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온타리오 차량광고 ‘허위요금’ 적발

  CBC 탐사프로그램 ‘마켓플레이스’의 잠입 취재 결과, 온타리오 일부 자동차 딜러십이 광고보다 높은 가격을 청구한 사실이 드러났다.   광고 총액 규정 위반 다수 온타리오 자동차판매산업협의회(OMVIC)는 광고에 HST와 등록비를 제외한 모든 비용을 포함해야 한다고 규정하지만, CBC가 조사한 15개 딜러십 중 6곳이 이를 어겼다. 또 4곳은 고가 모델 사진을 사용했고, 6곳은 소비자가 요청하지 않은 옵션을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문구’ 속 숨은 비용 미시사가의 401 딕시 현대는 특정 고객만 광고 가격을 적용했고, 포뮬라 포드는 ‘$998 다운페이먼트’ 광고가 실제 4,000달러 이상으로 드러났다. 일부 딜러는 가격 인상분을 고객이 부담해야 한다는 조건도 제시했다.   사진·옵션 모두 ‘눈속임’ 여러 현대 딜러는 상위 모델 사진을 사용하면서 실제로는 기본형 가격을 제시했으며, 일부는 도난방지장치 등을 ‘의무’라며 강매했다. 그러나 토론토시는 관련 의무 규정이 없다고 밝혔다.   소비자 보호 논의 확산 OMVIC은 72%의 딜러가 규정을 지켰다고 했지만 “조사 결과는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소비자단체들은 차량 구매 후 24~48시간 내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숙려기간 도입을 요구하고 있으나, 온타리오 정부는 지난해 “불필요한 규제”라며 거부했다.   더그 포드 주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광고된 금액보다 더 지불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자동차 미시사가 OMVIC 딜러십 광고

2025.11.11. 7:48

썸네일

뉴욕주 자동차 보험료 낮추기 추진

뉴욕주 운전자들의 높은 자동차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행사가 열린다.   뉴욕주와 뉴욕시는 시민단체 ‘저렴한 보험료를 위한 시민모임(CAR: Citizens for Affordable Rates)’과 협력해 29일(수) 오전 9시부터 11시 30분까지 뉴욕시 맨해튼에 있는 주이시뮤지엄(유대인박물관)에서 ‘뉴욕 자동차 보험료 부담 위기’를 주제로 공개 포럼을 개최한다.   CAR은 “뉴욕주 자동차 보험료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이는 저소득층과 중산층 운전자들에게 재정적으로 큰 타격을 주고 있다”며 “뉴욕주와 뉴욕시는 이번 포럼에서 CAR와 함께 뉴욕주의 부실한 자동차 보험 시스템을 개선할 방안을 모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포럼은 ‘뉴욕시를 위한 파트너십’(Partnership for New York City) 캐시 와일드 CEO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선출직 공무원·소비자권익 옹호단체·보험업계 전문가·지역 사회 지도자 등이 참여해 ▶보험료 인상의 근본 원인 ▶근로 가정에 미치는 영향 ▶보험료 인하를 위한 구체적 조치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행사 문의: 585-653-8453. 박종원 기자자동차 보험료 뉴욕주 자동차 자동차 보험료 뉴욕주 운전자들

2025.10.28. 18:01

[중앙칼럼] 필수품 자동차, 이제 사치품으로

영화나 미드를 통해서나 접할 수 있었던 미국 생활을 1990년대 중반 샌프란시스코 대학원에서 유학으로 시작했다. 현지에 적응하기 위해 한동안은 전철과 버스를 타며 로컬 분위기와 일상을 익혔지만, 한국처럼 집 근처에 마트나 편의점이 없어 장을 보려면 멀리 떨어진 한인 마켓까지 다녀와야 했다. 양손 가득 짐을 든 채 버스를 수차례 갈아타고 다니면서 미국 생활에서 자동차는 선택이 아닌 생존 수단이라는 걸 체험할 수 있었다.   당시 차를 장만하려고 여러 딜러를 방문해 가격을 알아봤었는데 소형차는 1만2000~1만4000달러, 중형차는 1만8000달러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최근 대학을 졸업한 큰 아이가 학업과 일을 병행하게 되면서 차가 필요해져 저렴한 신차를 알아봤다. 2만 달러 이하 신차는 거의 찾을 수가 없었고 소비자 리뷰가 좋은 소형차는 2만5000달러 전후, 중형차는 2만9000달러부터 시작했다. 지난 30년 사이 1만 달러 이상 오른 셈이다.   켈리블루북에 따르면 지난 9월 신차 평균 거래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5만 달러를 돌파했다고 한다. 팬데믹 당시 평균 가격이 4만 달러를 넘어섰다는 소식에 깜짝 놀랐었는데, 수년 만에 또 1만 달러가 오른 것이다. 첨단 기능 및 고급 편의 사양 장착이 늘고 하이브리드·전기차의 수요 증가가 주된 원인이라고는 하지만, 서민 입장에서는 그저 ‘감당하기 힘든 인상’일 뿐이다.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 부담이 지난 수십년간 얼마나 커졌는지 궁금해 신차 가격과 소득 수준의 변화를 조사해 봤다.   평균 신차 가격이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한 1998년에 중간 명목소득은 3만8887달러였다. 그로부터 14년이 지난 2012년 신차 가격이 3만 달러를 넘어섰고, 소득은 5만1020달러였다. 신차 가격 상승률이 47.3%로 소득 증가율(31.2%)을 크게 상회했다. 닷컴버블 붕괴, 2008년 금융위기 등 외부 충격으로 소득이 정체되면서 자동차 구매 부담이 가장 컸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는 양상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4만 달러 돌파까지 9년이 걸리는 동안, 소득이 39% 증가해 차량 가격 상승률(33.2%)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소비자의 구매력이 다소 회복된 시기다.   하지만 2021년부터 2025년까지는 신차 가격이 단 4년 9개월 만에 5만 달러를 돌파해 다시 소득 증가율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중간 소득이 7만780달러에서 8만5000달러(올해 추정치)로 20.1% 올랐지만, 신차 가격은 25.4% 상승했다.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더라도 실질적인 부담이 다시 커지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차 가격이 3만 달러일 경우, 가주 평균 오토론 이자율 7.5% 기준에 10% 다운페이, 60개월 할부로 구매하면 월 납부액은 544달러다. 하지만 5만 달러라면 같은 방식으로 월 907달러가 된다. 동일 조건으로 3년 리스를 할 경우도 3만 달러 차는 월 428달러, 5만 달러 차는 월 713달러로 큰 차이가 난다.   특히 가격 상승을 이끈 전기차의 평균 거래 가격은 5만8124달러로, 평균 4만9054달러인 개솔린 차량보다 9000달러 이상 비싸다. 친환경 전환은 바람직한 방향이지만, 최신 기술 탑재와 제조 원가 상승이 전체 차량 가격을 끌어올리며 오히려 대다수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생계, 출퇴근, 교육, 의료 접근을 위한 ‘필수 교통수단’으로 여겨져 온 자동차가 이제 구매, 유지 비용 부담으로 선택을 고민해야 하는 고급 소비재의 경계까지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신차 가격 상승세가 식료품·유틸리티·보험료·주거비 등 전방위 인플레이션과 동시에 나타나고 있으니 서민들의 가계 재정은 한층 더 버거워질 수밖에 없다.   미국 생활의 필수품인 자동차 쇼핑이 부담보다는 설렘과 기쁨이 앞서던 때가 다시 올 수 있을까 싶다. 박낙희 / 경제부장중앙칼럼 필수품 자동차 자동차 구매 소득 증가율 중간 명목소득

