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텍사스 유권자, 주헌법 개정안 17건 모두 승인

 텍사스 유권자들이 이번 선거에서 주민투표에 부쳐진 17개 주헌법 개정안을 모두 통과시켰다. 5일 텍사스 트리뷴 보도에 따르면, 이번 개정안에는 세금 신설 제한과 면세 조항 확대, 물 인프라 구축 투자, 치매 및 신경 질환 연구 기금 설립 등이 포함됐다. 대부분의 안건은 특정 세금 신설을 금지하거나 새로운 세금 감면을 허용하는 내용이며, 일부는 주 차원의 공공투자 재원 조성을 골자로 한다. 이번 17개 헌법 개정안의 일괄 통과로 텍사스는 향후 세금 구조 안정화, 공공 인프라 투자 확대,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연구 지원 강화 등의 제도적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가장 높은 지지를 받은 것은 제10호 개정안(Proposition 10)으로, 화재 등으로 주택이 전소된 경우 일정 기간 재산세를 인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 안건은 찬성 89%, 반대 11%로 통과됐다. 가장 근소한 격차로 통과된 안건은 제6호 개정안이었다. 이는 증권 거래 등 금융상품에 대한 신규 세금 부과를 금지하는 내용으로, 찬성 55%, 반대 45%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접전이었던 제17호 개정안은 국경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국경 보안 시설 건설 등으로 급등하는 것을 주정부가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으로, 찬성 57%, 반대 43%로 승인됐다. 텍사스주 국무부(Texas Secretary of State)가 5일 오전 9시 발표한 비공식 개표 결과에는 사전투표와 선거 당일 투표 모두가 포함됐다. 17개 주헌법 개정안(Proposition)은 다음과 같다. ▲제1호(찬성 69%, 반대 31%): 주전역의 기술대학 인프라 개선·장비 교체·캠퍼스 확충을 위한 기금 신설. ▲제2호(찬성 65%, 반대 35%): 개인·기업의 투자, 부동산, 고가 자산 등 자본 이익에 대한 과세 금지. ▲제3호(찬성 61%, 반대 39%): 살인·아동 성범죄 등 중범죄 피의자에 대한 보석 허가 제한. ▲제4호(찬성 70%, 반대 30%): 2027년부터 매년 최대 10억 달러의 판매세 수입을 ‘텍사스 수자원 기금(Texas Water Fund)’에 배정해 인프라 보수·신규 수원 개발·절수 사업 지원. ▲제5호(찬성 64%, 반대 36%): 판매용 사료 재고품에 대한 세금 면제 연장. ▲제6호(찬성 55%, 반대 45%): 증권 거래 및 금융 종사자에 대한 신규 세금 신설 금지. ▲제7호(찬성 86%, 반대 14%): 순직 군인의 배우자(재혼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주택세 감면 확대. ▲제8호(찬성 72%, 반대 28%): 상속세 및 유산 이전시 과세 금지. ▲제9호(찬성 65%, 반대 35%): 기업 재고 및 장비에 대한 지방정부 과세 면제 한도 12만 5천 달러로 상향. ▲제10호(찬성 89%, 반대 11%): 화재 피해 주택의 재산세 임시 인하 절차 신설. ▲제11호(찬성 78%, 반대 22%): 고령자 및 장애인의 주택 공제액(공립학교 재원 과세 대상 금액) 상향. ▲제12호(찬성 62%, 반대 38%): 주 사법행동위원회의 구성 및 심사 절차 변경. ▲제13호(찬성 79%, 반대 21%): 모든 주택 소유자의 공제액 상향을 통한 주택세 부담 완화. ▲제14호(찬성 69%, 반대 31%): 30억 달러 규모 ‘치매 예방·연구원(Dementia Preven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Texas)’ 설립, 알츠하이머·파킨슨 등 뇌 질환 연구 추진. ▲제15호 (찬성 70%, 반대 30%): 부모의 권리를 명시한 연방 판례 내용을 텍사스 주헌법에 반영. ▲제16호(찬성 72%, 반대 28%): 비미국 시민의 주내 선거 투표권 제한 조항 명문화. ▲제17호(찬성 57%, 반대 43%): 국경 지역 부동산 가치 상승 억제 권한을 주정부에 부여.   손혜성 기자텍사스 유권자 주헌법 개정안 텍사스 유권자들 텍사스주 국무부

