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여름은 부동산 시장에서 ‘이사 성수기’로 통한다. 특히 2025년에는 팬데믹 이후 주거 이동이 활발해지고 바잉 수요도 회복 중이다. 이런 시기에는 경쟁 매물도 많기 때문에, 내 집을 ‘제값 받고 빠르게’ 팔기 위해선 전략이 필요하다. 다음은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다섯 가지 팁이다. 첫 번째, 첫인상은 3초 안에 결정 난다. 프런트와 인테리어 스타일링에 투자하자. 가족사진, 종교 관련 장식, 이름이 새겨진 물건은 모두 치우고, 방이 더 넓어 보이도록 가구를 최소화해야 한다. 지나치게 강한 색상의 벽은 뉴트럴 톤(화이트, 그레이, 베이지)으로 리페인트, 카펫과 커튼은 깨끗하게 세탁, 키친과 욕실은 호텔처럼 깔끔하게 정리된 것이 좋다. 프런트도 확인해야 할 것이 많다. 잔디는 깔끔하게 잘려져 있는지, 나무나 덤불은 다듬어졌는지, 현관문은 페인트가 벗겨져 있거나, 먼지 때가 묻어있는지, 우체통, 주소번호, 초인종 상태는 괜찮은지, 조경이나 조명은 밤에도 따뜻하고 안전하게 보이는지 등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청결함이다. 바이어는 집에 들어서기 전 이미 마음을 정한다. 앞마당 정리, 외벽 페인트 터치업, 현관 매트 교체 등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든다. 누구나 쉽게 ‘내 집’처럼 느낄 수 있도록 꾸미는 것이 좋다. 두 번째, 시선을 끄는 사진과 영상은 필수다. 요즘 바이어의 90% 이상이 온라인에서 첫 매물을 접한다. 전문가가 촬영한 밝고 공간감을 살린 이미지와 영상투어는 클릭률을 높이고 쇼잉 예약으로 이어지게 한다. 세 번째, 시장의 흐름에 맞는 가격 전략이다. 부동산에서 ‘가격은 마케팅이다’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멋진 집이라도 가격이 시장보다 높게 설정되면 바이어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결국 시장에 오래 남게 되면서 가격을 깎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따라서 집을 내놓을 때는 데이터 기반의 가격 전략이 필요하다.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는 일부러 조금 낮게 가격을 책정해 더 많은 관심을 유도하고, 다수의 오퍼를 받아 ‘가격을 올리는 전략’도 유효할 수도 있다. 단, 집의 상태나 위치가 아주 평범하다면 이 전략은 역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신중히 해야 한다. 가격이 너무 높아 바이어의 관심을 못 얻으면 첫 2주 안에 쇼잉이 거의 없고, 온라인 클릭 수나 에이전트 관심이 낮아진다. 그래서 일정 시점 후 가격을 내리게 되면, 바이어들은 문제가 있다고 오해할 수 있고, 결국 원래 가격보다 낮게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네번째, 오픈 하우스는 ‘스토리 있는 연출’로 차별화를 두는 것을 추천한다. 단순히 문을 열고 기다리는 오픈 하우스는 시대에 뒤처졌다. 계절에 맞는 음악, 간단한 스낵, 지역 정보가 담기 브로슈어 등을 준비하면 방문자에게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다섯째, 집 관련 서류와 인스펙션을 미리 준비한다. 예상치 못한 문제로 에스크로가 깨지는 경우를 줄이기 위해, 셀러 측에서 프리 인스펙션이나 수리내용 정리를 선제적으로 준비해두는 것이 좋다. 바이어 입장에서는 신뢰가 가고, 협상도 매끄럽게 진행된다. 작은 디테일 하나하나가 매매 성사에 큰 차이를 만든다. 올해 또는 향후 몇 년 안에 집을 팔 계획이 있다면, 지금부터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문의: (213) 254-7718 캐티 리 / 드림부동산부동산 이야기 주택 판매 주택 판매 가격 전략 부동산 시장
2025.06.11. 17:42
관세 정책에 따른 여파가 최근 본격화한 가운데 한국차 브랜드의 국내 판매 실적은 지속된 인기 속 수개월간 이어진 실적 호조 행진을 지난달에도 이어갔다. 지난 3일 발표된 5월 자동차 판매 실적에 따르면,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등 한국차 브랜드 3개 모두 판매 실적이 전년 동월 대비 향상됐다. 이에 따라 3사 모두 8개월 연속 월간 판매 신기록을 이어가게 됐다. 다만 이 중 2개 브랜드는 판매 증가 폭이 한 자릿수로 내려앉았다. 한국차 3사는 전년 대비 7% 증가한 총 17만251대를 판매하며 국내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졌다. SUV의 지속적인 강세가 전체 실적을 견인한 가운데, 전기차(EV) 부문은 대부분 두 자릿수 하락세를 보이며 명확한 수요 정체 신호를 드러냈다. 〈표 참조〉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은 지난 5월 총 8만4521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주력 모델인 투싼은 15% 증가한 1만9905대로 브랜드 내 최다 판매 모델 자리를 유지했다. 베뉴는 전년 대비 74% 깜짝 증가한 4349대를 기록해 주목받았다. 특히 지난달 30일 첫 국내에서 인도된 신형 전기 SUV 아이오닉9은 302대가 판매돼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기존 전기차 라인업인 아이오닉5(-12%), 아이오닉6(9%)는 부진하거나 제한적인 성장에 그쳤다. 기아 미국판매법인은 총 7만9007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5% 증가했다. 이 중 K5는 6957대 판매되며 전년 대비 257%라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기록했다. SUV 스포티지는 10% 증가한 1만7063대로 전체 모델 중 가장 많이 팔렸다. 다만 전기차 부문에선 마찬가지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EV9은 단 37대만 판매되며 전년 대비 98% 급감했고, EV6도 70% 감소한 801대에 그쳤다. 이는 국내 전기차 수요 둔화와 보조금 축소, 새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 폐지 등 복합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럭서리 브랜드 제네시스는 지난달 차량 총 6723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4% 증가, 유일하게 두 자릿수 증가 폭을 이어갔다. 판매를 이끈 모델은 GV70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한 2969대가 판매됐다. GV80은 21% 증가한 1940대가 팔렸다. 그러나 전기차 라인업 중 GV70 EV는 78% 감소한 161대, GV60 EV도 44% 감소한 148대를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 3~4월 관세 부과에 앞서 구매를 서두른 소비자들의 수요가 비교적 줄면서 지난달 판매량 상승 폭이 완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훈식 기자5월 판매 실적 동향 한국차 판매 판매 증가 기아 판매법인 국내 판매
2025.06.03. 22:14
