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카운티 라구나비치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교통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 라구나비치 경찰국은 5월 20일 오후 4시 14분경, 웨슬리 드라이브와 몽타주 리조트 드라이브 사이 해안도로에서 부상자 발생 교통사고 신고를 접수하고 긴급 출동했다. 하지만 경찰의 초기 조사 결과, 사고는 도로 위에서 발생한 것이 아닌 인근 식료품점 주차장에서 시작되어 약 40피트 아래 절벽으로 차량이 추락하며 마무리된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 차량은 겔슨스 마켓(Gelson’s Market)의 상부 주차장에서 운전 연습 중이던 청소년 운전자가 몰고 있었으며, 차량에는 성인 남성 한 명이 동승해 있었다. 경찰에 따르면 차량은 주차장 울타리를 들이받고 절벽 아래로 추락했다. 차량은 해안도로 옆 비탈길을 따라 뒤집힌 채 멈춰섰으며, 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했을 때 운전자는 중상을 입고 미션 비에호에 위치한 미션병원으로 이송되었다. 그러나 동승자인 성인 남성은 현장에서 사망이 확인됐다. 운전자와 사망자의 관계는 공개되지 않았으며, 정확한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이다. 경찰은 추가 정보가 확인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AI 생성 기사운전자 동승자 운전자 중상 차량 추락 청소년 운전자
2025.05.27. 11:30
가주 운전자들이 개솔린 가격 담합과 관련된〈본지 2024년 10월 3일자 A-3면〉피해 보상금을 받고있다. 관련기사 개스값 담합 합의금 신청접수…2015년 2~11월 구입자 해당 8일 LA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가주 법무부는 지난달 말부터 보상금 지급을 시작했으며, 100만 명 이상의 신청자들에게 21.65달러가 전달되고 있다. 지급은 체크, 은행 계좌 이체, 벤모(Venmo) 중 신청자가 선택한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번 배상은 지난 2015년 2월 발생한 토런스 엑손모빌 정유공장 폭발 이후 이득을 취한 혐의로 기소된 3개 정유 트레이딩 회사와의 합의에 따른 것이다. 주정부는 네덜란드 석유 거래 업체 '비톨 (Vitol)'과 SK에너지 아메리카스, SK트레이딩 인터네셔널 등이 시장 교란을 이용해 개솔린 가격을 인위적으로 올렸다고 판단했다. 세 회사는 가주 반독점법(Cartwright Act) 위반 혐의로 기소됐고, 지난해 7월 총 5000만 달러 배상에 합의했다. 이 중 3750만 달러는 소비자 몫으로 배정됐다. 이번 지급은 2015년 LA, 센디에이고 등 남가주 10개 카운티 주유소에서 개솔린을 넣고, 지난 1월 8일까지 보상금을 신청한 이들에게 순차 지급된다. 강한길 기자운전자 개스값 운전자들 개스값 보상금 지급 정유 트레이딩 한인 남가주 가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LA
2025.05.11. 20:05
켄터키주 루이빌의 I-65 고속도로 다리 위에서 대형 트럭이 추락 직전까지 매달리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트럭 운전자는 운전석에 갇힌 채 18분간 911에 전화해 구조를 요청했고, 소방 구조대는 로프 시스템을 이용해 무사히 구조에 성공했다. 운전자는 구조 당시 “지금 다리에서 매달려 있어요. 죽고 싶지 않아요”라며 떨리는 목소리로 911에 전화를 걸었다. 그는 “지금 차 안에서 움직이기도 무서워요. 곧 떨어질 것 같아요. 제발 도와주세요”라고 호소했다. 심지어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혹시 내가 살아남지 못하면, 이 통화 녹음을 제 가족에게 남겨주세요”라고 말해 구조대원의 마음을 더욱 절박하게 만들었다. 루이빌 소방당국의 브라이언 오닐 소방서장은 “고속도로 위에서 구조 작전을 펼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며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소방대는 로프 시스템을 이용해 구조대원을 트럭 운전석으로 하강시켰고, 대원은 트럭 운전자에게 하네스를 착용시킨 뒤 30분 만에 구조에 성공했다. 운전자는 다행히 생명을 건졌으며, 현재 경찰은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루이빌에서는 지난해에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해, 트럭이 다리에서 매달린 채 구조되는 장면이 전국적인 화제가 된 바 있다. AI 생성 기사운전자 다리 트럭 운전자 구조 요청 트럭 운전석