2025.11.11. 7:54

썸네일

아시안 유권자 절반 맘다니에 투표

정치 신인 조란 맘다니 뉴욕주하원의원이 앤드류 쿠오모 전 뉴욕주지사를 꺾고 차기 뉴욕시장에 당선된 가운데, 뉴욕시 아시안 유권자 약 절반이 맘다니에 투표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과 아시안아메리칸법률교육재단(AALDEF)이 5일 발표한 ‘2025 아시안 유권자 출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49.1%의 아시안 유권자들은 맘다니 후보에게 표를 줬다고 응답했다. 33.8%는 쿠오모 후보에게 투표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에게 투표했던 아시안 유권자 4명 중 3명은 이번에도 민주당 후보인 맘다니에게 투표했고, 공화당 후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했던 아시안 65%가 무소속 후보로 나선 쿠오모에게 투표했다.     다만,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했던 아시안 가운데 20%는 이번 본선거에서 진보 성향인 맘다니 후보에게 표를 행사했다. 이는 아시안 유권자들이 후보의 정책이나 이슈에 따라 표심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번 선거에서 아시안 유권자들이 가장 중요한 이슈로 꼽은 것은 ‘경제’ 문제였다. 전체 아시안 유권자 절반 이상(50.2%)이 경제를 최우선 과제로 선택했으며, ▶공공안전(31.9%) ▶민주주의(28%) ▶주거(25.2%) ▶의료(25.2%) 등이 뒤를 이었다.     후보별로는 맘다니 지지층이 민주주의와 주거 문제를, 쿠오모 지지층이 공공안전 문제를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 18~29세 아시안 청년층 투표율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본선거가 첫 투표 참여인 아시안 유권자는 10%였지만, 18~29세 응답자의 경우 그 수치가 20%였다.     한편 아시안 유권자 절반 이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 정책에 반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40.4%는 ‘강력히 반대한다’고 답했고, 18.1%는 ‘다소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캐서린 첸 AAF CEO는 “이번 출구조사 결과 아시안 유권자들이 결코 단일 집단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아시안 유권자들은 사안을 신중히 판단하고, 뉴욕시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깊이 관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서니 리 AALDEF 이사장은 “아시안 커뮤니티 목소리는 그동안 간과돼왔지만, 이제 정치인들은 아시안 유권자들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고 전했다.       이번 출구조사는 본선거 당일인 4일 맨해튼·퀸즈·브루클린·브롱스 투표소 앞에서 1268명 유권자들의 참여 하에 실시됐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아시안 유권자 아시안 유권자들 아시안 커뮤니티 아시안 청년층

2025.11.06. 21:07

스팬버거 "유권자는 당파성보다 실용주의 선택했다”

스팬버거 "유권자는 당파성보다 실용주의 선택했다”   사상 최초 여성 주지사 탄생 스팬버거, 얼-시어스에 압승 아이린 신 하원의원 3선 성공 민주, 하원 압도적 다수당 차지     4일 치러진 버지니아주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의 애비게일 스팬버거 주지사를  비롯한 모든 주단위 선출직은 민주당이 싹쓸이 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주하원은 민주당이 다수당이 됐고, 한인 아이린 신 하원의원은 3선에 성공했다.   [주지사 선거]   민주당의 애비게일 스팬버거는 공화당의 윈섬 얼-시어스 후보와의 격돌에서 5일 오후 1시10분 현재 개표율 100%를 기록한 가운데 57.16%인 192만1419표를 획득해 42.64%인 143만3393표 획득에 그친 얼-시어스에게 큰 표 차이로 낙승을 거뒀다.   이로써 전 CIA 요원이자 하원의원인 스팬버거는 버지니아 최초의 여성 주지사이자 패트릭 헨리부터 글렌 영킨에 이어 75번째로 수장 자리에 앉게 됐다.   4일 밤 9시경 승리가 확정 시 되자 스팬버거는 리치몬드에서 가진 빅토리 연설에서 “이번 선거는 버지니아 유권자들이 당파성보다는 실용주의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부주지사 선거]   투표 하루 전만 하더라도 예상이 불가능할 정도로 막중세를 보였던 부주지사 선거는 5일 오후 1시10분, 개표율 99% 기록한 가운데, 민주당의 가잘라 하쉬미가 55.23%인 184만5925표를 획득해 44.52%인 148만7982표을 얻는 데 그친 공화당 라디오 진행자 존 리드를 크게 누르고 승리를 거뭐졌다.   [법무장관 선거]   이번 선거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로 떠올라 연일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법무장관 선거에서 민주당의 제이 존스가 ‘폭력적 문자 메시지’ 사건으로 곤혹을 치루며 패배가 예상되기도 했지만, 결국은 공화당의 제이슨 미야레스를 누르고 승리하는 이변이 연출돼 관심을 모았다.   역시 5일 오후1시10분, 개표율 99%가 이뤄진 가운데, 민주당의 존스가 52.72%인 175만3280표를 획득해 46.87%인 155만8759표를 획득한 미야레스를 눌렀다.   [하원 8지구 선거]   버지니아 유일의 한인 정치인이자 젊은 여성인 민주당 ‘아이린 신’은 이번에 하원의원 8지구 3선 도전에서 공화당 후보인 인디라 매시와 맞붙었는 데, 5일 오후 개표율 100% 기록한 가운데 73.88%인 2만2242표를 획득해 26.12%인 7865표를 얻는 데 그친 인디라 매시 후보를 일찌감치 따돌리고 3선에 성공했다. 4일 밤 헌던의 한 레스토랑에서 열린 승리 파티에는 한인 지지자들은 물론 제임스 워킨쇼 버지니아 연방하원이 참석해 기쁨을 함께 나누었다.   [주하원의원 선거]   민주당 후보들은 4일 주 하원의원 선거에서 북버지니아 지역 30개 의석을 모두 차지하면서, 51 대 49의 다수당 지위를  크게 확대했다. 4일 밤 11시 현재 13석을 차지했고 한 곳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민주당은 총 100석 중 최소 64석을 확보하게 돼 이는 거의 40년 만에 가장 많은 의석이 된다.   지난 수년 간 공화당이 장악해 오던 와중에 민주당은 2019년 하원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했지만, 2021년 공화당의 글렌 영킨이 주지사로 선출되면서 과반 의석을 잃었다. 그러나2021년 말 선거주 재조정 이후 20234년에 다시 과반 의석을 확보해 오늘에 이르렀다.   김성한 기자   사진 = 스팬버거가 헌던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를 하는 장면과 아이린 신이 승리의 기쁨을 나누는 모습.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실용주의 유권자 부주지사 선거 버지니아주 지방선거 버지니아 유권자들

