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지역 시니어 노숙 인구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복지 서비스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온라인 매체 LAist는 노숙자 전수조사 결과를 인용, 올해 65세 이상 노숙 인구는 지난해보다 17% 이상 증가한 4680명에 달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23년(3427명)과 비교해도 약 36%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 매체는 팬데믹 시기 일시적으로 확대됐던 연방·주 정부의 예산 지원이 대부분 종료되고 있지만, 시니어 센터·의료 연계 등의 복지 서비스는 되레 축소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시행되면 그 여파로 향후 10년간 메디케이드(Medi-Cal) 예산 1조 달러 감축이 예고돼 단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샌퍼낸도밸리에서 시니어센터를 운영하는 비영리단체 ‘원제너레이션(ONEgeneration)’은 전체 7개 센터 중 최소 2곳의 폐쇄를 검토 중이다. 이 단체가 운영하는 시니어를 위한 무료 식사 배달 프로그램 역시 30%가량 축소될 예정이다.
단체 측은 “최근 혼자 사는 101세 노인이 있었는데 신규 등록을 받지 못했다”며 “심지어 기존 수혜자에게도 서비스 중단을 통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사회복지 비영리단체인 JFSLA도 메디케이드 삭감과 시 예산 감소로 인해 주요 프로그램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엘리 바이처 JFSLA 대표는 “시니어층이 거리로 내몰리는 것은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노숙자가 되기 전에 막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비용도 적게 든다”고 강조했다.
LA시의 경우 올해 13억 달러 규모 예산을 발표하면서 노인국(Department of Aging)을 청년·고용 부서와 통합했다. 시정부 측은 통합이 시니어 서비스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시니어 관련 정책의 전문성과 독립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인타운 내 사회복지 기관들도 이러한 서비스 축소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시니어센터의 한 관계자는 “부서 통합은 결국 배정 예산 축소로 이어지고, 이는 시니어 복지 서비스 감소로 직결된다”며 “결국 사회적으로 가장 취약한 시니어층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시니어층 노숙은 막기 어려운 문제가 아니라, 예방이 가능한 위기”라며 정책적 우선순위 재조정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11월 통과된 노숙자 대응 세금 조치 ‘Measure A’로 확보된 예산 6억 3700만 달러 중 시니어를 위한 항목은 500만 달러로 전체의 1%도 채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