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차량을 이용한 호출형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이모(Waymo)가 내년 달라스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7월 29일 발표했다. 달라스 모닝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달라스의 로보택시 서비스는 오스틴, 애틀랜타, 로스앤젤레스, 피닉스, 샌프란시스코에 이어 미국내 여섯 번째다.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Alphabet)의 자회사로 라이다(LiDAR)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미국 기업인 웨이모는 달라스를 선택한 이유로 “활기찬 도심과 분주한 메트로 지역”을 꼽았으며 마이애미, 워싱턴 D.C. 등 다른 도시에도 자율주행 차량을 배치할 계획이라고 아울러 밝혔다. 웨이모는 성명을 통해 “달라스는 미국 10대 도시 중 교통사고 사망률이 가장 높은 도시로, 도로 안전을 개선할 수 있는 뚜렷한 기회가 있다. 우리가 서비스를 운영 중인 도시에서 이미 도로가 더 안전해지고 있다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달라스시와 협력하여 ‘비전 제로’(Vision Zero)를 함께 실현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웨이모에 따르면, 달라스 메트로 지역은 승차 호출(trip volume) 기준 미국내 상위 10대 도시 중 하나다. 한편, 텍사스 도로에는 자율주행 차량의 존재감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우버는 지난 5월 알링턴에서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으며 리프트는 지난 2월 달라스에 자율주행 차량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오로라(Aurora), 볼보 오토노모스(Volvo Autonomous), 플러스(Plus), 코디악 로보틱스(Kodiak Robotics) 등 여러 자율주행 기술 기업들이 텍사스주 고속도로에서 18륜 대형 트럭용 자율주행 기술을 시험 중이다. 텍사스 주의회는 이번 회기에 자율주행 기업이 안전 계획을 주정부에 제출하고 운영 허가를 받도록 하는 새로운 규제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해당 규정은 지난주 시작된 공개 규칙 제정 절차 이후 시행될 예정이다. 웨이모는 올해 여름 초 달라스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지도 작성을 완료했으며 현재 안전 요원이 탑승한 상태에서 시험 주행을 진행 중이다. 달라스 시민들은 웨이모 앱을 통해 웨이모의 5세대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된 재규어(Jaguar) I-PACE 전기차를 호출할 수 있게 된다. 웨이모 대변인에 따르면, 달라스의 서비스 요금은 다른 도시들과 비슷한 수준이며 사용자는 차량을 요청하기전 예상 요금, 대기 시간, 도착 예상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웨이모와 차량 인프라, 정비, 운영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수년간의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렌터카 기업 에이비스 버짓 그룹(Avis Budget Group)은 달라스의 차량 관리를 맡게 된다. 웨이모는 에이비스와의 협력을 통해 앞으로 단계적으로 수백대의 자율주행 차량을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손혜성 기자미국 달라스 내년 달라스 달라스 메트 달라스 모닝
2025.07.30. 7:23
동생 결혼식 참석 차 한국을 방문했던 한인 영주권자가 미국 입국 심사 과정에서 일주일이 넘도록 구금 중인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다. 14년 전 소량의 마리화나 소지 혐의로 기소된 전력이 있는 영주권자인 김태흥(40.사진)씨는 공항 2차 심사대에서 세관국경보호국(CBP)에 의해 8일째 구금 중이다. 가족은 물론 변호사 접견까지 불허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일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김씨가 한국에서 귀국하던 중 지난 21일 샌프란시스코국제공항(SFO)에서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됐다고 29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김씨가 35년 이상 미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텍사스 A&M대 박사과정에서 라임병 백신 개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구금 시설내 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문자 메시지만 보낼 수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현재 김씨는 천식을 앓고 있어 의료적 조치가 필요한 상태임에도 약을 제공받고 있는지 여부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다. 