2025.05.06. 14:38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서 한 여성이 도로 위에서 마체테(날이 넓고 긴 칼)를 휘두르며 다른 운전자를 위협하는 장면이 두 차례 영상에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SNS에 공유된 영상 속에서 한 여성이 구형 토요타 4러너 차량을 몰며 다른 운전자와 누가 먼저 따라왔는지를 두고 언쟁을 벌였다. “나 여기 사는데요,”라고 말한 여성에게 촬영자는 “저도 여기 삽니다,”라고 응수했다. 잠시 후, 해당 여성은 차창 밖으로 마체테를 꺼내들고, “꺼져”라고 욕설을 퍼붓더니 상대에게 “가죽을 벗겨버리겠다(Skin you)”고 위협했다. 상대 운전자가 “내 가죽을 벗긴다고?”라며 웃자, 여성은 그대로 차량을 몰고 현장을 떠났다. 경찰은 사건 당일 출동해 관련 보고를 접수했으나, 현재까지 여성 운전자의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다. 더불어 경찰은 같은 여성이 2025년 2월 산타클라리타에서도 유사한 마체테 위협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영상에서도 해당 여성은 비속어를 사용한 후 마체테를 들고 위협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두 사건 모두 정확한 갈등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용의자에 대한 체포 여부나 수배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LAPD는 두 사건의 연관성과 여성의 신원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생성 기사운전자 가죽 여성 운전자 상대 운전자 해당 여성
2025.05.06. 13:47
교통사고 과실치사 전과자 10명 가운데 4명은 별 제재조치 없이 운전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층보도 매체인 캘매터스(CalMatters)는 지난 2019년 이후 가주에서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운전자 2600명을 분석한 결과 이중 40%(1040명)가 여전히 유효한 운전면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보도했다. 이들 중 약 400명은 사고 이후에도 또 다른 사고에 연루되거나 교통법규 위반으로 티켓을 받았다. 또 약 150명은 사건 발생 1년 이내에 면허를 재발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당수는 사고 이전부터 과속, 음주운전 등 반복적인 교통법규 위반 전력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일부는 유죄 판결 이후에도 면허를 유지하거나 재발급 받은 사례가 확인돼 가주차량국(DMV)의 관리 부실 문제도 지적됐다. 가주법에 따르면 운전자는 1년간 벌점 4점, 2년간 6점, 3년간 8점 이상이면 면허 정지 대상이다. 하지만, 과실치사 사건의 벌점은 2점에 불과하다. 또한 대부분의 과실치사 범죄엔 면허 정지 규정이 없어 유죄 판결을 받아도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구조적 허점이 존재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DMV가 공공안전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DMV의 근본적인 운전면허 관리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경준 기자과실치사 운전자 과실치사 운전자 일부 운전자 경범 과실치사
2025.04.16. 20:58
26일 LA 시청에서 라이드셰어 운전자들이 집회를 열고 우버 측과 중재를 앞두고 임금 절도 피해 보상을 촉구했다. 운전자들은 초과 근무 수당과 주행 거리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샌프란시스코와 샌디에이고에서도 집회를 계획 중이다. 라이드세어 운전자 노조 측은 이날 LA시 변호사에게 관련 문서를 제출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우버 또는 리프트에서 운전한 사람들은 보상을 받을 자격을 갖는다. 김상진 기자라이드셰어 운전자 라이드셰어 운전자들 보상 요구 라이드세어 운전자
2025.03.26. 20:06