전기차 수요가 전반적으로 둔화하는 가운데, 인기 SUV 모델들의 탄탄한 판매 호조에 힘입어 한국차 브랜드들이 수개월간 지속해온 실적 상승세를 더 굳건히 다졌다. 지난 1일 발표된 4월 자동차 판매 실적에 따르면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등 한국차 3개 브랜드 모두 두 자릿수대 판매 신장을 기록하며 7개월 연속 월간 판매 신기록을 달성했다. 3개 브랜드는 총 16만2615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판매가 16% 증가한 고무적인 실적을 기록했다. 〈표 참조〉 특히 SUV와 일부 세단 모델이 성장을 견인했다. 현대 투싼과 싼타페, 기아 스포티지와 텔루라이드 등 SUV 중심 모델은 대부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전기차 수요 둔화, 정부 인센티브 축소 등으로 한국차 브랜드 전기차(EV) 모델 다수가 두 자릿수 이상 하락했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은 지난 4월 한 달 동안 총 8만1503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19% 성장했다. 최다 판매 모델은 투싼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한 2만2054대를 판매하면서 전체 판매량의 27%를 차지했다. 싼타페 역시 28% 상승한 1만2417대를 판매하며 중형 SUV의 지속적인 인기를 나타냈다. 이어 쏘나타는 12%, 엘란트라는 30% 증가하며 세단 라인에서도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전기차 모델들은 주춤했다. 아이오닉 5는 3411대로 전년 대비 8% 감소, 아이오닉 6는 12% 하락했다. 기아 미국판매법인은 지난달 7만4805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 성장했다. 스포티지는 전년보다 18% 증가한 1만6178대를 기록해서 브랜드의 가장 인기 모델로 꼽혔으며, 텔루라이드 또한 1만860대가 팔려 증가율이 21%나 됐다. 세단 부문에서는 K5가 6248대 판매돼 1776%의 성장률을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북미 시장을 타깃으로 출시된 K4는 판매 증가 폭으로는 6%에 그쳤지만 여전히 1만3097대로 높은 판매량을 유지했다. 기아 또한 전기차 판매에선 부진한 모습이었다. EV9은 전년 동기보다 크게 감소한 232대, EV6는 656대에 그쳤다. 제네시스는 4월 6307대를 판매하며 실적이 전년 대비 15% 향상됐다. 판매를 견인한 모델은 GV70으로 67% 상승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대형 세단 G90도 55% 증가했으며 새로 출시된 GV80 쿠페는 322대를 판매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반면 G70, GV60 EV, GV70 EV 등 주요 모델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했다. 우훈식 기자한국차 판매 기아 판매법인 판매 호조 전체 판매량
2025.05.02. 0:23
가주에서 바(bar)와 레스토랑의 주류 판매 가능 시간을 오전 4시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해당 법안은 팬데믹 이후 침체된 도심 경제를 회복하고, 야간 관광 수요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 법안(AB 342)은 맷 헤이니 주 하원의원(민주당·샌프란시스코)이 발의했다. 헤이니 의원은 “캘리포니아의 도심 지역은 팬데믹 이후 거의 5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며, “도심을 다시 활기차게 만들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한길 기자활성화 판매 관광 수요 판매 새벽 주류 판매
2025.04.07. 20:50
머지않아 풀러턴에서 성남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K-성남 비즈니스 센터(이하 K-SBC)를 위탁 운영하는 로컬 기업 링크원(대표 오세진)은 지난 7일 K-SBC(801 N. Harbor Blvd)에서 개최한 네트워킹 나이트 행사에서 올해 주요 사업 계획을 공개하며 성남 기업들의 제품 전시, 홍보 업무 외에 판매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 대표는 “5월 또는 6월 중 판매를 시작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링크원 측은 미국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데 필요한 각종 인증을 받고, 라벨도 부착하는 등 준비에 한창이다. 오 대표는 “K-SBC의 궁극적인 설립 목표는 성남 기업의 미국 진출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결국 우수한 제품을 팔아 미국의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는 것이란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링크원은 성남 기업들로부터 제품을 사들여 판매하기로 했다. 관련 규정상 성남시 측이 직접 제품을 파는 것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성남시는 종전처럼 K-SBC란 플랫폼만 제공하게 된다. 오 대표는 “미국에서 새로운 제품을 널리 알리려면 3~4년이란 기간이 필요하다. 단기간 내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성남 중소기업들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결심했다.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 주목표이기 때문에 이익을 줄여서라도 경쟁력 있는 가격을 책정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날 네트워킹 모임엔 프레드 정 시장을 비롯한 풀러턴 시 관계자, OC한인상공회의소, 세계한인무역협회 LA지회, 남가주에 진출한 한국 지자체 사무소 인사 등 55명이 참석했다. K-SBC 측은 40명을 초청했는데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참석해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지난 2023년 6월 풀러턴 다운타운에 자리 잡은 K-SBC는 IT 관련 상품, 의료와 건강 관련 기기, 화장품, 애완동물 관련 제품, 식음료 등 다양한 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입주 기업 수도 초기 22개에서 현재 30여 개로 늘었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k-sbc.net)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임상환 기자제품 판매 제품 전시 제품 식음료 성남 중소기업들
2025.03.19. 20:00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500만 달러를 내면 미국 영주권을 주는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우리는 골드카드를 판매할 것이다. 그린카드(Green Card·영주권)가 있는데 이것은 골드카드”라면서 “우리는 이 카드에 약 500만 달러의 가격을 책정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AFP통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골드카드가 약 2주 후부터 판매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의 신흥 재벌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지지 그룹에 속하는 올리가르히도 골드카드를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투자이민(EB-5) 제도를 폐지할 것이라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밝혔다. EB-5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국의 법인에 일정 금액 이상을 투자하는 외국인에게 영주권을 주는 제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의 구리 수입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를 실시할 것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하거나 고율의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한 조항이다. 김은별 기자판매 골드카드 영주권 판매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2025.02.25. 20:48