김씨측 변호사 에릭 리씨는 "CBP 감독관에게 김씨에게 헌법상 수정헌법 제5조(적법 절차)와 제6조(변호인 조력권)가 적용되는지를 물었으나 '적용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35년간 미국에 거주한 영주권자가 헌법이 보장하는 보호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변호인 측은 CBP가 최대 구금 가능 기간(72시간)도 넘겼다고 주장했다. 리 변호사는 CBP가 ▶김 씨를 일주일 넘게 공항 내 별도 공간에 구금 ▶24시간 내내 조명을 켜두고 ▶밤에만 창문 근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침대 없이 의자에서 잠을 자게 했다고 주장했다. WP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 2011년 텍사스에서 소량의 마리화나를 소지했다는 이유로 기소됐지만, 사회봉사 명령을 모두 이행하면서 해당 기소 전력은 법원에 의해 비공개 처리된 상태다. 리 변호사는 "설령 이러한 기소 전력이 문제가 된다해도 이민법상 '면제 사유(waiver)'가 적용 가능한 사례"라고 말했다. 김씨는 5살 때 부모와 함께 이민을 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의 부모는 시민권을 취득한 상태다. 어머니 샤론 이(65) 씨는 "공정과 평등의 나라라 믿고 이민을 왔고, 아들은 미국이 고향"이라며 "시민권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부당한 대우를 받아선 안 된다"고 호소했다. 한인 단체들도 김씨의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이하 NAKASEC) 측은 성명을 통해 "김씨가 텍사스로 돌아가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베키 벨코어 NAKASEC 공동대표는 "이번 사례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아시안 커뮤니티, 그리고 헌법 권리에 대한 탄압이 얼마나 위험하게 확대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며 "한 명의 권리가 침해되는 순간 모두의 권리가 위협받게 된다"고 비판했다. 현재는 김씨의 구금 장소도 불분명한 상황이다. NAKASEC 한영운 조직국장은 29일 본지와의 전화 통화에서 "28일까지는 공항에 구금된 것이 맞지만, 이후 이민 구금센터로 옮겨졌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러스티 페인 CBP 공보관은 29일 본지 질의에 "영주권자가 마약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게 되면, 신분 위반으로 간주돼 출국 명령서(Notice to Appear)가 발부되며, 추방 절차를 위해 ICE에 구금될 수도 있다"고만 말했다. 강한길 기자미국 영주권자 한인 영주권자 한인 단체들 기소 전력
2025.07.29. 21:37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전쟁 정전협정 72주년을 맞아 굳건한 한미동맹을 강조하고 미국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지키겠다고 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정전협정 64주년을 맞아 ‘한국전 정전기념일’을 선포했으며 퇴임 전인 2020년까지 매년 특별 메시지를 발표하는 성의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별 메시지를 통해 “아시아에 공산주의 악령이 여전히 버티고 있더라도, 미국과 한국 군대는 현재까지 철통같은 동맹을 맺고 일치단결해 왔다(Although the evils of communism still persist in Asia, American and South Korean forces remain united in an ironclad alliance to this day)”면서 “우리 행정부의 ‘힘에 의한 평화’라는 외교정책 가이드라인에 따라 우리는 한반도를 보호하고 ‘안전, 안정화, 번영, 그리고 평화’의 소중한 목표를 위해 협력하고 이를 위해 전념할 것(Guided by my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of peace through strength, we remain steadfastly committed to safeguar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working together for the noble causes of safety, stability, prosperity, and peace)”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정전협정 체결 후 70년 이상이 흘렀으나 아직도 분단된 상황”이라고 언급하고 “첫 임기 중 미국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비무장지대(DMZ)를 넘어 북한에 갔던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전했다. 그는 당시 북한 비핵화와 미국인 석방,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 등을 위해 북한을 최대한 압박하고 제재를 가했던 사실을 상기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전에서 모두 3만2천명 이상의 미군이 전사하고 9만3천명이 부상, 수만명이 포로로 잡히고 실종됐던 사실을 되새기며 그들의 헌신에 특별한 감사를 전했다. 이번 메시지에는 북한은 물론 중국의 개입을 명확히 하고 장진호(Chosin Reservoir), 단장의 능선(Heartbreak Ridge), 폭찹힐(Pork Chop Hill) 전투 등을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한미동맹 트럼프 대통령 한국전쟁 정전협정 도널드 트럼프
2025.07.29. 12:47