귀넷 카운티에서 도로를 이탈해 노크로스의 한 타운홈 뒷쪽을 들이받은 차량의 운전자가 숨졌다. 이 차량은 지난 5일 비버 루인 로드 중앙분리대를 넘어 반대편 도로를 가로질러 722 서머 플레이스 타운홈으로 돌진했다. 이로 인해 이 주택의 벽과 지붕 일부가 부서지고 찢겨 나갔다. 사고 지점은 비버 루인 로드와 뷰포드 하이웨이 교차 지점이다. 조지아 고속도로 순찰대가 현장에 도착했을 때 운전자는 숨져 있었다. 사고 차량의 운전자는 81세의 게리 그라임스 씨로 확인됐으며, 조수석에는 82세의 부인이 타고 있었다. 부인은 노스 사이드 귀넷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목격자들은 차량이 비버 루인 로드 서쪽 방향으로 주행하던 차량이 알 수 없는 이유로 갑자기 차선을 벗어나 중앙분리대를 치고, 이후 30피트 높이의 옹벽을 넘어 타운홈 2층 뒷쪽 벽을 들이받았다고 전했다. 김지민 기자타운홈 운전자 운전자 타운홈 로드 중앙분리대 로드 서쪽
2025.03.06. 14:12
로스앤젤레스 경찰국(LAPD)이 주말 동안 카르데이(Carthay) 지역에서 발생한 운전자 폭행 사건을 조사 중이다. 해당 폭행은 영상으로 촬영돼 SNS에 공유되었다. ▶영상 보기 사건은 토요일 오후 4시 30분경 샌비센테 대로(San Vicente Boulevard)와 맥카시 비스타(McCarthy Vista) 교차로에서 발생했다. 목격자들은 피해자가 자전거를 탄 20~30명의 청소년들과 “말다툼”을 벌였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경찰에 따르면, “몇몇 용의자들이 피해 차량을 때리고 발로 차자, 피해자가 차량에서 내려 그들과 대면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신체적 충돌이 발생했다. 해당 사건을 촬영해 인스타그램에 올린 목격자의 영상에는 십여 명의 청소년들이 운전자를 주먹으로 때리고 발로 차는 장면이 담겼다. 이후 또 다른 청소년들이 가세해 폭행에 가담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영상을 공유한 목격자는 당시 리프트(Lyft) 차량을 타고 이동 중이었으며, 운전기사와 함께 피해자를 돕기 위해 차에서 내렸다고 밝혔다. 해당 운전자는 “전직 군인”으로 묘사됐다. 그는 “다행히도 가해자들이 피해자에게 두부 외상과 얼굴 다발성 열상을 입힌 후 다시 자전거를 타고 떠났다”고 전했다. 경찰에 따르면 피해자는 심각한 부상을 입지는 않았으며, 병원 이송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LA 시의회 의원 케이티 야로슬랍스키(Katy Yaroslavsky)는 월요일 성명을 통해 “폭행을 당한 젊은 남성과 그의 가족에게 깊은 위로를 전하며, 피해자가 회복 중이라는 소식에 안도한다”고 말했다. 이어 “LAPD가 현재 사건을 적극적으로 조사 중이며, 경찰은 이번 사건이 증오 범죄라고 판단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폭력 행위는 어떤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다”며 “책임자들에게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해 관련 정보를 가진 시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를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사건과 관련한 정보를 가진 사람은 LAPD 카를로스 형사(Serial No. 41244)에게 213-922-8299로 연락하면 된다. 익명으로 제보를 원하는 경우 LA 지역 범죄 신고처(L.A. Regional Crime Stoppers) 1-800-222-TIPS(800-222-8477)로 전화하거나 www.lacrimestoppers.org를 방문하면 된다. 한편, 이번 사건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자전거를 탄 다수의 청소년들이 도로를 점거한 사례 중 하나다. 지난 1월에는 미드-윌셔(Mid-Wilshire) 지역의 올림픽 대로(Olympic Boulevard)와 림파우 대로(South Rimpau Boulevard) 인근에서 수십 명의 자전거 이용자들이 도로를 점거해 차량 통행을 막은 일이 있었다. 당시 한 운전자가 이들을 피해 도로의 반대편 차선으로 질주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관련기사 [영상] 벤츠 vs 자전거 집단의 아찔한 추격전...주차장서 보복 폭행까지 이후 해당 운전자의 차량은 인근 주차장에서 파손된 채 발견됐다. 현재까지 두 사건에 동일한 자전거 이용자들이 연루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경찰의 조사가 진행 중이다. AI 생성 기사집단폭행 운전자 운전자 폭행 해당 운전자 로스앤젤레스 경찰국
2025.02.25. 14:18
AI 생성 속보영상 무인택시 운전자 운전자 추적
2025.02.07. 10:25