2025.11.05. 13:20

가주 특별선거 표심, 전국이 주목…한인 유권자 투표 열기 높아

가주 연방하원 선거구 재조정을 둘러싼 특별선거(주민발의안 50)가 유권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마무리됐다. 〈선거 결과 확인은 koreadaily.com〉   개빈 뉴섬 주지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텍사스의 그렉 애벗 주지사의 선거구 재조정 시도에 맞서 추진한 이번 특별선거는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특별선거 당일인 4일, 한인타운을 비롯한 남가주 전역의 투표소에는 유권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LA카운티 선거관리국은 총 251개 투표소를 운영하며 유권자 참여를 독려했다. 유권자들은 이날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투표소를 방문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거나, 미리 작성한 우편투표 용지를 제출했다.   특히 한인타운 내 중앙루터교회와 앤더슨 멍거 패밀리 YMCA 등 투표소에는 이른 아침부터 유권자들이 몰렸다. 두 투표소 모두 30~40명 이상이 줄을 설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투표소에는 다양한 인종과 배경의 유권자들이 모습을 보였으며, 한인 유권자는 전체의 10~20% 정도를 차지했다. 유권자들은 정치 성향에 따라 선거구 재조정안을 담은 주민발의안 50에 찬반 의견을 밝혔다.   다이애나 크루즈(20대)는 “선거구 재조정은 트럼프와 공화당의 시도에 맞설 수 있는 공정한 방법”이라며 “우리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재조정을 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한인 유권자 상당수는 이번 재조정안에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모니카 정(70대) 씨는 “선거구 재조정이 너무 인위적이고, 뉴섬 주지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선거구가 조정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며 “이번 재조정이 임시 조치라고 하지만 다시 되돌리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봉우·이용순(70대) 부부는 “가주의 정책 때문에 다른 주로 떠나는 사람이 많은 상황에서 선거구 재조정은 불필요하다”며 “이미 가주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공화당과 민주당의 의견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선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가주 총무국은 640만 표 이상의 우편투표와 투표소 개표 결과를 취합해 내달 12일까지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주민발의안 50이 통과될 경우, LA카운티의 연방 하원 27지구(조지 화이트사이드 의원·민주)와 42지구(로버트 가르시아 의원·민주)는 민주당에 유리한 선거구로 재조정된다. 또한 38지구(린다 산체스 의원·민주)는 41지구에 편입되고, 샌게이브리엘밸리·엘몬테·요바린다 등이 포함된 새로운 38지구가 신설된다. 김형재 기자특별선거 유권자 선거구 재조정안 한인 유권자 유권자 참여

2025.11.04. 21:59

썸네일

유권자 자격, 주정부가 확인 가능…USCIS 신원 조회 접근 허용

이민서비스국(USCIS)이 각 주정부가 유권자의 시민권 소유 여부를 보다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방했다.   USCIS는 3일 ‘외국인 전산승인(SAVE)’ 프로그램을 통해 주정부가 유권자의 신원을 직접 조회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의 핵심은 사회보장번호(SSN) 마지막 네 자리만으로도 유권자 신원 확인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USCIS는 이번 조치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초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른 것으로, 유권자 등록 시 시민권 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연방 및 주정부 간 데이터 공유를 확대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SAVE 프로그램은 본래 복지 수급, 운전면허 등 공공 혜택 수혜 자격을 확인하기 위해 설계된 시스템이다. 그러나 지난해 텍사스주에서 유권자 명부 내 6500여 명의 비시민권자가 확인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당시 텍사스주는 시민권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은 유권자 45만여 명의 신원 조회를 요청했으나, 요청이 거부되면서 소송으로 이어졌다.   USCIS 대변인 매튜 트래게서는 “선거 과정을 위협하는 불필요한 장벽을 제거하는 데 힘쓰고 있다”며 “주정부가 유권자 자격을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는 또 “선거는 미국 시민에게만 열려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강화하고 있다”며 “연방·주·지방 정부기관이 SAVE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길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USCIS에 따르면 현재 26개 주가 유권자 시민권 검증을 위해 SAVE와 양해각서를 체결했거나 추진 중이다. 2025년 10월 기준으로 각 주 선거관리 당국이 제출했던 유권자 검증 요청은 약 4600만 건에 달한다. 송윤서 기자IS 유권자 유권자 신원 유권자 자격 신원 조회

2025.11.04. 21:42

썸네일

투표소서 유권자 신분증 요구 못한다

가주 항소법원이 헌팅턴비치 시의 유권자 신분증 법안은 가주법에 위배된다고 3일 판결했다.   제4항소법원 3인 재판부는 이날 판결에서 투표 방식은 가주 전체에 해당하는 사안이므로 개별 도시가 이를 규정할 법적 권한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보이스오브OC 4일 보도에 따르면 재판부는 OC법원의 원심판결을 뒤집고 니코 도어베타스 원심 판사에게 헌팅턴비치 유권자 신분증 법을 무효로 하는 명령장을 발부하라고 지시했다. 또 유권자 신분증 법에 대해선 가주법이 시 헌장에 우선한다고 명시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이번 결정은 로컬 정부가 주 또는 연방법이 요구하는 범위를 넘어선 유권자 신분증 요건을 제정하거나 시행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헌팅턴비치 유권자들은 지난 2024년 3월 시 단위 선거에서 유권자에게 신분증을 제시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한 발의안 A를 승인했다. 발의안 A는 내년에 발효될 예정이었지만, 시 정부는 이를 어떤 방식으로 시행할지 공개하진 않았다.   원심판결에 불복, 항소한 〈본지 5월 16일자 A-12면〉 롭 본타 가주 법무장관은 성명을 발표해 항소심 판결을 환영했다.   관련기사 헌팅턴비치-가주 항소심서 재격돌 헌팅턴비치 시 측은 판결문을 검토한 뒤 향후 조치를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상환 기자투표소 유권자 헌팅턴비치 유권자들 유권자 신분증 측은 판결문