개조 투자수익률 상위 10개 프로젝트 중 9개는 주택 외관 개조로 나타났다. 주택시장 조사 및 분석 회사인 존다미디어가 주택 개조 프로젝트 비용과 주택 재판매 가치를 비교한 ‘2024 비용 대비 가치’ 보고서를 발표했다. 클레이 드콘 존다미디어 JLC 편집장은 “주택 판매 때 가치를 올리려면 외관 개조가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며 “인건비와 자재비 상승으로 개조 비용만큼 트자수익률이 동반상승하지 않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택 개조 투자수익률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개조 프로젝트는 역사상 가장 높은 200%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했다. 〈표 참조〉 단 100% 이상 수익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는 3개뿐이다. 차고문 교체는 194%로 가장 높았다. 차고문 교체 경우 4500달러 정도 비용이 들었지만, 주택 판매 재가치는 8700달러로 올랐다. 수익률 188%를 기록한 스틸 현관문도 교체에 약 2300달러가 들었지만, 가치는 4400달러였다. 두 개 개조작업 모두 지난해와 비교해 두 배 가치가 올랐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주방 개조 비용은 2만7500달러로 10개 개조 프로젝트 중 가장 비쌌지만, 수익률은 100% 미만이었다. 드콘 편집장은 “고급 욕실이나 주방 개조는 거주하는 동안 가치 있다고 느끼는데 셀러 입장에서는 많은 수익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주방의 벽면 개조 작업인 백스플래시는 비용의 96%를 회수해 비교적 높은 수익을 제공했다. 반면 고급 주방과 욕실 개조는 각각 38%와 45%에 그쳤다. 보고서는 높은 주택 가격과 매물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전략적인 개조는 높은 주택 가격을 지불할 바이어를 유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토드 토말락 존다미디어 건축자재 연구책임자는 “새 차고문이나 새 현관문은 확실한 차이를 만들 수 있다”며 “커브 어필이 주택 가치를 높이는 핵심이다”고 강조했다. 하버드주택연구공동센터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소유주의 개조 프로젝트 지출은 2022년 이후 감소세지만 2025년에는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소유주의 주택 개조 및 유지관리를 위한 연간 지출은 내년 2분기까지 46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애비 윌 하버드주택연구공동센터 부소장은 “2025년 모기지 금리가 하락하면 주방 개조나 방 추가 같은 대규모 개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주택소유주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판매 주택 주택 가치 주택 재판매 주택 판매
2024.11.27. 18:13
지난 9월 18일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4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0.5%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했다. 이러한 파격적인 금리 인하로 낮은 모기지 이자율과 함께 주택구매가활성화되며 주택판매와 주택가격이 모두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최근 가주부동산 협회(CAR)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으로 인해 추가 하락을 기대한 구매자들이 구매를 미루며 9월 가주 주택 수요가 오히려 감소했다고 밝혔다. 신규주택을 제외한 기존 단독주택매매가 지난 9월 총 25만3000건으로 8월의 26만 2050건보다 3.4% 감소했지만, 2023년 9월의 24만 840건보다는 5.1% 증가했다고 전했다. 또한 지난 9월의 전체 평균 주택가격은 86만8150달러로 전달인 8월의 평균가격인 88만 8740달러보다 2.3% 하락했고, 지난해 9월 평균가격인 84만3500달러보다는 2.9% 상승했다고 전했다. 남가주지역 6개 카운티 내 평균주택가격 변화를 살펴보면 LA카운티의 9월 평균주택가격은 96만370달러로 지난 8월의 평균 주택가격인 91만 9890달러보다 4.4% 상승했으며 지난 2023년 9월의 91만4340달러보다는 5% 상승한 것으로 발표됐다. 오렌지카운티의 9월 평균가격은 139만7450달러로 지난 8월의 140만 달러보다 0.2% 하락했으나 지난 2023년 9월의 131만 달러보다는 6.7%나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버사이드 카운티 9월 평균가격은 62만5000달러로 8월 가격 63만달러보다 0.8% 하락 했고 지난 2023년 9월 가격인 60만 달러보다는 4.2% 상승했다. 샌버나디노 카운티 9월 평균가격은 50만 달러로 8월 가격51만5000달러보다 2.9% 하락했으나 지난 2023년 9월 가격인 47만5000달러보다는 5.3% 상승했으며 남가주 6개 카운티 중 가장 저렴한 평균주택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샌디에이고 카운티 9월 평균가격은 100만 달러로 8월 가격 101만달러보다 0.1% 하락했고 지난 2023년 9월 가격인 97만3100달러보다는 2.8% 상승했다. 마지막으로 벤투라 카운티의 9월 평균가격은 90만 달러로 8월가격96만5000달러보다 6.7%나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2023년 9월 가격인 96만2500달러보다도 6.5% 하락하며 남가주 6개 카운티 중 유일하게 가장 큰 하락세를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2024년 현재 가주 전체 주택 재고상황도 파악됐는데 싱글패밀리 하우스의 9월 현재 미판매 재고 지수(Unsold Inventory Index)는 3.6으로 지난 8월의 3.2보다 완화됐으며 2023년 9월의 2.8보다 크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고, 콘도와 타운하우스의 9월 미판매 재고 지수 역시 4.0으로 지난 2023년 9월의 2.7보다 크게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가주 전체 마켓내 평균 매매 시간도 조사됐는데 9월 현재 싱글패밀리 주택의 경우 24일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지난 8월의 22일보다 다소 길어졌고 지난 2023년 9월의 18일보다는 6일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콘도와 타운하우스의 지난 9월 평균 매매시간도 26일이 소요되며 지난 2023년 9월의 18일보다 8일 더 길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기조가 유지되면서 모기지 이자율이 좀 더 하락해 준다면 2025년 주택시장은 크게 활성화될것으로 예상한다. ▶문의:(213)500-5589 전홍철/WIN Realty & Properties에이전트 노트 기존주택 판매 기존주택 판매 평균주택가격 변화 샌디에이고 카운티