60대 한인 남성이 프리웨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LA카운티 검시국은 김병철(65)씨가 지난 4일 하시엔다 하이츠 지역 60번 프리웨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숨졌다고 최근 밝혔다. 검시국에 따르면, 김씨는 이날 하시엔다 하이츠와 시티오브인더스트리 구간 60번 프리웨이 동쪽 방면의 하시엔다 불러바드 출구 쪽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이날 교통사고는 오전 11시쯤 적재 중량 3만 파운드의 화물트럭이 앞서가던 트레일러와 추돌하면서 발생했다. 검시국은 김씨 사인이 몸통 압박에 의한 기계적 질식이라고 전했다. 검시국 측은 LA소방국(LAFD)이 지난 4일 오전 11시 30분 현장에서 김씨 사망 선고를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교통사고의 유일한 희생자다. 캘리포니아고속도로순찰대(CHP) 산타페 스프링스 지부는 6일 김씨가 어느 차량에 탑승해 있었는지 묻는 본지 질문에 현재 정확한 교통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라며 답변을 거부했다. 다만, 이날 교통사고는 트레일러를 뒤따르던 화물트럭이 추돌하면서 운전석이 완파, 사망한 김씨는 화물트럭 운전자였을 가능성이 있다. 김경준 기자 [email protected]운전자 트럭 한인 운전자 트럭 추돌 한인 남성
2025.02.06. 21:56
새해 들어 운전자 및 보행자 안전을 위한 새로운 교통법규가 시행된다. 캘리포니아 차량등록국(DMV)은 법안으로 마련된 교통법규 내용 숙지 및 실천을 당부했다. 새롭게 시행되는 주요 교통법규를 알아봤다. ▶번호판 훼손 또는 변조 금지(AB2111) 차량 운전자는 번호판에 반사 코팅을 해 전자기기의 번호판 감지를 방해하는 행위를 할 수 없다. 통행료 또는 번호판 감지 카메라 회피 꼼수를 막기 위함이다. ▶차량 추적 및 원격 접근(SB 1394) 차량 제조사는 운전자가 특정 상황에서 차량 및 차량의 위치에 대한 원격 접근을 종료할 수 있도록 의무화했다. 제조사는 운전자에게 제조사의 원격 접근 해지 요청을 제출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해야 한다. ▶운전 모니터링 차단 장치(SB1313) 고급 운전 지원 시스템 또는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차량에서 운전자 등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무력화하거나 방해하는 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최근 자율주행 차량 주행 시 운전자가 안전 운전 모니터링을 피하기 위해 별도 장치를 설치하는 행위를 막기 위함이다. ▶자율주행차 교통법규 위반 통지(AB1777) 이 법안은 자율주행차가 교통법규 위반 시 경찰이 자율주행차 제조사에 ‘자율주행 차량 규정(AV) 미준수 통지’를 발급할 수 있다. 2026년 7월 1일부터 자율주행차는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을 경우 구급차 등과 상호작용을 위한 양방향 장치를 구축해야 한다. ▶차량 절도 및 도난 품목 확대(AB2536) 차량 침입 및 절도 범죄(Vehicle Break-Ins and Theft) 피해 품목에 촉매 변환기 등을 포함하도록 했다. 또한 지방 정부가 차량 등록비를 활용한 차량 관련 범죄 단속 권한도 확대했다. ▶사이드쇼 및 거리 점거(AB1978·AB2186·AB2807·AB3085) 도로나 공터에서 불법 자동차 경주나 도로 점거(Sideshow and Street Takeovers) 단속이 강화된다. 경찰은 프리웨이 또는 도로에서 불법 경주를 벌이거나 통행을 방해하는 방해물 등을 설치할 경우 차량 운전자 구속과 별도로 차량을 최대 30일 압수할 수 있다. 또한 법 집행 기관은 차량을 압수할 수 있는 범죄 목록을 확대했다. ▶말리부 속도 안전 시범 프로그램(SB 1297) 말리부시는 5년 동안 자동화된 과속 단속 시스템을 도입한다. LA, 샌호세, 글렌데일, 롱비치 등에서도 해당 시범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전기 자전거 안전 시범 프로그램(AB1778·AB2234) 마린 카운티는 2029년 1월 1일까지 16세 미만 청소년의 전기 자전거(Class 2) 탑승을 금지한다. 샌디에이고 카운티도 2029년 1월 1일까지 12세 미만 청소년의 전기 자전거(Class 1 또는 2) 탑승을 금지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교통법규 운전자 자율주행차 교통법규 교통법규 시행 차량 운전자
2025.01.06. 20:15