2025.11.04. 19:00

새 유권자 등록 시스템 도입 중단 요구

 텍사스 전역의 선거관리 당국이 주정부에 새롭게 개편된 유권자 등록 시스템의 도입을 중단하고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해당 시스템의 결함이 “선거와 배심원 제도의 핵심 부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17일 텍사스 트리뷴 보도에 따르면, 선거관리 관계 당국들은 지난 17일 제인 넬슨(Jane Nelson) 텍사스주 국무장관(Texas Secretary of State)에게 보낸 서한에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주 전역의 카운티 선거관리 관계 당국들은 지난 7월 주정부가 ‘TEAM(Texas Election Administration Management)’으로 알려진 유권자 등록 시스템을 전면 개편한 이후 여러 문제를 겪고 있다고 수개월째 호소해왔다. 이로인해 수만건의 유권자 등록 신청이 밀려 처리 지연 사태가 발생했다고 ‘보트비트(Votebeat: 선거 관련 초당파 비영리 보도매체)’는 전했다. 현재 이 중 대부분은 해소된 상태지만, 관리관들은 여전히 시스템 결함이 헌법 개정 관련 선거 준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알리샤 피어스(Alicia Pierce) 주국무장관실 대변인은 보트비트측에 “서한을 접수했으며 현재 검토 중이다. 지금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모든 카운티가 11월 4일 선거에 대비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서한은 선거를 담당하는 카운티 선거관리국장, 카운티 및 지방법원 서기, 판사 및 행정위원, 세무평가관·징수관 등 4개 그룹이 공동 명의로 보냈다. 넬슨 장관에게 보낸 서한과 최소 12명 이상의 선거관리 관계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새 시스템으로 유권자 등록 신청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이전 주소가 새 주소를 덮어쓰거나, 선거구 정보가 올바르게 입력되지 않거나, 아예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잇따르고 있다. 또한 시스템은 일관성이 없어 어떤 날은 정상 작동하다가 다음 날은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서한은 “카운티들은 유권자 등록 신청과 등록 상태 갱신 처리에 상당한 지연을 겪고 있다”며 “여러 선거관리관들이 TEAM이 유권자 명부를 잘못 생성해 투표장 명부 갱신과 우편투표자 식별을 복잡하게 만들어 선거 보안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제 조기투표가 20일부터 시작된 상황에서, 주전역의 선거관리 관계자들은 넬슨 장관실이 새로운 시스템 기능을 추가하기에 앞서 기존 문제들을 먼저 해결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서한은 “이러한 조치 없이는 TEAM 시스템의 현 상태가 유권자와 선거관리 신뢰성 모두에 불필요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한에서는 TEAM 시스템 문제가 배심원 명부 작성에 이 시스템을 의존하는 소규모 카운티들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지방법원 서기들은 새 시스템이 배심원 자격이 있는 주민 전체가 아닌 단순 등록 유권자만을 배심원 후보로 추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명시했다. 텍사스 카운티 선거관리관협회(Texas Association of County Election Officials) 크리스 맥긴(Chris McGinn) 사무총장은 “수주간 주정부와 회의를 갖고 문제를 전달했지만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아 서한을 보내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조기투표가 시작된 시점인데도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모든 상황을 공식적으로 기록에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선거관리 관계자들은 서한에서 주국무장관실이 TEAM 시스템의 오류 수정 일정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해결된 문제와 남은 문제를 매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어떤 문제가 해결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기투표 및 개표 기간 동안에는 ‘전담 사고 대응팀’을 구성해 기술 인력을 상주시켜 긴급 수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도 포함됐다. 일부 주의원들도 넬슨 장관에게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오스틴 지역의 민주당 소속 주하원의원 6명은 지난 16일 넬슨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시스템 문제는 카운티 선거관리관들의 잘못이 아니며 그들은 주어진 제한된 도구 안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서한은 “시스템이 약속대로 작동하도록 보장하고, TEAM 소프트웨어 교육이 충분히 제공되며, 유권자들이 민주주의 참여라는 헌법적 권리를 박탈당하지 않도록 하는 책임은 전적으로 주 국무장관실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 서한은 비키 굿윈(Vikki Goodwin) 의원이 작성했으며 도나 하워드(Donna Howard), 셰릴 콜(Sheryl Cole), 지나 히노호사(Gina Hinojosa), 제임스 탈레리코(James Talerico), 루루 플로레스(Lulu Flores) 의원이 공동 서명했다. 넬슨 장관은 대규모 시스템 업데이트 과정에서 “2천만건이 넘는 기록 이관과 카운티 직원 교육을 포함한 기술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었다”고 답했다. 그는 또 여러 카운티가 사용하던 유권자 등록 대행업체의 재정 불안정이 예기치 않게 사태를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그 결과 일부 카운티가 급히 TEAM으로 전환해야 했다고 밝혔다. 넬슨 장관은 “우리 직원들은 보통 수개월이 걸리는 절차를 몇 주만에 완료해 베어 카운티를 포함한 11개 카운티를 TEAM 시스템에 성공적으로 통합했다”고 말했다.   〈손혜성 기자〉유권자 시스템 카운티 선거관리 시스템 결함 수만건의 유권자