2024.11.05. 19:13
LA카운티 일반 가정집에서도 소규모 형태의 식당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카운티 정부의 승인만 받으면 소위 ‘미니 레스토랑’ 형태의 식당을 일반 주택 등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는 의미다. LA카운티보건국(LACDH)은 지난 7일 소규모 가정 주방 운영 프로그램(이하 MEHKO)을 발표하며, 이날부터 허가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보건국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을 통해 허가를 받게 되면 일반 가정집에서도 음식 보관, 취급, 조리, 그리고 해당 요리를 고객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 가주는 최근 몇 년간 가정 주방 사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왔다. 지난 4월에는 LA 카운티 수퍼바이저 위원회가 MEHKO 관련 조례를 승인하면서 본격화됐다. 허가 승인 여부는 LACDH 산하 환경보건과에서 담당한다. 허가를 받게 되면 환경보건과 직원들이 매년 인스펙션을 하고 불만 사항을 조사할 예정이다. LA카운티 수퍼바이저 힐다 솔리스는 “MEHKO 프로그램은 가정 주방을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획기적인 조치”라며 “특히 여성, 이민자, 유색인종 커뮤니티가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MEHKO 프로그램의 자격 조건과 제약 사항이 너무 까다롭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운영자는 우선 환경보건과에서 발급한 공중보건 허가증을 소지하고, 공인 식품 보호 관리자(Certified Food Protection Manager)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음식은 당일에 준비, 조리, 제공 혹은 배달되어야 한다. 생굴이나 생우유 제품은 판매할 수 없고, 남은 음식은 폐기해야 한다. 또한 다른 시설에 음식을 재판매할 수 없고, 우버이츠 같은 제3자 배달 앱도 사용할 수 없다. 하루 30끼 이상, 주당 90끼 이상을 제공할 수 없으며, 연간 수익은 10만 달러를 초과할 수 없다. 가족이나 가구 구성원 외에 1명 이상의 정규직 직원도 고용할 수 없다. 가정 주방을 케이터링 서비스로 사용하는 것도 금지된다. 주류 판매 면허 없이 음식과 함께 주류를 제공할 수도 없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베이커리 사업을 운영 중인 케일리 김 씨는 “거의 식당을 여는 수준의 규정이어서 신청하기 부담스럽다”며, “개인적으로 동네에서 소규모로 판매하는데 굳이 허가가 필요한지 의문이다”라고 말했다.당국에 따르면 MEHKO 허가증은 오는 11월 1일부터 발급될 예정이다. 단, 자체적으로 보건국 등을 두고 있는 패서디나, 롱비치, 버논시는 허가 대상에서 제외된다. 신청을 원하는 사람은 보건국 웹사이트에서 양식을 작성한 후 이메일([email protected]) 혹은 대면으로 제출할 수 있다. 전화(626-430-9855)로도 문의할 수 있다. 신청 수수료는 597달러, 연간 보건증 수수료는 347달러다. 보건국은 현재 선착순 1000명에 한해 신청 수수료를 지원하는 조건부 일회성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보건국 웹사이트(publichealth.lacounty.gov/eh/business/microenterprise-home-kitchen-operation.htm)에서 한국어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MEHKO 프로그램 런칭 설명회가 오는 26일 오전 10시에 보건국 환경보건과 건물(5050 Commerce Drive, Baldwin Park)에서 열릴 예정이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실효성 판매 허가 신청 la카운티 수퍼바이저 공중보건 허가증
2024.10.09. 8:08
한국차들이 지난달 하이브리드(HEV), SUV 모델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날씨와 판매일수 부족으로 상승세를 이어 가지 못했다. 1일 발표된 한국차 3개 브랜드의 판매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9월 한 달간 총 12만7941대를 판매해 14만2869대였던 전년동월 대비 10.5%가 줄었다. 〈표 참조〉 3분기 판매량은 지난 8월 호조에 힘입어 42만8798대를 기록, 전년 동기보다 0.4% 감소하는 데 그쳤다. 자동차업체들은 이 같은 실적 저하 원인으로 9월의 판매일수가 노동절 연휴 등의 영향으로 23일에 그쳤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호실적을 기록했던 지난 8월의 판매일수는 28일이었으며 지난해 9월은 26일이었다. 또한 남동부 지역을 강타한 허리케인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은 지난달 6만2491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보다 9.4% 감소했다. 하지만 3분기 판매량은 지난 8월 21.9% 성장 덕분에 21만971대로 5.2% 증가하며 역대 3분기 소매판매 신기록을 수립했다. 지난달 36% 신장률을 나타낸 HEV를 포함한 SUV 모델 판매 호조가 두드러져 싼타페 HEV, 투싼 HEV, 팰리세이드 등이 역대 9월, 3분기 판매 기록을 경신했다. 전기차(EV)는 아이오닉5가 3분기 소매판매 30% 증가한 데 반해 아이오닉6는 3개월 연속 전년 대비 50%대 감소를 나타내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기아 미국판매법인은 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이 각각 43%, 11% 증가하며 역대 9월 판매 기록을 수립하는 등 선전했으나 대다수의 모델이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며 5만8913대 판매에 그쳐 전년 동월대비 12.4% 감소했다. 스포티지, 셀토스 등 SUV 모델이 전체 판매의 74%, 전동화 모델은 17%를 차지했으며 스포티지, 포르테, 카니발, 셀토스는 1~9월 누적 판매량 역대 최고 기록을 수립했다. 3분기 판매량은 EV9, K4, 셀토스, 스포티지를 제외하고 판매가 감소해 19만7710대로 전년 동기보다 6% 하락했다. 제네시스 미국법인은 지난달 GV70, GV80 등 주력 SUV 모델이 판매 성장세를 이어간 덕분에 총 6537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대비 1.6% 감소에 그쳤다. 3분기에는 지난 8월 14.5% 신장률에 힘입어 총 2만117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보다 3.6% 상승하며 역대 3분기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한편, 도요타는 지난달 14만152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보다 21.1% 감소했으며 3분기도 총 46만1883대에 그쳐 10.4% 줄었다. 혼다는 지난달 9만5601대를 판매해 7% 줄었으나 3분기 합계는 33만3105대로 10.2% 증가했다. 럭서리 브랜드에서는 렉서스가 지난달 2만2443대로 14.5% 감소했으나 3분기 판매량은 8만989대로 8.1% 증가를 기록했다. 애큐라는 지난달 9926대, 3분기 3만3109대로 각각 21.7%, 10.3% 감소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차 판매 소매판매 신기록 누적 판매량 실적 판매실적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하이브리드 전기차 Auto News 9월 3분기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10.02. 0:35