12일 새벽 21세 남성이 운전한 차량이 교통사고를 낸 뒤 하늘로 떠올라 치노의 한 주택 집 위층 발코니 지역에 떨어졌다. 제이콥 토레스가 운전하던 포드 머스탱 차량은 새벽 12시 20분쯤 샌안토니오 애비뉴 인근에서 과속으로 달리다 펜스와 배수로의 콘크리트를 들이받은 뒤 해당 주택으로 충돌했다. 해당 집에 거주하는 안드레아 코브제프는 “침대에서 자고 있었는데 비행기가 우리 집에 충돌하는 것과 같은 소리가 들렸다”고 말했다. 그는 “잠에서 깨어나 보니 집 2층에 차가 추락해 있었다”며 “정말 끔직했다”고도 했다. 코브제프는 차가 주행한 것으로 추정되는 도로에는 평소에도 과속과 위험한 방식으로 원을 그리며 주행하는 사람들이 자주 찾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차량에는 총 네 명이 탑승해 있었다. 동승자 중 한 명은 19세, 나머지 둘은 미성년자이며 운전자와 함께 모두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운전자는 위중한 상태이며 다른 동승자들의 상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KTLA 방송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경찰은 운전자가 사건 당시 술에 취한 상황이었을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차가 들이받은 집은 큰 피해를 봤지만 집 안에 있던 사람들은 아무도 다치지 않았다. 치노 경찰은 사고를 목격했거나 사건 당시를 촬영한 영상이 있는 목격자는 전화(909-334-3081)로 신고해달라고 밝혔다. 온라인 뉴스팀운전자 배수로 과속 운전자 해당 주택 주택 2층
2024.11.12. 16:34
자전거 운전자 자전거 운전자
2024.10.25. 16:09
10일 오후 LA 5번 프리웨이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해 한 명이 숨지고 한 명이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번 사건은 운전자 간의 갈등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연쇄 추돌 사고 등으로 이어져 5번 프리웨이 상행선이 7시간 이상 폐쇄되는 상황이 이어졌다. 캘리포니아 고속도로순찰대(CHP)에 따르면 금색 캐딜락 차량과 총격범으로 추정되는 사람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이런 과정에서 캐딜락 차량은 관계없는 차량 한 대와 추돌했다고 한다. 캐딜락이 충돌하자 용의자들은 타고 있던 차에서 내려 캐딜락 안에 있는 사람들을 향해 총을 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격으로 조수석 탑승자는 사망했고 운전자는 병원으로 이송됐다. CHP는 “용의자들이 탑승한 듀랑고 차량은 현장에서 도주했으며 (해당 차량에 탑승한) 용의자들은 두 명의 히스패닉 남성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 용의자는 최대 3명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모두 도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용의자들에 대한 추가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한편 평소에도 교통 체증이 극심한 곳으로 알려진 5번 프리웨이에서 퇴근 시간인 오후 4~5시에 사건이 발생, 정체가 매우 심각했다. 통행은 11일 새벽에야 재개됐다. 온라인 뉴스팀프리웨이 운전자 갈등 총격 프리웨이 상행선 캐딜락 차량
2024.10.11. 14:50
차를 과속으로 몰다 인도를 걷던 한인여고생 등 2명을 치어 살해한 범인에게 고작 징역 4년형이 선고돼 유가족이 반발하고 있다. 버지니아 페어팩스카운티 법원 랜디 밸로우 판사는 피고 우스먼 사히드(사진·사건 당시 18세)에게 징역 4년형과 보호관찰 3년형을 선고했다. 과실치사 혐의 한 건당 2년씩 모두 4년형으로, 지난 4월 배심원단의 징역 4년 권고를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사히드가 사고를 낸 건 지난 2022년 6월7일이다. 당시 도로 주행 연습을 위한 임시면허만 소지했던 사히드는 3명의 동승자를 태운 채 흰색 BMW 승용차를 운전하다 브레이크 레인과 파이브 오크스 로드 교차로에서 81마일로 과속 질주했다. 사히드의 BMW 차량은 맞은편에서 좌회전하려던 도요타 포러너와 충돌한 뒤 갓길 인도를 덮쳐 길을 걷던 한인 리안 안(당시 15세)양과 애다 가브리엘라 마르티네즈 놀라스코(당시 14세)가 사망했다. 안양과 놀라스코는 오크톤 고교에 재학 중이던 친구 사이다. 무남독녀 외동딸 리안양을 잃은 어머니 이영진씨는 이날 선고 재판에 출석해 피해자의 낮은 형량에 눈물을 흘리며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씨는 “딸과 함께 했던 15년은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고 찬란했던 시기였다. 