2025.10.21. 7:45

썸네일

“유권자 등록하세요” 미쉘 강, 월참회 방문

조지아주 하원 99지역구에 두 번째로 출마하는 미쉘 강(민주) 후보가 지난 18일 미동남부월남참전유공자회 사무실을 방문해 유권자들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강 후보는 월참회 회원들에게 내달 있을 시의원 선거와 내년 중간선거 참여를 독려하며 온라인에서 유권자 등록 여부 를 확인하도록 안내했다. 강 후보가 출마하는 지역은 둘루스 하이웨이를 남쪽 경계로, 스와니, 슈가힐 등 한인 주거지를 포함한다.월참회 유권자 월참회 회원들 유권자 등록 미동남부월남참전유공자회 사무실

2025.10.20. 14:57

썸네일

"11월 특별선거 꼭 참여하세요"…KIWA 유권자 등록 독려 나서

한인타운노동연대(KIWA)가 오는 11월 4일 열리는 캘리포니아 특별선거를 앞두고 한인들의 유권자 등록과 투표 참여를 적극 독려하고 나섰다.   KIWA는 14일 LA 한인타운 내 사무실(1053 S. New Hampshire Ave)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권자 등록 절차와 선거 일정 등을 안내했다.   이를 위해 KIWA측은 오는 16일부터 19일까지 열리는 LA한인축제 현장에서 ‘유권자 등록 부스(56번)’를 운영한다. 현장에서는 유권자 등록 대행과 함께 투표 방법 안내 서비스가 제공된다. 부스 운영 시간은 축제 기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다.   유권자 등록 마감일은 10월 20일이다. 등록을 위해서는 ▶운전면허증 또는 신분증 번호 ▶사회보장번호(SSN) 마지막 네 자리 등이 필요하다. 등록은 주 정부 공식 웹사이트(registertovote.ca.gov) 또는 한인축제 현장 부스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가능하다. 등록 여부나 투표 상태는 웹사이트(wheresmyballot.sos.ca.gov)에서 확인할 수 있다.   KIWA측은 “마감일까지 등록하지 못하더라도 조기 투표소나 선거 당일 현장에서 ‘당일 유권자 등록(Same-Day Registration)’ 절차를 통해 등록 후 투표할 수 있다"며 조기 투표소 방문을 권장했다.   LA 한인타운 내 주요 조기 투표소는 ▶YMCA(3가·웨스턴) ▶중앙 루터교회 ▶라파예트 커뮤니티센터 ▶피오 피코 중학교 등에 마련된다. 투표소는 10월 25일부터 11월 3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선거 당일(11월 4일)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이와 함께 피오 피코 도서관 앞 투표함(694 S. Oxford Ave)에서도 언제든 우편투표용지를 제출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유권자는 신분증 없이도 투표가 가능하다. 다만 ▶연방선거에서 처음 투표하고 ▶온라인 또는 우편으로 등록했으며 ▶등록 시 제공한 정보로 신원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신분증 제시를 요구받을 수 있다.   선거 관련 다언어 안내 서비스도 제공된다. 한국어를 포함한 10개 언어로 된 선거 자료는 가주 총무국과 LA카운티 선거국을 통해 받을 수 있다. 한국어 안내는 LA카운티 선거국(800-481-8683) 또는 가주 총무국 한국어 라인(866-575-1558)으로 문의하면 된다.   캘리포니아 전역의 모든 유권자에게는 우편투표용지가 자동 발송된다. 우편투표는 선거일 당일까지 소인이 찍히면 유효하며, 선거일 후 17일 이내 도착하면 개표에 포함된다.   KIWA측은 “등록 마감일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많은 한인들이 유권자 등록과 투표에 참여해 한인사회의 목소리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의: (657) 347-2645 강한길 기자특별선거 유권자 캘리포니아 유권자 캘리포니아 특별선거 유권자 등록