전례없이 많은 미국인들이 제프리 엡스타인 파일에 대해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가 28일 10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26%가 관련 파일에 대한 뉴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으며, 38%가 상당히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관심이 적다는 답변은 24%, 아주 없다는 답변은 11%였다. 대체로 50%가 넘는 관심도를 보이는 사회적 이슈가 드물다는 점에 비춰보면 과잉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원 관심도(73%)가 무당파(66%), 공화당(56%), MAGA 핵심 지지계층(58%)보다 더 높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문제에 대해 잘 대처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불만족(58%)이 만족(16%)이나 무응답(26%)보다 훨씬 많았다. 하지만 MAGA(43%)와 공화당(38%) 만족도가 민주당(7%)과 무당파(8%)에 비해 훨씬 높았다. 엡스타인 파일을 모두 공개하는데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강력하게 찬성한다(67%), 다소 찬성한다(19%)가, 각종 반대 의견(5%)를 압도했다. 파일을 공개해야 한다는 답변 비율은 민주당(90%)은 물론 공화당(83%)과 MAGA(82%) 진영에서도 매우 높았다. 엡스타인 파일이 공개될 경우 누가 가장 큰 곤경에 빠질 것이라고 추측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갑부(84%), 민주당 정치인(66%), 트럼프 대통령(61%) 순이었다. 공화당원은 민주당 정치인과 갑부 답변 비율이 높은 반면, 민주당원은 트럼프 대통령을 지목하는 비율이 높았다. 엡스타인이 교도소에서 자살했는지 혹은 타살당했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타살(44%) 답변이 자살(15%)의 세배에 달했다. 각종 언론은 ‘미성년자 성착취’로 수감 중인 지난 2019년 사망한 억만장자 엡스타인이 트럼프 대통령과 오랜 기간 친분을 쌓았으며 모종의 사건에 연루돼 있을 것이라며 의혹을 제기하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4년 동안 엡스타인 파일을 관리했는데, 그들이 뭔가 갖고 있었다면, 벌써 공개하고도 남았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일부 언론은 엡스타인 파일 고객 접대 명단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이 여러 차례 등장했다고 보도했으나, 백악관은 모두 가짜 뉴스라고 반박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엡스타인 엡스타인 파일 억만장자 엡스타인 제프리 엡스타인
2025.07.29. 12:45
일부 한국산 냉동 ‘반각 굴’의 노로바이러스 감염 우려가 제기됐다. 보건당국은 소비자와 업계에 섭취 및 유통 중단을 권고했다. 연방식품의약국(FDA)은 한국 경상남도 통영에서 수확된 냉동 생 반각 굴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24일 밝혔다. FDA에 따르면 문제가 된 제품은 올해 1월 12일 통영에서 수확, 현지 가공업체 ‘JBR(시설번호 KR-15-SP)'을 통해 처리된 것이다. 제품 식별번호는 ‘B250112’, 유통기한은 2027년 1월 12일까지다. 해당 굴은 버논에 위치한 한인 식품업체 ‘왕 글로벌넷’을 통해 수입됐으며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콜로라도, 몬태나, 유타 등 서부 5개 주에서 주로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주 외에 다른 지역에도 유통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건당국은 밝혔다. 유타주 농업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6일 이 제품을 섭취한 뒤 노로바이러스 증세를 보인 환자가 발생했다. 수입업체인 왕 글로벌넷 측은 지난 21일부터 자발적 리콜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노로바이러스는 감염력이 강해 12~48시간 내 설사, 구토,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어린이와 노약자, 기저질환자는 탈수 등 합병증 위험이 크다. FDA는 소비자에게 제품 라벨을 확인해 해당 식별번호가 적힌 굴이 있으면 바로 폐기하고, 감염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병원을 찾으라고 당부했다. 강한길 기자노로바이러스 한국산 노로바이러스 안전 노로바이러스 증세 노로바이러스 감염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냉동 굴 통영 굴
2025.07.28. 20:24