내 딸은 자랑스러운 딸이었고 사랑스러운 보물이었다”며 “2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눈물로 밤을 지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고 당시 현장의 참혹함이 아직도 생생한데 배심원단의 낮은 실형 권고는 뺨을 맞은 것처럼 모욕적”이라며 “숨진 아이들 1명당 고작 2년형이라니 생명의 가치가 그것밖에 되지 않는가. 내 딸과 친구 삶의 존엄성은 어디서 찾아야 하는가”라고 되물었다. 이에 재판부는 버지니아 형법 상 배심원단의 실형권고안보다 많은 실형을 선고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피고도 피해자 유가족에게 사과했으나 진정성을 느끼기 어려웠다는 지적이 많았다. 피고의 변호인은 “피고가 음주나 마약을 한 상태나 악의적인 범행도 아니었고 단순히 운전할 때 최악의 판단을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변호인에 따르면 사히드는 단지 제한속도 35마일 도로에서 노란불이 빨간불로 바뀌기 전에 빨리 지나가기 위해 81마일로 달렸을 뿐이라는 설명이다. 김옥채 기자여고생 운전자 과속 질주 한인 여고생 과실치사 혐의
2024.09.10. 21:59
자신을 추격하는 경찰을 피해 과속으로 달아나다 추돌사고를 내, 앞차에 타고 있던 두 어린 형제를 숨지게 한 20대 운전자가 결국 살인혐의로 법정에 서게 됐다. 샌디에이고 카운티 수피리어 코트에 따르면 엔젤 벨라스케스 살가도(20)는 지난 2023년 12월8일 마운트 뷰 지역의 805 프리웨이 상 43번가 스트리트 출구에서 앞서 가던 승용차를 들이받았다. 당시 살가도가 운전하던 BMW의 헤드라이트가 꺼져 있는 것을 확인한 경찰이 정지할 것을 명령했으나 살가도는 이를 무시하고 달아나다 사고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살가도에게 차량의 뒷부분을 받힌 승용차는 그 충격으로 전복돼 화재가 발생했으며 피해 차량에 타고 있었던 말리카이 오로즈코-로메로(8)와 메이슨 오로즈코-로메로(4) 형제가 중상을 입고 결국 사망했다. 한편 이 치명적인 사건으로 샌디에이고 경찰의 차량 추격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목소리고 커지고 있으며 시정부의 관련 위원회에서 이를 심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추돌사고 운전자 운전자 살인혐 과속 추돌사고 형제 사망
2024.08.08. 20:53
텍사스는 무모한 운전자가 미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주일 뿐 아니라 음주운전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사고 건수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주인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최대의 교통사고 전문 로 펌 중의 하나인 ‘반스 펌’(The Barnes Firm)이 51개주(워싱턴DC 포함)를 대상으로 조사한 ‘무모한 운전자가 많은 주’(States with the Most Reckless Drivers) 자료(2022년 기준)에 따르면, 텍사스는 캘리포니아주에 이어 무모한 운전자가 가장 많은 두 번째 주이며 음주운전과 관련된 치명적인 충돌사고 건수는 전국 1위를 기록했다. 반스 펌은 각 주별로 주의산만(Distracted)·과속(Speeding)·음주(Alchohol) 운전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사고 건수,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 건수, 노상 분노(Road Rage) 운전자 비율, 무보험 운전자 비율을 조사해 종합점수를 산출, 각 주의 순위를 정했다. 종합점수 9.1점으로 ‘무모한 운전자가 많은 주’ 전국 2위에 이름을 올린 텍사스는 주의산만한 운전자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447건, 과속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1,393건, 음주운전과 관련된 치명적인 충돌 건수는 3,143건으로 51개주 가운데 가장 많았다. 또한 텍사스는 노상 분노 문제에 직면해 있는 운전자 비율도 82.23%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텍사스의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 건수는 228.9건이었고 무보험자 비율은 전체 운전자의 8.30%였다. 