2025.10.27. 19:38

썸네일

뉴욕주 자동차 보험료 너무 비싸다

뉴욕주 운전자들은 타주 운전자들에 비해 높은 보험료 부담으로 주택 구매와 생활비 지출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저렴한 보험료를 위한 시민모임(CAR: Citizens for Affordable Rates)’은 20일 뉴욕주와 타주 자동차 보험료를 비교할 수 있는 통계 자료를 발표하고 “치솟는 자동차 보험료가 뉴욕주의 주택 구매력 위기를 악화시키고, 주 전역의 근로 가정, 소기업, 그리고 배달 기사들을 압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CAR은 “조사 결과 뉴욕 운전자들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보험료를 내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주 정부의 개입 없이는 치솟는 자동차 보험료로 인해 뉴욕주의 주택 구매력 위기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CAR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주의 완전 보장 자동차 보험료 연평균 비용은 현재 4000달러를 넘어섰는데, 이는 전국 평균 약 2400달러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다.     특히 뉴욕주 운전자들은 2025년에 보험료가 평균 13.5%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2025년 전국 평균 인상률은 약 7%.   CAR 제임스 프리드랜드 대변인은 “뉴욕 주민들은 매달 자동차 보험을 유지하기 위해 1주일치 식료품비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출하고 있다”며 “이미 주택, 식료품, 공공 서비스 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들에게 이는 절대 지속 불가능하며, 주정부가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치솟는 보험료는 뉴욕 주민들의 자동차 보험 부담 능력을 더욱 약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뉴욕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자동차 보험 항목은 2025년 상반기에 전년 대비 거의 8% 상승하여 일반적인 물가상승률을 훨씬 앞지르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자동차 수리비 상승 ▶관세 인상 ▶기후 관련 손해 배상 청구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CAR은 뉴욕주의 높은 보험료 문제 해결에 헌신하는 시민, 옹호자, 단체들의 연합단체로, 뉴욕주 운전자들의 높은 자동차 보험료 부담 관련 자세한 내용은 CAR 웹사이트(www.citizensforaffordablerates.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 자동차 자동차 보험료 뉴욕주 운전자들 보험료 연평균

2025.10.21. 21:11

썸네일

신차 다운페이 4년 만에 최저…장기 대출 급증

신차 평균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5만 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다운페이먼트 액수는 오히려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오토론 할부금 부담에 시달리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정보업체 에드먼즈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신차 구매자의 평균 다운페이먼트 금액은 602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6619달러)보다 9% 감소한 것으로, 지난 2021년 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운페이먼트가 줄면서 오토론 규모는 커졌다. 신차를 구매한 소비자 가운데 월 상환액이 1000달러를 넘는 비율은 19.1%로, 사상 최고치였던 직전 분기(19.3%)에 근접했다.   이런 현상은 제조사들이 첨단 주행보조 기능 추가하고 하이브리드 모델 확대 출시 등으로 매년 신차 가격이 인상되는 데다가 고물가로 소비자들이 재정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자동차 지출 부담을 줄이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다운페이먼트를 줄이고 장기 대출을 택하고 있다.     에덴자동차의 제이 장 부사장은 “요즘 신차 가격이 오르고 있고 금리도 크게 변화가 없다 보니 6년(72개월) 이상 장기 대출로 부담을 줄이려는 고객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에드먼즈에 의하면 3분기 신차 오토론의 22%는 7년 이상 장기 대출이었으며, 평균 대출액도 4만2647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00달러가량 늘었다.   금리 부담 또한 여전한 상태다. 3분기 신차 오토론의 평균 연이율(APR)은 7%로, 3분기 연속 7%를 넘겼다. 0% 무이자 대출은 전체의 3.4%에 불과했고, 10% 이상 고금리 대출 비중도 13.8%에 달했다.     에드먼즈의 제시카 콜드웰 분석가는 “소비자들이 기존 재고 부족으로 가격이 높게 형성된 1~2년 된 중고차보다 오히려 신차를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며 “아직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관세 인상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3분기 신차 구매가 ‘현명한 선택’으로 여겨졌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금리와 차값 등 늘어난 부담에 저소득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자동차 할부금을 제때 내지 못하는 소비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신용평가사 피치레이팅스에 따르면, 서브프라임(저신용) 자동차 대출 중 60일 이상 연체된 비율은 올해 1월 6.5%에 육박한 뒤 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팬데믹 당시에는 정부 지원금과 실업수당,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등으로 가계 저축이 늘고 크레딧 점수가 개선된 바 있다.   그러나 2021년 이후 물가가 급등하고 금리가 인상되면서 대출 비용이 치솟았다. 고용시장이 점차 냉각되고, 여기에 학자금 대출 상환이 재개되면서 압박이 가중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저소득층과 저신용자는 팬데믹 기간 중 급등했던 중고차 가격이 하락하면서 더 큰 손실을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훈식 기자다운페이 신차 장기 대출 신차 오토론 신차 구매자 박낙희 자동차 Auto News 오토론 하이브리드