트레이더조가 사재기 열풍을 일으킨 미니 토트백을 재판매한다. 최근 CNBC 방송에 따르면 트레이더조가 지난 3월 처음 선보인 미니 캔버스 토트백(사진)을 오는 18일부터 재판매한다. 1개당 2.99달러인 토트백은 첫 판매 당시 7일 만에 재고가 모두 소진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이로 인해 업체는 1인당 구매 개수에 제한을 두기도 했다. 조기 동나면서 미니 토트백 1세트(4개입)는 이베이 등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499.9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6일 오전 10시 기준 이베이에 리스팅된 옐로우 색상 미니 토트백 1개의 판매가는 23.99달러였다. 이 토트백은 네이비, 옐로우, 레드, 그린 등 4가지 색상이며, 한정판매한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판매기한과 재고 물량 관련 구체적인 정보는 알려진 바 없다. 한편, 소비자들은 토트백을 빈 캔버스로 활용하는 등 미적 감각을 뽐내기도 했다. 리본, 핀 등 갖가지 장신구를 활용하는 것을 비롯해 캔버스 소재 특성을 활용해 자수를 놓기도 했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판매 시작 판매 시작 판매 당시 토트백 1개
2024.09.06. 19:50
LA카운티가 집에서 만든 음식을 판매하는 비즈니스인 ‘홈키친’에 대한 규정을 대폭 완화한다. 카운티수퍼바이저위원회는 지난주 ‘홈키친 영업허용(MEHKO)’안을 상정해 통과시키고 향후 이를 영구히 허용할 수 있는 구체안을 조속히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가주 정부는 이와 관련해 지난해 7월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은 소규모 가내 비즈니스들을 돕는 차원에서 ‘홈키친 운영 프로그램 규정(AB 1325)’을 법제화해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한 바 있다. 〈본지 2023년 7월27일자 A-3면〉 해당 규정은 주간 판매량 90인분, 연간 총매출 10만 달러까지 허용했다. 당시 관련법 통과는 팬데믹으로 인해 저소득층의 경제활동을 더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 배경이 됐으며, 올해 초 LA시에서 통과된 가판대 음식 판매 허용과 같은 맥락으로 진행됐다. LA카운티는 해당 사업자들에게 라이선스 신청비로 597달러, 연간 보건등록비로 347달러를 부과하며 연간 매출 10만 달러, 하루 30인분 또는 주간 90인분으로 판매량을 제한한다. 이번 규정을 통해 푸드카트(길거리 음식)도 최대 2개까지 허용되며 카트 판매 시에는 하루 80인분, 일주일 200인분까지 판매할 수 있다. 최대 매출은 연간 15만 달러로 제한된다. 해당 규정은 자체 보건국을 가진 롱비치, 패서디나, 버논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당국은 관련 규정 첫 시행 시 문턱을 낮춰주는 의미로 첫 지원자 1000명(연 순익 5만 달러 이하)에게는 라이선스 신청비를 면제해줄 계획이다. 관련 규정 정식 시행은 11월부터다. 정부는 내년 1월부터는 라이선스 단속에 나선다. 한편 관련 규정 내용과 조건은 보건국 사이트(http://publichealth.lacounty.gov/eh/docs/business/microenterprise-home-kitchen-operation-fact-sheet-kr.pdf)에서 한국어로도 확인할 수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판매 허용 홈키친 영업허용 주간 판매량 카트 판매
2024.05.21. 21:38
시중에서 흔히 팔리고 있는 대마 성분의 젤리에 대한 규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른 제품에 비해 환각 성분이 낮아 현행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지만 성분 표기 등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어 주민들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일리노이대학 시카고 캠퍼스 연구진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공된 대마(hemp)가 함유된 일부 제품의 성분 표기가 엉망인 것으로 확인됐다. 시카고 지역에서 판매되는 젤리와 대마 잎 등 32개 제품 중에서 절반 이상이 성분 표기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된 대마는 환각성분을 일으키는 Delta-9 THC가 0.3%가 넘으면 안 된다. 이 기준을 넘을 경우 대마 제품으로 규정돼 판매와 관리 측면에서 엄격한 규제를 받게 된다. 하지만 조사된 제품 중 87%에서는 Delta-8이나 Delta-10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표기를 했지만 실제로는 다른 성분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제품에서는 규정의 70배가 넘는 THC가 함유되기도 했고 잎 제품에서는 환각 성분 표기가 모두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시중에서는 이런 제품이 규제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담배 전문 판매점이나 주유소 등지에서 구입자 나이와 상관없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스낵 브랜드인 치토스나 워헤드, 치즈-잇츠, 쿨-에이드와 유사한 포장을 하면서 소비자들을 현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최근 업타운의 한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 다섯 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는데 그 이유가 지역 담배 판매점에서 판매한 가공된 대마 젤리를 먹었기 때문이었다. 대마 제품에는 세금이 부과되지만 가공된 대마 제품에는 관련 세금이 없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해 일리노이 주는 15억달러의 대마 제품 판매를 통해 4억5000만달러 이상의 세금을 거둬들인 바 있다. 이에 주의회에서는 가공된 대마가 함유된 제품에 대한 규제를 담은 법안 통과를 추진하고 있다. 이 법안은 가공된 대마가 함유된 제품은 반드시 테스트를 거쳐야 하고 성분 표기를 정확히 해야 하며 세금이 부과될 뿐만 아니라 21세 이상에게만 판매토록 규정하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시중 판매 대마 젤리 시중 판매 대마 성분
2024.03.26. 12:51