텍사스의 면허를 취득한 운전자수는 1,829만7,900명으로 캘리포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무모한 운전자가 가장 많은 주 전국 1위는 캘리포니아였다. 캘리포니아는 주의산만(Distracted)·과속(Speeding)·음주(Alchohol) 운전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사고 건수가 모두 텍사스에 비해 적었지만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 건수는 311명으로 전국 최고였고 무보험자 비율도 전체 운전자의 무려 16.60%에 달해 결국 전국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캘리포니아의 면허 취득 운전자수는 총 2,711만2,595명이었다. 3위는 애리조나였고 플로리다가 4위, 콜로라도가 5위를 기록했다. 6~10위는 미조리, 오하이오, 뉴욕, 뉴 멕시코, 알라배마주의 순이었다. 이밖에 일리노이는 11위, 조지아는 14위, 펜실베니아는 18위였다. 반면, 무모한 운전자가 가장 적은 주는 워싱턴DC(전국 51위)였으며 이어 델라웨어, 아이다호, 버몬트, 뉴 햄프셔, 매사추세츠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워싱턴DC의 경우, 주의산만한 운전자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2022년 한해동안 2건, 과속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11건, 음주운전과 관련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18건으로 모두 전국 최저치였고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 건수도 3.2건으로 역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다만, 노상 분노 운전자 비율과 무보험 운전자 비율은 각각 30.22%, 19.10%로 다소 높은 편에 속했다. 손혜성 기자텍사스 운전자 운전자 비율 분노 운전자 무보험 운전자
2024.07.31. 7:59
미국 최대의 교통사고 전문 로 펌 중의 하나인 ‘반스 펌’(The Barnes Firm)이 51개주(워싱턴DC 포함)를 대상으로 조사한 ‘무모한 운전자가 많은 주’(States with the Most Reckless Drivers) 자료(2022년 기준)에 따르면, 콜로라도는 미전국에서 5번째로 무모한 운전자가 가장 많은 주로 기록됐다. 반스 펌은 각 주별로 주의산만(Distracted)·과속(Speeding)·음주(Alchohol) 운전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사고 건수,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 건수, 노상 분노(Road Rage) 운전자 비율, 무보험 운전자 비율을 조사해 각 주의 순위를 매기는 종합점수를 산출, 최종 순위를 정했다. 종합점수 6.8점으로 ‘무모한 운전자가 많은 주’ 전국 5위에 이름을 올린 콜로라도는 주의산만한 운전자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64건, 과속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260건, 음주운전과 관련된 치명적인 충돌 건수는 432건,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건수는 422건이었다. 또한 콜로라도는 노상 분노 문제에 직면해 있는 운전자 비율도 61.28%로 매우 높은 편이었고 무보험자 비율도 전체 운전자의 16.30%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콜로라도의 면허를 취득한 운전자수는 총 441만1,587명이었다. 무모한 운전자가 가장 많은 주 전국 1위는 캘리포니아였다. 캘리포니아는 주의산만(Distracted)·과속(Speeding)·음주(Alchohol) 운전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사고 건수가 각각 142건, 1,285건, 2,385건으로 모두 최상위권이었고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 건수는 311명으로 전국 최고였으며 무보험자 비율도 전체 운전자의 무려 16.60%에 달해 전국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캘리포니아의 면허 취득 운전자수는 총 2,711만2,595명이었다. 2위는 텍사스였고 애리조나가 3위, 플로리다가 4위, 콜로라도가 5위를 기록했다. 6~10위는 미조리, 오하이오, 뉴욕, 뉴 멕시코, 알라배마의 순이었다. 이밖에 일리노이는 11위, 조지아는 14위, 펜실베니아는 18위였다. 