LA 지역 시니어 노숙 인구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복지 서비스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온라인 매체 LAist는 노숙자 전수조사 결과를 인용, 올해 65세 이상 노숙 인구는 지난해보다 17% 이상 증가한 4680명에 달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23년(3427명)과 비교해도 약 36%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 매체는 팬데믹 시기 일시적으로 확대됐던 연방·주 정부의 예산 지원이 대부분 종료되고 있지만, 시니어 센터·의료 연계 등의 복지 서비스는 되레 축소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시행되면 그 여파로 향후 10년간 메디케이드(Medi-Cal) 예산 1조 달러 감축이 예고돼 단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샌퍼낸도밸리에서 시니어센터를 운영하는 비영리단체 ‘원제너레이션(ONEgeneration)’은 전체 7개 센터 중 최소 2곳의 폐쇄를 검토 중이다. 이 단체가 운영하는 시니어를 위한 무료 식사 배달 프로그램 역시 30%가량 축소될 예정이다. 단체 측은 “최근 혼자 사는 101세 노인이 있었는데 신규 등록을 받지 못했다”며 “심지어 기존 수혜자에게도 서비스 중단을 통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사회복지 비영리단체인 JFSLA도 메디케이드 삭감과 시 예산 감소로 인해 주요 프로그램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엘리 바이처 JFSLA 대표는 “시니어층이 거리로 내몰리는 것은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노숙자가 되기 전에 막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비용도 적게 든다”고 강조했다. LA시의 경우 올해 13억 달러 규모 예산을 발표하면서 노인국(Department of Aging)을 청년·고용 부서와 통합했다. 시정부 측은 통합이 시니어 서비스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시니어 관련 정책의 전문성과 독립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인타운 내 사회복지 기관들도 이러한 서비스 축소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시니어센터의 한 관계자는 “부서 통합은 결국 배정 예산 축소로 이어지고, 이는 시니어 복지 서비스 감소로 직결된다”며 “결국 사회적으로 가장 취약한 시니어층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시니어층 노숙은 막기 어려운 문제가 아니라, 예방이 가능한 위기”라며 정책적 우선순위 재조정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11월 통과된 노숙자 대응 세금 조치 ‘Measure A’로 확보된 예산 6억 3700만 달러 중 시니어를 위한 항목은 500만 달러로 전체의 1%도 채 되지 않는다. 강한길 기자 [email protected]시니어 노숙자 시니어 서비스 노숙자 전수조사 복지 서비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시니어센터 메디케이드
2025.07.28. 20:23
가주 전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늘고 있다. 북가주에서 먼저 증가세가 관측된 뒤 최근 남가주에서도 양성률이 상승하며 올여름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가주 공공보건국(CDPH)에 따르면 7월 초 기준 주 평균 코로나 검사 양성률은 5.5%로 겨울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LA카운티는 지난 12일 기준 6.4%로 전주(4.8%)보다 올랐고, 오렌지카운티도 6.3%를 기록했다. 북가주 실리콘밸리(샌호세·팔로알토)와 샌프란시스코에서는 하수 분석에서 바이러스량이 뚜렷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DPH 에리카 판 국장은 “이번 증가는 여름철 소규모 확산으로 보이며, 정점은 8월 말쯤 될 것”이라고 밝혔다. UC샌프란시스코 전염병 전문가 피터 친-홍 교수도 “면역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새 변이가 확산되고 있어 작년과 비슷하거나 더 큰 여름 유행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주요 유행 변이는 NB.1.8.1(‘님버스’)와 XFG(‘스트라터스’)로 두 변이 모두 전염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님버스 감염자는 ‘칼날이 박힌 듯한 인후통(razor blade throat)’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다. 다만 현재 사용 중인 백신이 이들 변이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코로나19 백신 정책을 둘러싼 논란도 커지고 있다. 가주 보건당국은 생후 6개월 이상 전 연령층에 백신 접종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건강한 어린이와 임산부에 대한 접종 권고를 철회했다. 이에 대해 판 국장은 “임산부도 위험군에 포함되는데 접종 권고에서 제외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소아과학회, 공중보건협회 등 보건단체들은 과학적 근거 없이 지침을 변경했다며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연방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한편, 연방정부가 제안한 예산안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예산을 92억 달러에서 43억 달러로 절반 이상 줄이는 내용을 담고 있어 가주 공중보건 대응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LA카운티 보건국은 이 경우 연간 2억 달러 이상, 감염병 대응에만 4500만 달러 이상이 줄어들어 직원 해고와 프로그램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보건국 관계자는 “감염병 대응은 물론 음식점 위생, 해수욕장 수질 관리, 산불 대응 등 공중보건 전반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연방 법원이 예산 회수 시도를 일시 정지한 상태지만, 판결 결과에 따라 예산 삭감이 현실화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는 여전히 계절성 유행을 일으키고 있다”며 ▶증상자와 접촉 자제 ▶실내 환기 ▶예방 접종 갱신 등 기본적인 주의를 당부했다. 강한길 기자코로나 남가주 백신 접종률 코로나 검사 임산부 백신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코로나 변이 코로나19