팬데믹 이후 하드 리쿼 수요가 급감하면서 버지니아 ABC의 매출과 순이익이 예상치를 훨씬 하회하면서 재정운영에 빨간불이 켜졌다. 버지니아는 주정부가 1930년대 금주령 해제 이후 하드리퀴 전매권을 독점하고 있다. 버지니아 ABC는 “펜데믹 종료와 때마쳐 작년 7월 이후 술판매가가 크게 줄었다”면서 “물가인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보다 싸고 적은 용량의 술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ABC는 향후 5년간 매년 평균 5% 정도의 매출 신장을 예상하고 주정부 수입 이월금 등을 계산했으나 계획을 전면 수정하게 됐다. 6월30일 종료하는 2024회계연도 매출 증가율은 5.1%였으나 실제로는 1.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다. ABC는 2025회계연도 매출 증가율도 애초 5.1%에서 1.4%로 낮춰잡고 예상 매출액도 기존보다 4400만달러 삭감했다. 당국에서는 비용절감분 1100만달러를 감안하더라도 주정부 수입 이월금 규모가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ABC는 향후 2년간 주정부 수입 이월금 감소분을 1억 8200만달러로 예상했다. 이 금액은 주정부 일반회계에 편입돼 K-12 공립학교, 공공안전, 헬스케어 예산 등으로 편성되기 때문에, 연쇄적인 예산 수정 작업이 불가피해졌다.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마리화나 소매 판매 합법화 조치 등으로 알콜 소비가 지속적으로 감소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차리리 리쿼스토어를 민영화하고 세금수입을 거두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판매 abc 버지니아 abc 이후 술판매가 예상 매출액
2024.03.05. 14:33
인벤토리 개선과 인센티브 확대로 신차 판매가 전반적인 호전세를 보이면서 주춤했던 한국차 판매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일 발표된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의 2월 판매실적 보고에 따르면 3개 브랜드 총 판매량은 12만4005대로 전년 동기대비 1.6% 늘었다. 〈표 참조〉 18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판매 신장을 이어가다 지난달 4.6% 감소한 한국차가 실적 반등에는 성공했으나 자동차 업계가 추산한 2월 전체 신차 판매 성장률 6%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 결과다. 이는 한국차 3개 브랜드의 희비가 엇갈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대차와 제네시스는 판매 호조를 보인 반면 기아는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달 8.6% 하락을 보였던 현대차는 총 6만341대를 판매해 전년동월보다 5.8%가 증가하며 2월 역대 최다판매기록을 수립했다. 현대차 미주판매법인은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PHEV), 전기차(EV) 등 배터리 전기차(BEV) 소매 판매가 24% 증가한 것이 판매 부진 탈출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모델별로는 280% 급등한 투싼 PHEV를 비롯해 투싼 HEV(+29%), 팰리세이드(+16%), 코나 EV(+15%), 투싼(+8%) 등이 2월 역대 최고 판매 기록을 달성했다. 기아 미국판매법인은 총 5만9059대를 판매해 지난해 동기보다 3%가 하락했다. 전기차 모델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하며 EV9 출시 이후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카니발(+48%), 스포티지(+18%), 포르테(+8%) 등 3개 모델은 역대 최고 2월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시판 중인 12개 모델 가운데 리오(-73%), K5(-56%), 쏘울·니로(각 -26%)의 판매량 급락이 판매 부진 극복에 걸림돌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는 총 4605대를 판매하며 16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성장세를 이어갔다. SUV 모델인 GV70과 GV80이 전체 판매의 69%를 차지하며 기록 행진 쌍두마차 역할을 했으며 세단 G80도 86%가 증가하며 힘을 보탰다. 하지만 전기차 GV60과 전동화 모델 G80 EV는 14%, 19% 하락을 나타냈다. 한편, 이날 실적을 발표한 도요타와 렉서스는 BEV 모델 판매가 84% 급증한 데 힘입어 각각 15만9262대, 2만5188대를 판매해 전년보다 16.0%, 17.4%씩 늘었다. 혼다도 총 10만341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대비 37.8% 급신장을 기록했으며 럭서리 브랜드 애큐라는 9769대 판매에 그쳐 6.1% 감소를 나타냈다. 스바루는 총 4만7189대를 판매해 전년대비 3.1% 증가하며 19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성장 행진을 이어갔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차 판매 한국차 판매 역대 최다판매기록 판매실적 보고 판매실적 현대 기아 제네시스 Auto News PHEV BEV HEV EV
2024.03.03. 18:00
지난해 가주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자동차 모델은 테슬라 모델 Y와 모델 3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에너지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가 가주신차딜러협회의 2023 신차 판매 통계 자료를 분석해 최근 보도한 바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와 모델 3가 각각 13만2636대, 8만2786대가 판매돼 전체 1, 2위를 차지했다. 테슬라는 지난해 총판매 실적에서 전국 8위에 그쳤으나 북가주 프리몬트 공장은 연간 생산능력에서 미시간의 포드 및 GM 공장, 혼다 최대의 오하이오 공장은 물론 도요타의 가장 큰 공장인 켄터키 공장보다도 더 많은 차를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주 판매 3위와 4위는 도요타의 RAV4와 캠리로 나타났으며 혼다 시빅, CR-V, 어코드가 5~7위에 이어 포드 F 시리즈, 도요타 코롤라, 셰볼레 실버라도 순을 기록했다. 〈표1. 참조〉 테슬라의 2개 모델 판매량은 총 21만5422대로 3~6위 4개 모델 판매량 합계 19만4434대보다도 11%가 더 많으며 톱 10내 8개 모델 총판매량의 61.4%에 해당된다. 테슬라 모델 Y가 1위를 차지한 SUV 판매 순위는 도요타 RAV4(5만8496대), 혼다 CR-V(4만2044대), 포드 F 시리즈(4만507대), 셰볼레 실버라도(3만6821대), 도요타 타코마(3만5513대), 램 픽업(2만2501대), 혼다 HR-V(2만356대), GMC 시에라(2만234대), 도요타 하이랜더(1만9148대) 순을 기록했다. 세단 부문에서는 테슬라 모델 3에 이어 도요타 캠리(5만1330대), 혼다 시빅(4만2564대)과 어코드(4만878대), 도요타 코롤라(3만8198대), 기아 포르테(2만1555대), 셰볼레 볼트(1만9041대), 현대 엘란트라(1만4125대) 순으로 나타났다. 럭서리 콤팩트 SUV 세그먼트에서는 모델 Y가 2~5위인 렉서스 NX(1만5309대), 아우디 Q5(1만1580대), BMW X3(8127대), 포르셰 마칸(6215대)을 압도했다. 모델 3도 럭서리 세단 세그먼트 톱5에서 BMW i4(8695대), 렉서스 ES(8459대), 벤츠 C클래스(7749대), BMW 3시리즈(7175대)를 각각 10배 전후로 제쳤다. 가주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브랜드 순위에서는 도요타가 총 27만8345대로 테슬라 23만589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표2. 참조〉 혼다, 포드, 셰볼레가 10만 대 이상을 판매해 3~5위에 올랐으며 기아와 현대가 6, 7위로 뒤를 이었다. 벤츠, 닛산, 스바루도 8~10위로 순위권에 진입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현대차 판매 테슬라 기아 신차 가주신차딜러협회 Auto News