2025.10.20. 19:55

썸네일

자동차 대출 연체·압류 급증… 2009년 금융위기 수준 경고

차량 가격과 유지비 상승, 금리 부담, 그리고 최근 관세 여파가 겹치면서 자동차 대출 연체와 압류가 급증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소비자 옹호 단체인 소비자연맹(CFA)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의 자동차 부채 규모는 1조66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자동차 대출 연체율과 압류 건수는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압류가 약 43% 증가했으며 크레딧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620~679점대의 차주들은 연체율이 팬데믹 이전 대비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이 중 18~29세 젊은 차량 소유주들은 90일 이상 연체를 하는 속도가 다른 연령대보다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CFA는 “현재 상황은 2008년 금융위기 이전의 흐름과 유사하다”며 소비자 보호 부재가 새로운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매년 오르는 차량 가격도 압류 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신차 평균 가격은 5만 달러에 육박하며 중고차 가격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올랐다.   또한 신차 구매자의 20%가 월 1000달러 이상을 대출 상환금으로 지불하고 있었으며 7년(84개월)짜리 초장기 대출을 이용하는 비중도 5명 중 1명꼴로 늘었다.   CFA는 이번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연방 정부의 규제 약화를 지목했다.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예산 삭감과 연방거래위원회(FTC)의 소극적인 감독이 문제라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FTC는 자동차 딜러를 상대로 단 한 건의 소송도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던 ‘CARS 룰(허위광고 및 정크 수수료 금지법)’도 반대 판결에 항소하지 않아 무효가 됐다고 보고서는 비판했다.   반면 자동차딜러협회(NADA)와 금융서비스협회(AFSA)는 이 같은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협회 측은 “차량 가격 상승은 첨단 기술, 안전 규제, 공급망 문제 때문이지 금융 관행 때문이 아니다”라며 CFA 보고서가 선정적이고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에린 위테 CFA 소비자보호국장은 “자동차 대출 연체는 단순히 차량 문제가 아니라 가계 전체의 재정적 압박을 보여주는 신호”라며 “이번 현상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우훈식 기자자동차 연체율 자동차 대출 자동차 부채 자동차 딜러

2025.10.13. 19:00

썸네일

관세로 차 수리비 폭탄…소비자 부담 가중

관세에도 차값은 큰 폭의 변화를 보이지 않은 가운데 자동차 수리비는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운전자들의 부담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을 가늠하는 정부의 주요 경제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7월에서 8월 사이 자동차 수리비는 한 달 만에 5%나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해선 무려 15%나 높아진 수치다.   이는 차량 부품 관세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5월부터 모든 수입 부품에 25% 관세가 적용되면서 애프터마켓 부품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사실상 미국산 100%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국내 브랜드 차라도 멕시코나 동맹국 등 해외에서 들여온 부품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최근 관세로 부품 가격이 오르면서 수리비 또한 뛰었다는 설명이다.   이는 관세에도 불구하고 신차 가격 자체는 크게 오르지 않았다는 점과 대조된다. 8월 신차 평균 거래가는 4만8365달러로, 지난해 12월 고점 대비 2% 하락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을 억제하기 위해 제조사들을 압박한 바 있다. 정부의 눈 밖에 나지 않으려는 다수의 완성차 업체들은 관세 충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비용을 대부분 자체 흡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속되는 인플레이션에 판매 부진을 우려해 가격을 크게 올리지 못한 이유도 있다.   차량 수명 증가도 수리비 급등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경기 불안에 소비자들이 차량을 더 오래 보유하려는 데 따른 것이다.   올해 기준 도로 위 차량의 평균 연식은 12.8년으로, 1년 전보다 0.2년 늘었다. 이는 최근 수십 년 사이 보기 드물게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오래된 차량일수록 엔진, 변속기, 서스펜션 등 대형 정비가 필요해 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최근 정비사 인력 부족이 겹쳤다. 이들 인건비는 2023~2024년 사이 7% 상승해 부담을 더했다, 정비 공임이 전체 수리비의 60%를 차지하는 만큼 소비자 부담은 더욱 가중된 셈이다.   한편, 높은 금리와 높은 차량 가격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금융 부담은 여전히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 현재 신규 차량 구매자의 15% 이상이 월 1000달러가 넘는 대출 상환액을 내고 있으며, 중고차 구매자의 30% 이상은 월 600달러 이상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훈식 기자소비자 수리비 수리비 급등 관세 충격 박낙희 자동차 관세 부품값 정비

2025.09.29. 20:40

썸네일

온타리오 ‘레몬법’ 제정 촉구

  자동차를 새로 구입하거나 리스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고장으로 고통 받는 소비자들이 온타리오주에 ‘레몬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미국 대부분의 주와 달리 캐나다에서는 퀘벡을 제외하고는 관련 법이 없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계속된 차량 결함에 불신 커져 스카보로 딜러십에서 2024년형 포드 F-150을 리스한 마크 미첼은 차량을 인도받은 직후부터 엔진 고장과 수리, 반복적인 기계적 결함에 시달렸다. 그는 “24개월 리스 기간 중 9개월을 딜러십에 맡겼다”며 “더는 이 트럭을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   CAMVAP의 한계 현재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제도적 장치는 캐나다 자동차중재프로그램(CAMVAP)이다. 하지만 미첼은 “차량이 불량임을 여전히 소비자가 입증해야 한다는 점에서 부담이 크다”며 “공정하지 않다”고 토로했다. 비영리단체 카 헬프 캐나다 역시 “CAMVAP은 절차가 복잡하고 결론이 소비자에게 불리한 경우가 많다”며 한계를 지적했다.   레몬법 필요성 대두 미국의 경우 모든 주에서 레몬법이 시행 중이며, 고장이 반복될 경우 제조사가 차량을 환불•보상하도록 강제한다. 퀘벡은 2023년 소비자보호법을 통해 유사 제도를 도입했지만 아직 실효성에 대한 평가는 초기 단계다.   온타리오 입법 움직임 카 헬프 캐나다는 현재 온타리오주 정부를 상대로 설문조사와 연구를 진행 중이며, 내년 안에 입법 근거 자료를 제출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퀘벡의 사례를 지켜본 뒤 온타리오가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미첼은 “제조사들은 법적 제재가 없다는 걸 알고 있다”며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반드시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레몬법 캐나다 자동차 온타리오

2025.09.29. 7:48

썸네일

교통사고 보상, 대시캠 단순 설치로는 부족…관리가 더 중요 [최미수 변호사]