2025.10.14. 21:49

썸네일

[디케의 저울] 불완전한 법, 그 책임도 유권자 몫

최근 보수 정치 인플루언서 찰리 커크가 암살당했다. 이 비극적인 사건은 증오가 정치를 삼키고, 신념의 차이가 기어코 총성으로 귀결될 수 있다는, 우리 시대의 가장 섬뜩한 경고를 보내고 있다.   커크는 젊은 보수층을 겨냥해 ‘터닝포인트 USA’를 설립하고, 거침없는 언변으로 미국 우파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인물이다. 그의 주장은 때로 선동적이었고, 반대자들에게는 분노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그가 남긴 논쟁의 크기만큼이나, 미국 사회가 앓고 있는 깊은 병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소셜미디어는 예상대로 추모와 조롱, 음모론으로 들끓었다. 이 아수라장은 미국이 단일 국가라는 사실조차 의심케 한다. 우리는 같은 땅에 살지만, 전혀 다른 현실을 보고 다른 진실을 믿는 부족으로 나뉘어 서로를 향해 으르렁대고 있다. 상대는 더 이상 토론의 대상이 아닌, 제거해야 할 ‘적’으로 규정된다.   물론 역사 속에서 분열의 골이 깊었던 시대는 있었다. 노예제를 두고 나라가 두 동강 났던 남북전쟁기(1850~70년대)가 그랬고, 부패와 경제적 격변으로 신음했던 도금시대(1870~90년대)에는 선정적인 ‘옐로 저널리즘’이 지금의 소셜미디어처럼 대중의 분노를 부추겼다.   민권 운동, 베트남 전쟁, 워터게이트 사건 등이 사회적 균열을 일으키던 1960~70년대의 상처도 여전히 생생하다.     이 시기를 지나면서, 민주당은 사회 개혁과 복지 확대를 주도하는 진보 정당으로 자리 잡았고, 공화당은 점차 보수 정당으로 굳어졌다. 이 정당 구도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증폭되고 있다. 여기에 ‘분노의 산업화’가 기름을 붓는다. 현대 정치 담론은 설득의 과정이 아니라, 자기 진영을 향한 ‘분노의 퍼포먼스’가 되었다. 더 자극적인 발언, 더 격한 비난이 곧 관심과 영향력, 그리고 정치적 자금으로 직결된다.   과거의 갈등이 특정 쟁점을 중심으로 벌어졌다면, 지금의 분열은 존재론적이다. 알고리즘이 만든 ‘필터 버블’ 속에서 우리는 각자의 신념을 강화하는 정보만 소비하며 괴물이 되어간다. 같은 사실도 전혀 다른 ‘진실’로 해석되고, 불신과 증오는 바이러스처럼 퍼져나간다.   이런 현상이 통하는 이유는 공동체의 붕괴와 경제적 불안 속에서 수많은 이들이 소속감과 정체성에 목말라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복잡한 문제에 대한 명쾌한 해답과 명확한 ‘적’을 제시하는 선동가에게서 위험한 위안을 얻는다.   민주주의는 본질적으로 다양한 견해의 공존을 전제로 한다.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 의회, 투표, 토론의 제도와 법을 만들어왔다. 법은 단순한 규제가 아니라 사회적 합의의 구체적 표현 방식이다. 강력한 이민 단속이나 급격히 인상된 H-1B 신청 비용 같은 문제도 결국은 법의 적용과 집행의 문제다. 그 방법에 동의한다면 해당 집행 세력을 계속 지지하고, 반대한다면 다른 정치 세력에게 표를 주어 교체하는 것이 유권자의 권리이자 책임이다. “어떻게 그런 법이 있느냐”고 분노하는 것은 결국 “어떻게 그런 대표자를 뽑았느냐”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대의 민주주의의 본질은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는 결코 힘이 곧 정의였던 암흑기나, 총잡이가 법보다 빨랐던 서부시대로 돌아갈 수는 없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 질서는 법에 의한 지배라는 문명적 합의 위에 서 있다. 법은 불완전할 수 있고 때때로 부당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법을 바꿀 수 있는 힘은 결국 시민, 즉 유권자의 손에 있다.   찰리 커크의 죽음은 미국 사회를 갈림길에 세웠다. 이 비극을 또 다른 증오의 자양분으로 삼아 내전과 같은 파국으로 치달을 것인가, 아니면 법과 제도라는 마지막 보루를 통해 깨어진 합의를 재건할 것인가. 정의의 여신 디케의 저울이 더 이상 피로 얼룩지지 않기를, 폭력이 아닌 투표를 통해 균형을 잡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김한신 / 변호사·한미정치경제연구소 이사장디케의 저울 불완전 유권자 사회적 합의 정치 세력 현대 정치

2025.09.23. 18:19

썸네일

비시민권자 유권자 명부 삭제하라

글렌 영킨 버지니아 주지사가 유권자명부에서 비시민권자를 삭제하기 위해 연방정부와 각종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버지니아 선거국과 선거위원회는 연방국토안보부 및 연방선거지원위원회 등의 협조요청에 즉각 응해야 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유권자명부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소셜시큐리티 번호를 이용해 유권자명부에 등재된 유권자의 시민권 보유 여부를 검사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     하지만 영킨 주지사는 지난 2024년 행정명령을 통해 유권자 명부에서 실수로 자격을 갖춘 유권자를 삭제한 혐의로 소송을 당하기도 했다. 영킨 주지사는 ““선거를 둘러싼 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돼 선거 보안도 이에 맞춰 발전해야 한다” 면서  “이번 행정명령은 새롭게 대두되는 위험에 대비하고, 모든 지역에서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며, 모든 주민이 자유롭고 공정하며 안전한 선거를 계속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비시민권자 유권자 비시민권자 유권자 유권자 명부 버지니아 선거국

2025.09.23. 9:59

썸네일

유권자 등록 하세요

LA 한인회와 한미연합회(KAC)가 16일 LA한인타운 코리아타운플라자에서 유권자 등록 지원 부스를 운영했다. 오는 11월 연방하원 선거구 확정 주민투표와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한인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다. 이날 100여 명이 부스를 방문했으며, 약 30명이 신규 등록을 마쳤다. 송윤서 기자유권자 유권자 등록 la한인타운 코리아타운플라자 연방하원 선거구