2024.02.26. 19:29
신차 가격과 이자율 고공행진 영향으로 한국차 판매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일 발표된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한국차 3개 브랜드의 1월 판매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총 10만2902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10만7889대보다 4.6% 감소했다. 〈표 참조〉 지난해 3개 브랜드 모두 역대 최다 판매 실적을 올리며 쾌속 질주를 이어가던 한국차가 전년 동월 대비 판매가 감소한 것은 지난 2022년 6월(-14.9%) 이후 19개월 만이다.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현대차가 총 4만7543대 판매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8.6%가 줄어 1월 전체 실적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전기차(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 판매가 77% 급증하며 호조를 보였음에도 베뉴(-41%), 쏘나타(-36%), 엘란트라(-20%) 등이 판매 부진을 기록하면서 기록 행진을 이어 가지 못했다. 11개 시판 모델 가운데 팰리세이드와 올 뉴 코나는 역대 1월 최다 판매 기록을 수립했다. 현대측은 경제난, 고이자율 등 어려운 소매 환경이 판매에 영향을 줬지만, EV, PHEV 판매 호조 및 신형 올 뉴 싼타페가 딜러에 입고되기 시작함에 따라 향후 판매 실적 회복에 긍정적인 기대를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아는 지난해 12월 출시한 첫 3열 전용 전기 SUV 모델인 EV9이 ‘2024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됨과 함께 판매 호조를 보이는 등 전동화 라인업 성장세 덕분에 5만1090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7% 감소에 그쳤다. 특히 카니발, 스포티지, 포르테, EV6 등 4개 모델은 역대 1월 최고 판매 기록을 달성했다. 기아 미국판매법인 영업 담당 에릭 왓슨 부사장은 “올해 신차 및 페이스리프트 모델 6개 차종을 출시함으로써 판매 성장 모멘텀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차 가운데 제네시스만이 15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제네시스는 4269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9.3%의 판매 신장을 기록했다. 신형 G90 프리미엄 세단과 스포츠세단 G70을 비롯해 전동화 모델인 GV60과 GV70 EV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 브랜드 판매 기록을 견인하고 있는 SUV 모델 GV70과 GV80도 전체 판매의 34.5%, 25.3%를 차지하며 브랜드 톱 셀러 쌍두마차 역할을 해냈다. 한편, 일본차 브랜드들은 판매 신장을 기록했다. 도요타의 1월 판매량은 16만 5753대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으며 승용차와 경트럭 판매가 각각 36%, 18%씩 늘어났다. 혼다도 8만4574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2.7%의 판매 신장을 기록했으며 스바루는 총 4만4510대로 전년 대비 0.8%가 증가하며 18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마쓰다 역시 3만279대를 판매해 전년보다 31.8%의 신장세를 보였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판매실적 자동차 판매실적 보고서 한국차 판매 Auto News 판매 전기차 하이브리드 현대 기아 제네시스
2024.02.01. 23:41
연방 당국이 아마존의 최고경영자에게 아마존을 통해 판매되고 있는 다수의 안약 제품이 소비자 건강에 위험하다는 경고장을 날렸다. 연방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13일자로 앤드루 재시 아마존 CEO에게 경고장을 보냈다고 밝혔다. 경고장에는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에서 충혈된 눈이나 눈이 뻑뻑한 경우, 먼지 등이 들어가 가려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마케팅하고 있는 여러 개의 안약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고 밝히고 이들 제품은 FDA의 승인을 받지 않고 아마존에서 배포하기 때문에 '신약(new drugs)'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약으로 분류된 안약 제품은 '시밀라산 핑크 아이 릴리프', '더 굿바이 컴퍼니 핑크 아이', '캔-시 아이 드롭스', '옵티크 원 아이 드롭스', '오클루메드 아이 드롭스', TRP 내추럴 아이스 플로터스 릴리프', '맨재닐라 소피아 카모마일 허벌 아이 드롭스' 등이다. 이에 대해 아마존 측은 해당 제품을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치우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아마존 대변인은 "아마존의 최우선 순위는 안전"이라면서 "우리 매장이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제품은 관련 법규를 따르고 있으며 해당 제품에 대한 조사와 판매 중지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FDA 측은 경고장에서 해당 안약 제품에 대해 "대체적으로 안전과 효용성 면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FDA는 지난 10월에도 일반 의약품으로 분류된 26개 안약 제품에 대해 소비자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당시 해당 제품에는 CVS, 타겟, 월마트, 라이트 에이드 등 대형 약국 체인점의 자체 브랜드도 포함됐다. 디지털본부 뉴스랩아마존 판매 안약 제품 해당 제품 이들 제품
2023.11.17. 10:17