최근 차량 사고나 결함에 대한 보상 요구가 늘면서, 사고 현장을 기록하기 위한 대시캠(블랙박스)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레몬법 및 교통사고 전문 '최미수 변호사'는 "단순한 장착만으로는 사고 후 보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며, "대시캠은 단순 전자기기가 아니라 법적 전략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최 변호사 사무실에 접수된 상담 사례 중 상당수는 명백한 피해가 있었음에도 대시캠 영상이 남지 않아 결정적 증거로 쓰지 못한 경우다. 저장 오류, 포맷 누락, 카드 용량 초과로 인해 영상 자체가 기록되지 않은 사례가 많으며, "고객 중 80~90%가 이 같은 이유로 영상이 없어 억울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또한 최근 전기차를 포함한 고급 차량은 전기 시스템이 정밀하게 설계돼 있어, 비공식 정비소나 인증되지 않은 장치를 통해 퓨즈박스나 전원선에 무단 연결할 경우 사고 이후 제조사 보증 수리조차 거절당할 수 있다. 최 변호사는 "실제로 제조사가 '외부 장치를 연결한 흔적이 있다'며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경고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무선 방식이나 OBD 포트 기반의 비침투형 설치를 우선 고려하고, 반드시 제조사 인증 또는 딜러 연계 설치처를 이용해야 한다. 이미 설치를 마쳤다면 장착 당시 사진과 내역을 기록해 두는 것이 안전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설치 이후의 '관리'다. 최 변호사는 "대시캠은 녹화 장치일 뿐 무제한 저장 장치가 아니다"라고 지적한다. 대부분의 대시캠은 일정 용량이 차면 오래된 영상부터 자동 삭제되며, SD카드 오류나 포맷 누락으로 인해 녹화가 중단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최근 한 달 내 영상 확인, 중요한 영상의 별도 백업, SD카드의 정기적 포맷 및 교체가 반드시 필요하다.   최 변호사는 "대시캠은 사고 발생 시 보상과 승소를 이끄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다"며 "차량 시스템을 해치지 않는 안전한 설치, 공식적인 장착, 그리고 주기적인 점검과 영상 관리, 이 세 가지가 갖춰져야 대시캠이 법적으로 유효한 무기가 된다"고 조언했다.   또한 최 변호사는 레몬법과 교통사고 청구 절차는 이민.형사 기록과 무관한 민사 절차이며, 크레딧 리포트 등 금융 기록에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민 신분이나 영주권 신청, 취업, 크레딧 문제를 걱정해 정당한 권리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명백한 오해"라며, 사고나 차량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법의 보호를 받기를 당부했다.   최미수 변호사 사무실은 LA 윌셔가에 위치한다. 모든 상담과 절차는 소송 비용 없이 진행되며, 신분이나 신용 기록에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문의: (323)496-2574 ▶이메일: [email protected] ▶주소: 3435 Wilshire Blvd. 27th Floor, Los Angeles최미수 변호사 최미수 변호사 자동차 레몬법 자동차사고 교통사고

2025.09.25. 22:15

썸네일

자동차 가격은 오르고, 할인은 사라지고

자동차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반면 소비자들이 기대할 수 있는 할인 기회는 갈수록 줄어들 것이라고 지역방송 폭스5 뉴스가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차를 살 계획이 있다면 더 오르기 전에 서두르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한다.       자동차 전문 오토트레이더의 브라이언 무디 편집장은 “지난 8월 평균 거래 가격(ATP)이 전년 대비 2.6% 상승해 2023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일부 모델을 제외하면 큰폭의 할인 혜택은 점점 찾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신용도가 매우 높은 구매자에게만 낮은 금리 혜택 정도가 제공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그는 “전기차는 유일한 예외가 될 수 있다”며 “이달말 종료되는 연방 세액 공제가 끝나기 전에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9월말 이전 전기차 새차를 구입하면 공제 혜택으로 초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나, 10월부터는 혜택이 사라진다.     중고 전기차는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연방정부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중고 전기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에 최대 4000달러 세액공제 혜택을 준다. 예를 들어 1만7000달러인 2024년형 닛산 리프에 세액공제를 적용하면 실질 구매가는 약 1만3000달러로 떨어진다.   자동차 정보사이트인 에드먼즈닷컴의 제시카 콜드웰 수석 애널리스트는 “관세 영향으로 가격이 오르겠지만 초기 우려만큼 급격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메이커들이 소비자 부담을 인식하고 신중하게 가격 정책을 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카스닷컴의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그린은 “신차 재고가 전년 대비 6% 줄었고 차량이 더 빨리 팔리고 있어 대규모 할인 프로모션의 필요성이 줄었다”고 전했다. 그는 “2026년형 차량 입고를 앞두고 현재 남아 있는 2025년형 재고차량이 사실상 최고의 딜”이라며 “재고가 소진되면 관세와 공급 제한으로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지민 기자자동차 할인 세액공제 혜택 할인 혜택 자동차 전문

2025.09.17. 14:54

썸네일

'운행 금지' 리콜 차량 급증…가주에 최다

‘운행 금지(Do Not Drive)’ 리콜 차량이 작년 여름 이후 65%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제조사 및 도로교통안전국(NHTSA) 자동차 리콜 현황을 제공하는 카팩스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현재 도로를 운행 중인 약 72만5000대의 차량이 ‘운행 금지’ 리콜 대상으로 이 중 대부분은 캘리포니아, 텍사스, 플로리다, 애리조나 등에 집중돼 있다.   카팩스 자료 기준 ‘운행 금지’ 리콜 차량 상위 15개 주 현황을 살펴보면 캘리포니아가 11만8400대로 전체의 16.3%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표 참조〉     이어 텍사스 6만1200대, 플로리다 4만600대로 각각 2위, 3위를 기록했으며 애리조나 2만8000대로 상위권에 올랐다.         중부와 동부지역에서도 리콜 차량이 적지 않다. 오하이오 2만5400대, 펜실베이니아 2만3500대, 노스캐롤라이나 2만2400대, 조지아 2만1900대, 테네시 2만1300대로 뒤를 이었다. 대도시 지역인 일리노이 1만8800대, 뉴욕도 1만8000대로 집계됐다.     ‘운행 금지’ 리콜은 자동차 결함이 심각해 어떤 상황에서라도 운행을 금지해야 할 정도일 때 자동차 제조사와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시행한다. 운전자는 즉시 주차 후 견인해 딜러십으로 가져가야 한다.     지난해에는 1073건의 안전 리콜이 시행돼 타이어를 포함한 3500만 대 이상의 차량 및 장비에 영향을 미쳤다고 NHTSA가 지난해 3월 발표했다. 이 가운데 차량만 약 2900만 대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운전자들이 리콜 조치를 무시하거나 늑장 대행한다는 것이다. 데이터 분석기업 렉시스넥시스 리스크 솔루션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운전자 3명 중 1명은 리콜 시행에도 즉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특히 중고차 소유주 경우 미조치 비율이 약 47%로 높았다.     패트릭 올슨 카팩스 편집장은 “안전 관련 리콜을 간과하거나 무시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며 “모든 운전자는 소유 차량의 리콜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콜 차량은 단순한 안전 문제를 넘어 경제적인 영향도 미친다.     리콜 대응을 위해 딜러십과 정비업체에서 발생하는 수리 비용과 서비스 수요 증가, 견인 및 교체 부품 공급 등의 산업적 파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운행 금지 차량 증가로 이동 제한이 장기화하면 소비와 물류 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고차 시장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리콜 대응 지연이 차량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카팩스 관계자는 “리콜 차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안전과 경제적 영향을 모두 고려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차량 구매 전과 운행 중 정기적으로 리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리콜 차량 리콜 차량 운행 금지 자동차 리콜 박낙희 자동차 중고차 가주