반면, 무모한 운전자가 가장 적은 주는 워싱턴DC(전국 51위)였으며 이어 델라웨어, 아이다호, 버몬트, 뉴 햄프셔, 매사추세츠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워싱턴DC의 경우, 주의산만한 운전자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2022년 한해동안 2건, 과속으로 인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11건, 음주운전과 관련된 치명적인 충돌 건수가 18건으로 모두 전국 최저치였고 주민 10만명당 음주운전 체포 건수도 3.2건으로 역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다만, 노상 분노 운전자 비율과 무보험 운전자 비율은 각각 30.22%, 19.10%로 다소 높은 편에 속했다. 이은혜 기자운전자 무모 운전자 비율 분노 운전자 무보험 운전자
2024.07.29. 15:59
칼렉시코 국경 검문소를 통해 75만여 달러의 현금 반입을 시도하던 30대 운전자가 당국에 적발돼 소지하고 있던 현금을 모두 압수당했다 연방 세관국경보호국(CBP)에 따르면 지난 10일 오후 4시경 이 국경 검문소를 통해 입국하려던 픽업 트럭을 2차 조사한 결과, 예비 타이어 안에 숨겨져 있던 75만6980달러의 현금 뭉치를 발견했다. 관련 법에 따르면 미국에 입국하거나 출국할 때 1만 달러가 넘는 현금을 소지하고 있을 때는 반드시 신고를 해야 한다. 이를 어기고 적발돼 현금을 압수당했을 경우, 당국에 추후 압수당한 현금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지만 그 돈을 합법적으로 취득했고 사용할 계획이라는 것을 반드시 입증해야 한다.운전자 현금 현금 국경 현금 반입 픽업 트럭
2024.07.25. 20:00
콜로라도 주내 대표적인 도시들인 덴버와 콜로라도 스프링스에는 타도시들에 비해 위험한 운전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일리노이주 노스브룩에 본사를 둔 미국 최대 보험사의 하나인 올스테이트(Allstate)는 올해로 16번째로 작성한 ‘미국 최고의 운전자 보고서’(America’s Best Drivers Report)를 최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미전국 인구가 많은 100대 도시들을 대상으로 올스테이트의 선택적 안전 운전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애리티(Arity)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애리티는 모바일 장치 센서를 사용하여 급제동(hard braking/1초에 7mph 이상 감속), 과속 주행(high speed/시속 80mph 이상), 휴대폰 사용(phone handling)과 같은 운전자의 위험한 행동을 추적한다. 모든 데이터는 운전자가 사는 곳이 아닌 여행 장소를 기반으로 한다고 올스테이트는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콜로라도 스프링스는 전국 60위, 덴버는 전국 84위에 랭크돼 두 도시 모두 하위권에 들었다. 순위가 낮다는 것은 주행중 위험한 행동을 하는 운전자 비중이 높다는 의미며 따라서 치명적인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올스테이트는 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안전 운전자가 가장 많은 도시 1위는 하와이주 호놀룰루였으며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가 2위, 워싱턴주 시애틀이 3위, 오레곤주 포틀랜드가 4위, 버지니아주 버지니아 비치가 5위를 차지했다. 6~10위는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워싱턴주 스포케인, 워싱턴 DC, 펜실베니아주 해리스버그, 네바다주 리노의 순이었다.반면, 최악의 운전자가 많은 도시들은 뉴 멕시코주 앨버커키(전국 100위), 루이지애나주 배튼 루지(99위), 캘리포니아주 무리에타/테메큘라/메니피(98위),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97위), 캘리포니아주 스탁튼(97위)이었다. 이밖에 주요 도시들의 순위는 휴스턴 26위, 샌프란시스코 29위, 뉴욕 32위, 달라스 40위, 보스턴 46위, 라스베가스 52위, 애틀랜타 59위, 로스앤젤레스 74위, 시카고 75위, 필라델피아 80위, 디트로이트 85위, 마이애미 90위 등이다. 전체 보고서 내용은 웹사이트(https://www.allstatenewsroom.com/news/bestdrivers2024/)를 참조하면 된다. 이은혜 기자운전자 안전 안전 운전자 운전자 보고서 운전자 비중
2024.07.23. 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