2025.09.16. 21:29

썸네일

죽은 개까지 유권자로 등록… 60대 여성 중범죄 혐의

자신이 키우는 개를 유권자로 등록하고 두 차례 선거에서 반려견 이름으로 투표한 여성이 중범죄 혐의로 기소됐다.   OC검찰이 5일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코스타메사에 사는 로라 리 유렉스(62)는 지난 2021년 가주 지사 소환 선거와 2022년 열린 가주 총선거 예선에서 자신의 개 이름으로 투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유렉스가 두 차례 모두 우편 투표용지를 이용해 투표했으며, 2021년 투표는 집계에 포함됐으나, 2022년 투표는 집계에서 제외됐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유렉스는 2022년 1월 자신의 개 마야가 투표 완료 스티커를 붙인 채 투표용지를 놓고 포즈를 취한 사진을 소셜미디어에 게시했다. 유렉스는 지난해 10월 마야의 개 목걸이와 우편 투표용지가 담긴 사진에 ‘마야는 여전히 투표용지를 받고 있다’란 설명을  달았다는 혐의도 받고 있다. 당시 마야는 이미 죽은 상태였다.   ABC방송은 유렉스가 OC선거관리국에 연락해 “자신의 개 마야 진 유렉스(Maya Jean Yourex) 명의로 받은 우편투표용지로 실제 투표했다”고 자진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5일 보도했다.   검찰은 조사 결과, 유렉스를 기소할 충분한 증거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유렉스는 위증 1건, 허위 또는 위조문서 제출 1건, 투표 자격 없이 투표한 행위 2건, 실존하지 않는 인물의 유권자 등록 1건 등 총 5건의 혐의로 기소됐다.   모든 혐의가 유죄로 인정될 경우, 유렉스에겐 최고 6년의 실형이 선고될 수 있다.  유권자 투표 우편 투표용지 투표 자격 투표 완료

2025.09.08. 20:00

썸네일

한인권익신장위원회 유권자 등록 활동

 한인권익신장위원회 유권자 한인권익신장위원회 유권자

2025.09.04. 18:02

썸네일

“모든 IL 유권자 정보 제출하라”

연방 법무무가 일리노이 주 선거관리위원회에 모든 유권자들에 대한 정보 제공을 재차 요구했다. 이전에 제출한 유권자들의 일부 정보가 아닌 보다 자세한 내용을 9월 1일까지 제출할 것을 지시했다.     연방 법무부는 지난 21일 일리노이 주 선관위에 발송한 이메일을 통해 유권자 정보 제출을 요구했다. 9월 1일까지 요구한 모든 정보를 제출하라고 명령한 것이다.   일리노이 주 선관위는 연방 법무부의 요구에 대해 법적인 이슈를 검토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달라며 기한을 연장해 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연방 법무부는 일리노이 주 선관위에 유권자 정보를 요구하면서 지난 1993년 통과된 전국유권자법을 근거로 들었다.     이 법은 각 주 정부로 하여금 유권자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업데이트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유권자가 사망하거나 다른 주로 이주를 하는 등의 변동 사항이 있을 시 이를 얼마나 정확하게 관리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해 유권자 정보를 제출하라고 명령한 것이다.     연방 법무부는 일리노이 주 선관위가 시민권 자격을 잃어 유권자 리스트에서 삭제됐거나 중범죄를 저질러 투표권을 잃은 경우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살피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일리노이 주 선관위는 연방 법무부에 유권자 정보 일부를 제공했다. 유권자의 이름과 주소, 투표 이력, 유권자 등록 날짜 등이 포함된 정보였다.     하지만 민감한 개인 정보인 생년월일과 운전면허번호, 소셜시큐리티번호 마지막 네 자리 번호 등은 넘기지 않았다. 연방개인정보법과 일리노이신분보호법, 일리노이개인정보보호법 등을 이유로 들었다.     연방 법무부는 유권자의 전체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운전면허번호, 소셜번호 마지막 네 자리를 포함한 모든 유권자 정보를 다시 넘길 것을 재차 요구하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유권자 정보 일리노이신분보호법 일리노이개인정보보호법 유권자 정보 유권자 리스트

2025.08.26. 13:45

썸네일

연방 법무부, IL 유권자 정보 요청

연방 법무부 시민권리국이 일리노이 주 선거 당국에 유권자 등록 데이터 전체를 요청했다.     해당 내용에는 주민들의 운전면허 번호, 소셜시큐리티번호,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가 포함돼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연방 법무부가 지난 28일 요청한 자료에는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유권자 명부 정리를 담당한 일리노이 주내 모든 선거관리 책임자 명단도 포함됐으며 정리 실태에 대한 구체적 설명도 요구하고 있다.     연방 법무부는 유권자 명단 정비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일부 카운티가 확인 통지서를 보내지 않았거나, 전체 등록 유권자 수보다 더 많은 통지서를 발송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방 법무부의 요청은 보수 성향의 법률 단체인 ‘쥬디셜 워치’(Judicial Watch)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쥬디셜 위치’는 일리노이 주 일부 카운티가 유권자 명부를 제대로 정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해 놓은 상태다.     연방 법무부의 요청에 대해 일리노이 주 선거관리위원회는 법무부의 자료 요청 내용을 검토 중이라며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연방 법무부의 자료 요청과 관련 “연방법은 법무부가 이런 민감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주지 않고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Kevin Rho 기자법무부 유권자 유권자 정보 유권자 명부 유권자 명단

2025.07.31. 13:35

썸네일

아태계, 트럼프 비호감 급증…고율 관세 정책에 불만 많아

한인 등 아시아태평양계 유권자들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비호감도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고관세 정책으로 인한 생활비 부담 등을 우려했다. 23일 데이터 조사기관 AAPI 데이터와 AP-NORC 공공문제연구센터 조사에 따르면 아태계 유권자의 트럼프 대통령 비호감도가 6월 기준 71%로 지난해 12월(60%)보다 11%포인트 늘었다.   비호감도가 높아진 원인으로는 ‘고관세 정책’이 꼽혔다. 응답자 중 85%는 고관세 정책으로 인한 소비자 물가 상승을 가장 우려했다.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 유권자의 대통령 비호감도는 90~93%에 달했다. 반면, 공화당 지지 유권자의 대통령 비호감도는 대선 직후 16%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26%로 늘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아태계 유권자 아태계 유권자 대통령 비호감도 트럼프 대통령