2025.09.11. 21:08

썸네일

[세법 Q&A] 자동차 절세

Q: 트럼프 2기 세금법안(OBBBA)에 자동차 관련 절세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그 내용이 궁금합니다.         A. 트럼프 2기 세금법안(OBBBA)에는 자동차와 관련된 중요한 세금 혜택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개인 차량의 대출 이자 공제이고, 다른 하나는 비즈니스 차량의 보너스 감가상각입니다.     트럼프 2기 주요 정책 중 하나인 국내 제조업 부활, 그중에서도 전통적인 자동차 산업 부활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보이며 친환경 정책의 폐지 및 지연 정책으로 인해 전기차에 대한 최대 7500달러 세제 혜택은 이달 30일부로 종료됩니다.     개인 차량의 경우 2025년부터 2028년까지 국내에서 최종 조립된 차량(전기차 포함, 중고차 제외)을 대출로 사면 연간 최대 1만 달러의 이자에 대해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공제는 표준 공제나 항목별 공제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되며, 리스 차량은 공제신청 대상이 아닙니다.     그리고 과세소득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공제액이 감액됩니다. 단독 신고자의 경우 10만 달러 그리고 부부 공동보고 시 20만 달러 이상 소득이 넘는 경우 공제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자격 요건이 충족되는 전기차 구매의 경우 이달 30일까지 구매 시 별도로 적용되는 7500달러의 세금 크레딧과 중복 적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차량 가격 5만 달러, 이자율 약 7% 조건으로 대출 시 첫해 이자액은 약 3500달러가 되며 이자 공제를 통해 절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 차량 등록과 대출 명의가 일치해야 하며 국내 조립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차량 등록 시 차량 고유번호(VIN)나 차량 정보 라벨을 활용한 자격 확인이 요구되고, 차량 대출 서류도 잘 보관해야 합니다. 이달 30일까지 자격이 충족되는 전기차를 할부로 구매하는 경우 총 절세 효과는 최대 1만1000달러에 이를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용 차량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임기 시작일인 지난 1월 20일 이후 산 차량에 대해 100% 보너스 감가상각이 영구 적용됩니다. 차량이 6000파운드(GVWR) 이상일 경우 대부분의 구입 금액을 첫해 비용 처리할 수 있으며 SUV나 픽업트럭 등이 대표적인 신청 가능 차량입니다. 신규 및 중고차 모두 가능하지만, 사업에 처음 사용되는 차량이어야 하며 리스 차량은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세금 보고 시 4562 양식 제출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업자가 9만 달러짜리 SUV를 사업용으로 사면첫해 보너스 감가상각 처리로 약 1만8900달러의 법인세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달 30일까지 자격이 충족되는 전기차로 구매하는 경우 보너스 감가상각을 전기차 세액공제와 병행해 사용할 수 있어 총 절세 효과는 최대 2만4000달러에 이를 수 있습니다. 구매 첫해 100% 보너스 감가상각 신청을 위해 차량 구입비용을 구입시 전액 납부하고 구매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처럼 트럼프 2기 세금 법안은 개인 및 사업자 모두에게 새로운 차량 구매를 통한 절세 기회를 제공합니다. 차량 구매 시 세법과 차량 조건을 잘 확인하여서 큰 절세 혜택을 누리기를 바랍니다.     ▶문의: (213)487-3690  피터 손 / CPA세법 Q&A 자동차 절세 전기차 구매 비즈니스 차량 자동차 산업

2025.09.03. 17:38

차량 이상 발견시 초기 대응 잘하면 수년 후에도 환불 가능 [최미수 변호사]

캘리포니아에서 자동차를 리스하거나 새 차를 구입한 소비자들 사이에서 차량 문제를 무심코 넘기다 결국 보상 기회를 놓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반면, 차량 구입 직후부터 이상 징후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공식 딜러에 입고해 정식 수리기록을 남긴 운전자는 수년이 지나도 레몬법(Lemon Law)을 통해 전액 환불 및 추가 보상을 받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레몬법 전문인 최미수 변호사는 "단순히 차량에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것만으로는 법적 보상에 이르기 어렵다"며 "초기부터 차량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공식 딜러에 입고해 수리 기록을 남기는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한 소비자는 차량 구입 직후 반복적인 경고등 점등과 주행 중 화면 깜빡임 문제를 여러 차례 공식 딜러에 입고해 정비 리포트를 확보했다. 이 사례는 3년이 지난 후에도 제조사와의 협상을 통해 차량 전액 환불과 더불어 추가 보상을 받아냈다.   반면 같은 문제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딜러가 문제 없다고 해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거나 "문제를 참고 타다 보상 기회를 놓쳤다"는 운전자들은 레몬법 적용 요건에서 벗어나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최 변호사는 특히 "비공식 정비소나 개인 샵에서의 수리 기록은 레몬법 소송에 인정되지 않는다"며 "반드시 공식 딜러에 입고해 수리 후 발급받는 '수리 리포트'를 보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한두 번의 문제 해결로 안심하지 말고, 작은 결함이라도 차량 안전과 가치에 영향을 준다면 모두 기록을 남겨두는 것이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레몬법은 차량 고장 자체보다 그 고장을 어떻게 기록하고 증명했느냐에 따라 보상 여부가 결정된다. 감지력보다 기록력, 감정보다 절차가 중요한 제도"라고 설명하며, 소비자의 적극적인 대응과 체계적인 기록 관리를 당부했다.   최미수 변호사의 사무실은 로스앤젤레스 윌셔가에 위치해 있으며, 테슬라, 벤츠, 볼보, GM, 아우디 등 모든 차종을 대상으로 수리 기록 검토부터 제조사 협상, 전액 환불 및 보상 청구까지 전 과정을 무료로 대행하고 있다.   ▶문의: (323)496-2574, [email protected]   ▶주소: 3435 Wilshire Blvd. 27th Floor, Los Angeles자동차사고 레몬법 자동차 보상 변호사

