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선조 독립운동 사실 이제라도 인정 받아 기뻐

Los Angeles

2025.09.15 20:4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독립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얼굴 찾은 독립유공자<상>
건국훈장 애족장 호시한 지사
가족들 기사 보고야 사실 알아
그동안 자료 부족 유공자 포기
광복 80주년을 맞아 미주중앙일보가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과 공동 주관하고 뱅크오브호프가 후원한 ‘독립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를 통해 LA 로즈데일 묘지에 잠든 독립유공자 34명의 존재가 확인됐다. 그중 한 명인 호시한(건국훈장 애족장·2021) 지사는 오랫동안 사진조차 남지 않은 ‘얼굴 없는 독립유공자’로 기억돼 왔다. 그러나 본지 보도를 계기로 후손들이 뒤늦게 선대가 독립유공자로 지정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가족이 보관해온 임시정부 발행 여권 등 희귀한 역사 자료들이 세상에 처음 공개되면서 숨은 역사가 다시 살아났다. 
 
지난 2일 LA 로즈데일 묘소 앞에서 호시한 지사의 가족들이 사진을 들고 있다. 오른쪽부터 호 지사의 막내아들 호재경(88), 손자 호윤진(77), 호윤진씨의 아내 호희선(77)씨. 김상진 기자

지난 2일 LA 로즈데일 묘소 앞에서 호시한 지사의 가족들이 사진을 들고 있다. 오른쪽부터 호 지사의 막내아들 호재경(88), 손자 호윤진(77), 호윤진씨의 아내 호희선(77)씨. 김상진 기자

호시한 지사

호시한 지사

수십 년간 묘소를 돌봐온 후손들조차 묘소의 주인이 독립유공자로 지정된 사실을 몰랐다. 매년 기일마다 묘소를 찾았지만 꿈에도 몰랐던 일이다.  
 
LA로즈데일 묘지에 안장된 호시한(2021년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지사의 후손들은 이런 사실을 알고 반가움과 자랑스러움이 함께 했다. 호 지사의 후손들이 뒤늦게나마 이를 알 수 있었던 것은 본지의 독립유공자 묘소 찾기 기사를 통해서였다.
 
호 지사의 막내아들 호재경(88)씨와 손자 호윤진(77)씨 부부는 최근 함께 묘소를 찾았다. 호윤진씨는 “미주중앙일보 기사에서 할아버지 이름을 보고 놀랐다”며 “매년 기일마다 이곳을 찾아왔지만 독립유공자로 지정됐다는 사실을 이번에 알았다”고 말했다.
 
호씨 가족은 수십 년간 매년 호 지사의 기일인 2월 7일 묘소를 찾았다고 한다. 그러나 지사의 독립운동 유공자 지정은 가족에게조차 정확히 전달되지 않았다.  
 
호윤진씨는 “할아버지가 독립운동을 하셨는데 한국 정부가 그걸 인정해줬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며 “한국 보훈부가 할아버지에 대해 어떻게 알게 됐고, 어떤 근거로 선정했는지도 알고 싶다”고 말했다.
 
본지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지난 5월 부터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 등과 함께 ‘독립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LA한인타운 인근 로즈데일 묘지의 독립유공자 묘소 34기를 확인하고 이름과 사진를 함께 보도했다.〈본지 8월 15일 A-2면〉그러나 호 지사의 경우 국가보훈부 자료에도 사진이 없는 관계로 얼굴 없이 이름만 명단에 올려야 했다. 호 지사의 후손들과도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여서 자료 확보가 쉽지 않았다. 다행스럽게도 호 지사의 후손이 본지 기사를 보고 독립 유공자 지정 사실을 알게 돼 그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임시정부 군자금 모금·LA독립신문 활동
 
호 지사의 딸인 호재숙(95·한국 거주)씨는 오래전부터 부친이 독립운동을 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자료 부족으로 독립유공자 등록을 포기했다고 한다.  
 
그는 “아버지가 독립운동을 했다는 걸 사람들이 꼭 알았으면 좋겠다”며 “어떤 보상이나 혜택을 바라는 게 아니라 역사적 사실로 인정 받았으면 하는 마음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호재숙씨는 “미주중앙일보의 기사를 보고 너무나도 기뻐서 밤잠까지 설쳤다”고 덧붙였다.
 
호윤진씨는 본지 기사 내용을 곧바로 한국에 거주는 고모 호재숙씨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호재숙씨는 독립유공자 훈장 전수도 신청했다.  
 
현재 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에는 아직 호 지사의 사진이 등록돼 있지 않은 상태다. 여전히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로 남아 있다. 이번에 호 지사의 후손이 선대의 독립 유공자 지정 사실을 알게됨에 따라 훈장 전달 절차도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호 지사는 1908년 샌프란시스코 한인공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에 나섰다. 1914년 네브라스카 헤이스팅스에서 소년병학교 설립에도 참여했다. 1920년 한국에서 임시정부 군자금 모집을 추진하다 체포됐으나 무죄로 풀려났고, 이후 상하이를 거쳐 미국으로 돌아왔다.  
 
1930년에는 동맹단연회 결성을 독려하고 동지회 나성지부에서 활동했으며, 1927년부터 1945년까지 항일자금과 광복군 후원금을 꾸준히 지원했다. 1943~44년에는 'LA 독립신문' 사우로도 활동했다.  

강한길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