2025.07.23. 20:51

썸네일

조지아서 또 대규모 유권자 명부 삭제

조지아주가 내년 연방상원의원 및 주지사 선거를 앞두고 50만명 가까운 유권자를 선거인 명부에서 일괄 삭제한다.   선거 당국은 주소지가 명확하지 않은 유권자의 투표권을 취소하는 것은 선거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유권자 권리 단체는 기본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브래드 라펜스퍼거 조지아 국무장관은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사나 잠적 등으로 거주지가 확인되지 않는 거주불명자 47만 8000명을 선거인 명부에서 삭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엔 타주 이주(26만7000명), 주소지 불명(10만 5000명), 근 10년간 투표 미참여(10만6000명) 등의 사유에 속하는 유권자들이 포함돼 있다.   조지아 공화당은 이중 등재자를 가려내 부정투표 우려를 불식시킨다는 명목으로 2년마다 선거인 명부를 새로 작성한다. 다만 올해 명부 삭제 대상자 수는 이례적으로 많다. 조지아 총 유권자 수 840만명의 6%에 달하는 수치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2017년 53만 4000명 등록 취소에 이어 역대 최대 규모의 투표권 취소 조처”라고 밝혔다.   유권자 단체는 거소 신고가 불명확하다는 이유로 투표권 행사를 제한하는 것은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비판했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 조지아 지부에 따르면 거주불명자는 주로 자가를 보유하지 못한 유색인종, 저소득층, 젊은층에 해당할 확률이 높다. 선거인 명부 재작성이 취약계층을 겨냥한 투표권 차별이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이유다.   투표권 옹호 단체 ‘페어 파이트 액션’의 맥스 플루그래스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는 “이전 선거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투표권을 박탈하는 것은 헌법에 어긋난다”며 “유권자를 억압하는 과도한 행정적 개입”이라고 비판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조지아 유권자 투표권 취소 투표권 단체 투표권 행사

2025.07.10. 14:57

썸네일

"가주 잘못된 방향으로 가"…유권자 10명 중 6명 응답

가주 유권자 10명 중 6명이 가주의 방향이 잘못됐다고 평가했다.   또, 주거 부담과 정치 지도자들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C어바인(UCI)이 지난 5월과 6월 세 차례에 걸쳐 46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해 2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가주 주민의 60%가 주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했다.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0%에 그쳤다. 현재 가주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주거 문제가 꼽혔다. 응답자의 70%가 주 예산을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우선적으로 투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윤재 기자유권자 방향 가주의 방향 주거 문제 정치 지도자들

2025.07.02. 21:26

뉴욕주 유권자, SALT 공제한도 상향 두고 의견 팽팽

뉴욕주 유권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국정 의제가 담긴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안(The One, Big, Beautiful Bill)'에 대해 전반적으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항목별로는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시에나칼리지가 공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욕주 유권자 52%는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법안이 삶을 개선하기는커녕 악화시킬 것이라고 응답했다. 긍정적인 의견을 보인 비율은 28%뿐이었다.     먼저 지방세(SALT) 공제한도 상한선 상향 방안에 대해서는 팽팽하게 의견이 갈렸다. SALT 공제 한도를 현행 1만 달러에서 4만 달러로 상향하는 방안에 대해 35%는 지지 의사를 밝혔지만, 32%는 현행 1만 달러 한도를 유지하는 것에 찬성했다. 19%는 이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답했고, 14%는 중립 의사를 밝혔다.     법인세 인하와 푸드스탬프(SNAP) 수혜 축소에 대해서는 뉴욕주 유권자들 대부분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법안은 2017년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도입된 법인세 인하를 영구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에 대해 뉴욕 유권자의 61%는 반대했으며 찬성은 24%에 그쳤다.     또한 2034년까지 SNAP 예산 약 267억 달러를 감축하는 조항에 대해 뉴욕 주민 66%는 반대한다고 응답, 찬성하는 비율은 23%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이 조항이 수백만 명의 식량 지원을 줄일 수 있고, 뉴욕주정부에만 연간 최대 20억 달러의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만 팁 소득 면세 조항과 메디케이드 수혜자 근로 요건 강화 항목에 대해서는 유권자들의 반응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법안은 19~64세 메디케이드 수혜자가 매달 80시간의 근로·교육·훈련·지역사회 봉사 등을 의무적으로 수행하고 6개월마다 자격 갱신 시 해당 활동을 증명하고 보고하도록 요구한다. 이에 대해 뉴욕 유권자 48%는 지지한다고 밝혔고, 32%는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또 연소득이 16만 달러 미만인 근로자들이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신고한 팁을 소득세 계산에서 전액 공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61%가 찬성, 21%가 반대했다.     한편 1일 연방상원에서 가까스로 통과된 감세 법안은 2일 하원 공화당 일부 의원들의 반발로 통과에 어려움을 겪었다.     일부 의원들은 “충분한 내부 검토와 협의 없이 밀어붙이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으며, 메디케이드·SNAP 등 복지 예산 삭감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독립기념일인 7월 4일까지 법안을 반드시 통과시키도록 의회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공제한도 유권자 뉴욕주 유권자들 뉴욕 유권자 salt 공제

2025.07.02. 21: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