2025.08.21. 22:17

썸네일

오토론 할부금도 월 ‘1000불’ 넘는다

매월 자동차 할부금을 1000달러 이상 내야하는 시기가 곧 올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조지아주의 월 상환액이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플랫폼 렌딩트리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토론(자동차 대출) 또는 리스를 이용하는 미국인의 8.6%는 올해 1분기(1~3월) 적어도 한 번은 월 1000달러를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러한 고액 대출의 40.3%가 작년에 시작된 것으로 오토론 상환 부담이 급속히 커지고 있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렌딩트리는 자동차 할부금을 월 1000달러 이상 납부하는 운전자의 비율을 주별로 분석했다. 전국에서 매달 ‘네 자리수 상환액’을 내는 운전자가 가장 많은 주는 텍사스로, 오토론 대출의 약 13%가 월 1000달러 이상의 페이먼트를 내는 것으로 집계됐다. 네바다(11.9%), 와이오밍(11.6%), 조지아(11.6%), 캘리포니아(11.3%) 등이 뒤를 이었다.     상환액이 높은 주는 일반적으로 생활 반경이 넓어 일상생활에 차량이 필수인 지역이다. 일부 주에서는 고소득층이나 고가의 차량이 대출 금액을 높이는 원인이 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차량 가격뿐 아니아 소득, 생활비, 지역 교통 수요 등 여러 요인이 골고루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가령 텍사스나 뉴멕시코(10.4%)처럼 넓고 지역적으로 분산된 주에서는 주민들이 개인 차량에 더 많이 의존하고 트럭이나 SUV와 같은 고가의 차량을 구매하기 위해 오토론을 이용한다.     연령별로 X세대(45~60세)의 상환액이 가장 높았다. 오토론을 받은 X세대의 10.8%가 매달 1000달러 이상의 페이먼트를 내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 다음으로 베이비붐 세대(8.6%), 밀레니얼 세대(8%)가 뒤를 이었으며, 마지막 Z세대(18~28세)는 3.2%에 불과했다. 일반적으로 X세대는 소득이 가장 높은 시기로, 신용 이력이 풍부하여 고액 대출 승인 가능성이 높다.     ‘수퍼프라임’ 신용점수(720점 이상)를 가진 운전자가 중 10.4%가 ‘네 자리수’ 페이먼트 대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매체는 “선호도, 필요성, 인플레이션 등 여러 요인 때문에 자동차 할부금이 증가하지만, 전반적으로 차를 사기 어려워졌다는 것을 반영한다”며 운전자가 고액 대출 자격을 갖췄다고 해도 상환액을 매달 부담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반면 네 자리수 상환액이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주는 주로 북동부와 중서부에 몰려있다. 로드아일랜드는 4.8%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으며, 메인(5.1%), 펜실베이니아(5.2%) 등이 뒤를 이었다. 윤지아 기자자동차 할부금 자동차 할부금 자동차 대출 자리수 상환액

2025.08.01. 15:12

썸네일

코리아 퓨얼테크 어번 공장 증설

한국의 자동차 부품업체 코리아에프티의 미 현지 법인인 코리아 퓨얼테크 아메리카(KFTA)가 앨라배마주 어번 생산공장을 증설한다.   어번 시는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KFTA가 설립 3년만에 400만달러를 투자해 공장을 증설하고 17명을 추가 고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론 앤더스 시장은 “KFTA의 빠른 성장세는 오번의 친기업 환경을 방증한다”며 “지역사회 상생에 기여한 서학원 법인장 등 회사 지도자들에게 감사를 표한다”고 전했다.   KFTA 공장 증설은 전기자동차 판매 부진과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긴축 경영을 펴온 앨라배마 제조업계에 반가운 소식이 됐다. 글로벌 포장재 기업 암코는 관세 문제로 지난 1일 앨라배마주 라넷의 생산공장을 폐쇄하고 112명을 일시 해고했다. 미 최대 철강업체인 뉴코어(NUCOR) 역시 지난 4월 유폴라 시에 위치한 서비스센터를 닫으면서 직원 79명이 해고됐다.   코리아에프티는 카본캐니스터(유해가스 방지용 가스 포집 부품), 플라스틱 필러넥 등을 생산하는 부품 업체다. 연료 계통 부품은 최근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글로벌 규제가 강화되면서 수요가 크게 늘었다. 현대차, 기아 등 한국 5개 완성차사를 포함해 폭스바겐, 포르쉐, GM 등 유수 브랜드가 고객사다. 미국 외에도 중국, 인도, 폴란드 등에서 제품을 생산하는데, 어번 공장에서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및 조립 공정이 이뤄진다.   KFTA는 2022년 10월 1000만달러를 들여 어번 생산공장을 직원 90명 규모로 산업단지 ‘사우스 테크놀로지 파크’에 설립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앨라배마 자동차 자동차 부품사 공장 증설 앨라배마 어번

2025.07.24. 15:35

썸네일

전기차 세액공제 9월 종료…지금이 마지막 ‘7500불 골든타임’

