수록 셀러에게는 손해라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문의: (213)276-2288
2008.02.05.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