2023년은 부동산 시장에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한 해로 기억되는 거 같다. 이런 혼란 속에 바이어와 셀러가 실수하지 않으려면 많은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셀러가 판매할 때에 자칫 잘못된 생각을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하나, 낮은 가격을 책정하면 낮은 가격에 팔린다고 생각한다. 저렴하다고 생각하는 주택은 많은 구매자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끌 수 있다. 경쟁이 치열한 주택 시장에서 관심 있는 바이어들이 주택을 더 높은 가격에 오퍼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반면 오버프라이스를 고집하면 결국 처음에 적정가로 집을 내놓았을 경우보다 더 낮은 가격에 집을 팔게 되기 쉽다. 오버프라이스로 나온 집들은 거의 예외 없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기다려 보다가 오퍼가 안 들어오면 가격을 낮춘다. 그리고 바이어들은 그 낮아진 가격보다 더 낮은 오퍼를 넣는다. 아무도 안 건드리는 집, 만만하게 보는 것이다. 지역 시세를 잘 모르는 바이어가 높은 가격에 오퍼를 넣어도, 결국은 계약이 깨질 확률이 높다. 주택 감정에서 걸리기도 하고, 바이어가 뒤늦은 후회로 계약을 파기하기 때문이다. 이제 막 나온 집이 적정가로 책정이 되어 있으면 바이어들의 반응이 뜨겁다. 처음에 높게 시작했다가 낮추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데, 바로 그 생각이 주택 판매의 가장 큰 단점이 될 수 있다. 둘, 비용 절약 위해 에이전트 수수료를 협상한다. 일반적인 주택 판매자의 잘못된 통념은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면 조금이라도 집 매매 가격에 손해가 적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에이전트는 더 높은 커미션을 받을 수 있는 주택을 먼저 팔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수수료가 낮은 곳보다 높은 곳에 좋은 손님이 더 몰리는 이유이다. 셋, 집을 빨리 팔려면 전문적인 집 단장이 필요하다. 집을 스테이징해서 가장 많은 구매자에게 가장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면, 스테이징 되지 않은 주택보다 88% 더 빨리 그리고 평균보다 20% 더 많이 받고 판매할 수 있다. 텅 빈 집은 뭔가 부족한 듯 느끼게 되고, 전체 주택 크기를 가늠할 수 없어서 보는 이들에 판단하기 어렵다. 전반적인 주택 크기, 분위기, 가격을 책정하기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 집 상태가 좋지 않으면 집의 가치보다 낮게 팔릴 수 있다. 일부 리모델링 프로젝트가 집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집이 오래되었거나 대대적인 수리가 필요하다고 해서 아무도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다. 상태가 좋지 않고 업그레이드 또는 대대적인 수리가 필요한 주택만 사는 사람들도 있다. 어설프게 고치는 것보다 그대로 파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는 걸 염두에 두면 좋을 것 같다. 다섯, 오픈하우스는 절대 시간 낭비가 아니다. 오픈 하우스는 많은 잠재 구매자를 찾기 위해서 한다고 알려져 있다. 주택 구매자의 7%만이 오픈 하우스 간판을 통해 궁극적으로 구매한 집을 찾았지만, 주택을 보유하는 데 확실한 이점이 있다. 편한 시간에 집을 볼 기회를 주는 것, 리스팅 직후 오픈 하우스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빠른 판매를 할 수 있는 피드백을 수집할 귀중한 기회이기도 하다. ▶문의:(562)972-5882 알렉스 신 / 뉴스타부동산 플러턴 에이전트부동산 가이드 판매 셀러 주택 판매자 주택 구매자 판매 전략
2023.11.15. 18:05
가주부동산협회(CAR)의 발표에 따르면, 가주의 지난 9월의 주택 매매는 24만여 채가 거래되어 8월보다 5.4%, 2022년보다는 21.5%가 감소했다. 8월보다 거래량이 줄어든 것은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다만 높은 이자율의 영향이 가장 크다. 국책 모기지 기관인 프레디맥의 조사를 기반으로 한 CAR의 자료에 따르면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은 9월 평균 7.20%로 1년 전인 2022년 9월 6.11%에서 1%포인트 이상 올랐다. 9월 가주의 평균 주택 가격은 84만3340달러로 8월보다 1.9% 하락했으나, 지난해 9월보다는 3.2% 상승했다. 실제론 주택이 마켓에 나오면 빠르게 팔려 나가고 있으며, 주택의 가격도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다. 가주 단독 주택을 판매하는 데 걸린 일수는 2022년 9월에는 27일, 지난 9월에는 18일이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이 비수기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연말 이전에는 시장에 나와 있는 매물의 수는 크게 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엔 1년 전과 비교해 마켓에 나와 있으며 구매가 가능한 주택의 수는 가주 58개 카운티 중 3분의 2 이상의 카운티에서 감소했다. 그중 26개 카운티는 전년 동월 대비 10% 이상 감소했다. 특히 북가주의 도시인 콩코드와 월넛크릭이 있는 콘트라코스타 카운티는 매물이 반으로 줄어서 9월 가장 큰 연간 하락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새크라멘토 카운티와 알라메다 카운티도 매물이 40% 이상 감소했다. 올해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주택 판매 가격은 리스팅 가격과 거의 일치하는 편이다.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리스팅 가격 위로 한없이 올라가던 몇 년 전의 상황과는 조금 다르다. 다만 기존 단독 주택의 스퀘어피트당 평균 가격은 417달러로 1년 전인 2022년 9월의 401달러보다 올랐다. 각 카운티의 중간 가격 및 판매 데이터는 가주 전역 90개 이상의 부동산 협회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나왔으며 기존 단독주택에 대한 통계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중간 가격의 변화는 일반 주택의 실제 가격 변화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한편 전미주택건설업협회(NAHB)에 따르면 9월 주택시장 심리 지수는 45로 8월의 50보다 5포인트 하락했다.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기준선인 50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이 지수는 주택 건설 업황 악화와 개선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전문가들의 예상보다도 낮은 수치다. 이런 주택시장 심리 지수 하락은 모기지 이자율이 7% 이상으로 오른 데 따른 것일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이 지표는 모기지 금리가 낮아질 때까지 주택 구매를 미루는 구매자들이 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기간 주거비에 관한 인플레이션은 7.3%였다. 같은 기간 3.7%인 소비자물가지수(CPI)의 2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건설 업체들의 프로젝트를 장려해 주택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소비자들의 주택 구매력을 향상하고 주거 관련 인플레이션을 해결하는 최선의 해결책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문의: (818)497-8949 미셸 원 / BEE부동산 부사장부동산 이야기 주택 판매 주택시장 심리 주택 판매 주택 구매
2023.11.08.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