  ━   기획 - 전기차 알고 사자   1.인센티브 100% 활용하라 2.추천 모델부터 유지비까지    전기차 구매자에게 제공되던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이 오는 9월 30일 종료된다. 이 세액공제는 지난 2022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시작되어, 지난 몇 년간 전국에서 전기차 확산을 효과적으로 이끈 핵심 요인이었다. 그러나 정부가 최근 관련 정책의 방향을 선회하면서 전기차 소비자들이 누리던 가장 큰 혜택이 사라질 전망이다. 이에 업계는 지금이 전기차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연방정부의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이 조기 종료되면서 최대 7500달러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이 두 달 남짓으로 좁혀졌다.     이는 지난 7월 4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대규모 감세법인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중 그린 에너지 세제 혜택 종료의 일환으로, 지난 바이든 정부가 펼친 친환경 세제 지원을 크게 축소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전기차 구매 시 크레딧을 리스나 파이낸싱 계약에 즉시 적용 받을 수 있어 초기 납입금과 월 납입금을 모두 낮추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일부 모델은 세액공제와 제조사의 인센티브까지 동시에 적용돼 내연기관 차량보다 월 납입 부담이 낮아지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세액공제가 사라지면 소비자가 체감하는 초기 비용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전기차 가격이 실제로 수천 달러 상승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에덴자동차의 제이 장 부사장은 “세액공제는 단순히 세금 환급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던 소비자들의 초기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중요한 요소였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시장 분석 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기차는 평균적으로 제조사 권장소비자가격(MSRP) 대비 14.8% 저렴하게 판매됐다. 이를 돈으로 환산하면 소비자들은 평균 8400달러 이상을 절약했다는 의미다.     이러한 할인과 금융 조건은 세액공제 종료 시점과 맞물려 비슷한 시기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올해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관세가 적용되기 전에 자동차 물량을 대량으로 확보했다.     이렇게 확보한 재고를 세액공제 종료 시점에 맞춰 빠르게 처분하기 위해, 제조사들은 단기적으로 지금과 같은 공격적인 리스 조건과 현금 보조금을 앞다투어 내놓고 있다.     이 물량이 소진되면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인센티브 규모는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로 조달 비용이 오르면서 소비자가 부담하는 차량 가격 또한 오를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조건으로 전기차를 살 수 있는 기회는 이번이 마지막 시기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세리토스 제네시스의 스카이 김 매니저는 “세액공제가 종료된 이후에는 같은 차량을 사기 위해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관세 부과 전 확보한 재고가 소진되면 딜러나 업체 측 마진이 감소해 현재 제공되는 파이낸싱이나 리스 혜택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며 서두르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브랜드들은 이미 파격 인센티브 총력전에 돌입해 막바지 소비자 유치에 전력하고 있다.   테슬라, 현대, 기아 등 세액공제 대상인 모델을 판매하는 브랜드들은 물론 복스왜건 등 올해 수혜 리스트에서 제외된 브랜드들 또한 리스·무이자 할부·현금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우선 지난 23일 기준 사우스베이 현대차는 아이오닉 5 SE 모델을 대상으로 36개월 리스 월 159달러 또는 최대 72개월 무이자 파이낸싱을 지원한다. 세리토스 제네시스 또한 전기차 GV60을 대상으로 24개월 동안 월 359달러 리스 등 옵션을 제공한다.     테슬라는 모델 3와 모델 Y를 중심으로 리스 인센티브와 자율주행 기능 한 달 무료 체험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모델 3는 조건에 따라 최대 60개월 무이자 파이낸싱이 가능하다.     이 밖에 세액공제 대상이 아닌 브랜드 차들도 이례적인 특가를 내놓고 있다. 일례로 글렌데일 뉴센추리 복스왜건 딜러십에선 2025년형 ID.4 프로 S를 대상으로 24개월 리스 계약 시 4995달러 다운페이먼트에 월 납입금 79달러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전기차 지원금 혜택을 받으려면 차량 인도, 수혜 차량 목록 등을 반드시 잘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9월 말 이전 차량 인도 조건을 충족하는 계약을 확보하지 못하면 공제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계약 시점과 인도 일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전기차 세제 혜택 수혜 대상 브랜드, 모델 및 연식은 에너지부 웹사이트(fueleconomy.gov/feg/tax2023.shtml)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훈식 기자초읽기 크레딧 전기차 세액공제 전기차 구매자 전기차 소비자들 기획 박낙희 자동차 전기차 리스 무이자 인센티브 Auto News

2025.07.23. 20:18

썸네일

온주정부 자동차 지원책 실효성 논란

  온타리오 주정부가 자동차 산업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각종 지원 프로그램이 실제로는 중소기업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캐나다독립사업자연맹(CFIB)은 7월 1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부터 수리업체에 이르기까지 187개 중소 자동차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대다수 업체가 관세 여파로 매출이 평균 13% 감소했고, 절반은 투자 계획을 취소하거나 중단했다고 밝혔다.   보고서 공동 저자이자 CFIB 온타리오 정책분석관인 조셉 팔자타는 “무역 정책이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상황에서 사업주가 상황을 파악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정부 지원책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온타리오 주정부는 부품 공급업체의 장비 현대화를 위한 ‘자동차 현대화 프로그램’과 연구개발(R&D) 지원을 위한 ‘차량 혁신 네트워크’를 포함해 약 8,500만 달러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해당 프로그램들이 대기업 중심의 R&D와 제조 혁신에 치우쳐 있어 중소기업의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응답 기업 중 3분의 1 이상이 해당 프로그램의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또한 ‘온타리오 투게더 무역기금’은 매출이 30% 이상 감소한 기업만 신청할 수 있으며, 자체 자금 20만 달러를 확보해야 하는데, 보고서는 “이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제개발부 대변인 제니퍼 컨리프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우리는 중소기업을 보호하고 육성해 왔다”며, 관련 프로그램으로 수백 개의 중소기업이 이미 지원을 받았다고 반박했다.   CFIB는 정부가 중소기업 실질 지원을 원한다면, 소기업 세율을 현재의 3.2%에서 2%로 인하할 것을 촉구했다. 해당 세율은 2020년 3.5%에서 한 차례 인하된 바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자동차 지원책 자동차 현대화 정부 지원책 자동차 부품

2025.07.22. 9:13

썸네일

중고차도 2만불 미만 저가 매물 사라진다

중고차 시장에서 2만 달러 이하 저가 매물의 비중이 6년 전과 비교해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저렴한 중고차를 찾는 일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정보 분석업체 ‘아이씨카스’가 최근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LA메트로 지역에서 판매된 3년 된 중고차 가운데 가격이 2만 달러 미만인 차량은 전체의 13%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 2019년 전체의 53%였던 것에 비해 무려 76% 감소한 수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업계 전반적으로 상승한 중고차 가격이 유력하게 지목된다. 업체들이 신차에 더 높은 사양의 기능을 탑재하면서 출고가 자체가 점점 더 높게 책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LA에서 3년 된 중고차의 평균 가격은 2019년 2만3200달러에서 올해 3만3200달러로 1만 달러(43%)나 상승했다.     에덴자동차의 제이 장 부사장은 “중고차 가격 상승은 수년간 제조사들이 MSRP를 올려온 데 따른 것”이라며 “게다가 최근 운전자들은 가격 부담에 차량을 더 오래 소유하는 추세로, 재고 또한 넉넉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이씨카스의 칼 브라우어 수석 애널리스트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팬데믹으로 인한 신차 생산 차질이 지금의 중고차 시장 부족 사태를 만들었다”며 “이제는 중고차를 사려는 소비자들이 더 나쁜 조건의 매물을 더 비싸게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근 차량 구매에 필요한 오토론 이자율도 6년 전 대비 크게 올라 구매 여건을 악화시키고 있다. 올해 이자율 7.4% 기준 3만3200달러짜리 중고차를 5년 할부로 구매하면 월 납부금은 660달러에 달한다. 총 납부액은 이자를 포함해 3만9600달러다.   반면 2019년 동일한 수준의 차량은 4.6% 이자율로 월 430달러, 총 2만5800달러에 살 수 있었다. 즉, 5년간 부담이 53%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LA에서 임금 상승률이 32%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소비자가 체감하는 실질적인 금융 부담은 더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중고차의 가격 문제는 전국적으로도 상황이 비슷했다. 2만 달러 미만 중고차의 판매 비중은 전국 기준 2019년 49%에서 올해 11.5%로 급감하며 77% 하락했다. 3년 된 중고차의 평균 가격은 3만2600달러로, 6년 새 9400달러(41%)나 올랐다.   보고서는 가주 내에서도 대부분의 대도시에서 저가 중고차 비중이 큰 폭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새크라멘토는 2만 달러 이하의 차량 매물이 같은 기간 51%에서 12%로 감소해 77% 하락, 전국 26위 감소 폭을 기록했다. 샌프란시스코는 45%에서 13%(-72%), 샌디에이고는 53%에서 14%(-74%), 프레즈노는 57%에서 17%(-71%)로 나타났다.   전국 50개 대도시 중 33곳이 LA보다 더 큰 폭의 저가 차 비중 하락을 기록했다.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지역은 보스턴으로, 2019년 45%였던 저가 차 비중이 올해 7%로 줄며 86% 급감했다. 미니애폴리스는 7%로 85% 감소, 하트포드는 9%로 83% 감소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상대적으로 중고차 구매 여건이 나은 지역으로는 마이애미가 21%로 62% 감소, 라스베이거스는 17%로 69% 감소, 올랜도의 경우 18%로 66% 감소했다. 우훈식 기자중고차 저가 중고차 시장 중고차 가격 신차 오토론 박낙희 자동차 전기차 LA Auto News

2025.07.09. 20:13

썸네일

2026년 텍사스 자동차 보험료 급등 예상

 2026년 텍사스 거주 운전자들의 평균 자동차 보험료가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마켓워치’(MarketWatch)가 최근 공개한 각 주별 2026년 예상 연간 차량 보험료 비교 자료에 따르면, 텍사스 운전자들의 2025년 연 평균 자동차 보험료는 풀-커버리지(full-coverage) 기준 2,863 달러로 2024년 대비 평균 44달러 올라 인상률이 2%에 그쳤으나, 2026년에는 3,078 달러로 올해보다 215달러나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텍사스의 연평균 자동차 보험료가 사상 처음으로 연간 3,000 달러를 돌파하게 될 전망이라는 것이다. 약 3천만명의 인구를 보유해 미국 최대 보험 시장 중 하나인 텍사스의 자동차 보험료 수준은 2025년 기준으로도 51개주(워싱턴DC 포함) 가운데 10번째로 비싼 주지만 2026년에 3,078 달러로 오르면 8번째 비싼 주로 기록된다. 연간 중간 소득이 7만5,780 달러인 텍사스에서 2026년 차량 보험료 예상치는 연소득의 약 4.06%를 차지하게 된다. 텍사스의 이러한 보험료 급등 추세는 전문가들이 경고하는 전국적인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즉, 잠시 안정된 뒤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인 차량 보험료는 수백만명의 운전자를 재정적으로 매우 힘들게 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2025~2026년 연평균 자동차 보험료와 인상 폭이 가장 높은 주는 루이지애나로 2025년 $3,481에서 2026년에는 $3,742로 $261가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2위는 플로리다($3,229→$3,471/$242↑), 3위 워싱턴 D.C.($3,209→$3,450/$241↑), 4위 콜로라도($3,171→$3,408/$238↑), 5위는 캘리포니아($2,967→$3,190/$223↑)였다. 6~10위는 미시간($2,918→$3,137/$219↑), 네바다($2,889→$3,105/$217↑), 텍사스($2,863→$3,078/$215↑), 뉴저지($2,837→$3,050/$213↑), 조지아($2,822→$3,033/$212↑)의 순이었다. 반면, 2026년 연평균 차량 보험료 예상치가 제일 낮은 주는 버몬트($1,746/전국 51위)였으며 이어 하와이($1,776/50위), 오하이오($1,814/49위), 메인($1,833/48위), 와이오밍($1,841/47위)의 순으로 낮았다. 이밖에 펜실베니아주는 $2,717(전국 18위), 뉴욕주는 $2,644(23위), 일리노이주는 $2,215(39위)였다.   손혜성 기자텍사스 자동차 연평균 자동차 자동차 보험료 텍사스 자동차

2025.07.07. 9:43

썸네일

메릴랜드 가장 싼 자동차 보험은 어디?

유에스뉴스&월드리포트가 1일 메릴랜드에서 가장 저렴한 자동차보험을 조사 발표해 관심을 끌고 있다. USAA와 가이코(Geico)가 메릴랜드에서 가장 저렴한 자동차보험을 제공하는 데, 가이코는 일반에게 제공되는 반면 USAA는 군인과 그 가족에게만 한정된다.   USAA의 연평균 보험료는 790달러로 메릴랜드 주 전체 연평균 보험료인 1468달러보다 훨씬 저렴하고 가이코는 982달러이다. 전국 전체를 대상으로 하면 USAA는 2위, 가이코는 4위에 올라 있다. 대체적으로 보험료가 상당히 높은 편인 10대 초보 운전자들에게도 USAA와 가이코가 비교적 저렴하게 적용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메릴랜드 주 성인 운전자의 자동차보험료 평균을 놓고 볼 때 여성은 연간 1433달러, 남성은 연간 1426달러인 데 비해 USAA는 여성 762달러, 남성 749달러 그리고 가이코는 여성 898달러, 남성 939달러이다. 노인 운전자의 경우 USAA는 여성 연간 712달러, 남성 연간 710달러에 불과하며, USAA 가입 자격이 없더라도 가이코의 노인 샘플 요금은 연간 1000달러 미만이다.   과속 운전 기록이 있는 경우 USAA는 연간 931달러인 반면 타 보험회사는 많게는 3195달러까지로 천차만별이다. 또한 메릴랜드에서 음주운전 적발 시 일반적으로 1회에 43% 정도 인상하는 데 가이코는 연간 1230달러로 비교적 저렴한 편에 속한다. 한편, 메릴랜드 주에서 요구하는 보험 한도는 신체 상해 1인당 3만달러, 사고당 6만달러, 재산 피해 사고당 1만5000달러 정도로 알려지고 있다.   김성한 기자 [email protected]메릴랜드 자동차 자동차보험료 평균 자동차 보험 연평균 보험료

2025.07.01. 12:3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