2025.07.28. 20:21
미국 유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 요즘 가장 흔한 고민은 "졸업 후 아이가 과연 미국에 남을 수 있을까?"라는 문제입니다. 유학생 비자의 불안정한 체류 조건, OPT와 H-1B 등 취업비자의 불확실성 속에서 결국 미국 영주권의 필요성이 절실히 느껴지고, 이 과정에서 비교적 진입 장벽이 낮아 보이는 EB-3 비숙련 취업이민이 대안으로 떠오릅니다. 하지만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고 해서, 누구나 성공하는 제도는 아닙니다. 오히려 진입 문턱이 낮은 만큼 철저한 준비와 진정성 없는 접근은 영주권 취득을 오히려 더 큰 리스크로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부모님들이 “우리 아이는 유학생인데, 지금 영주권이 꼭 필요해서 비숙련을 알아보고 있어요”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우리는 항상 강조합니다. “비숙련은 신청은 쉬울지 몰라도, 진행은 쉽지 않습니다.” EB-3 비숙련 이민은 전문 기술이나 경력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지원자가 많고, 그로 인해 수속 기간이 가장 긴 이민 카테고리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현재 승인되고 있는 케이스는 대부분 2021년에 접수된 것으로, 수속에만 최소 4~5년이 걸립니다. 더 큰 문제는 ‘고용주의 변심’입니다. 노동허가 전후에 고용주가 고용 의사를 철회하면서 이민청원서(I-140)가 접수되지 못하고 무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알선 업체는 이러한 사정을 숨기고 무작정 다른 곳에 재접수를 권유하거나, 고객 케이스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해 시간과 비용이 낭비됩니다. 그러나 고용주보다 더 큰 변수는 신청자의 마음가짐입니다. ‘영주권만 받으면 끝’이라는 태도로 비숙련 이민을 선택하면, 그 순간이 문제의 시작입니다. 비숙련 취업이민은 근무를 전제로 한 영주권으로, 영주권 취득 후 반드시 실제 근무를 이행해야 할 법적 의무가 따릅니다. 일부 유학생과 부모들은 애초부터 근무할 생각 없이 영주권만 빠르게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비숙련 이민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영주권 취득 후 근무 이탈률이 90%를 넘는 사례도 있으며, 이로 인해 고용주가 전체 한국인 케이스를 철회하거나 프로그램 자체를 종료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결국 무책임한 결정이 다른 사람의 기회까지 빼앗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민 수속은 진정성 있는 계획과 책임감 있는 선택이 핵심입니다. 몇 년이 걸릴 수 있는 긴 여정 속에서 단순히 영주권만을 목표로 해서는 안 됩니다. 수속 전, 실제 근무 가능 여부와 시작 시기, 직무 환경 등을 충분히 확인하고, 고용주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영주권은 단순한 ‘신분 보장서’가 아니라, 미국 내에서 정당하게 일하고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책임 있는 권리의 출발점입니다. 매년 국가별·카테고리별로 발급 수가 정해진 ‘쿼터’ 제도 속에서 무작정 신청자 수만 늘린다고 모두 승인되는 것도 아닙니다. 어떤 고용주, 어떤 프로그램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진정성 없이 시작된 수속은 결국 본인에게도, 다른 이에게도 해가 됩니다. 가장 저렴하고 쉬워 보인다는 이유로 비숙련 취업이민을 가볍게 선택하지 마십시오. 이민 수속은 시작보다 끝이 중요하며, 영주권 이후의 삶을 책임질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만 성공적인 미국 정착이 가능합니다. 진짜 기회를 원한다면,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와 함께 전략적으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미국 취업이민 카카오톡 상담: https://pf.kakao.com/_xhbxors/chat / TIS VISA미국 본사: https://tisvisa.com/ AI 생성 기사미국 이민 비숙련 취업이민 비숙련 이민 이민 수속
2025.07.28. 15:47
남가주 지역에서 불법 체류자 단속이 전방위적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최근 단속 요원의 주택 급습 사례도 잇따르고 있어 한인 등 이민 사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온라인 매체 ‘LA 타코’는 이민세관단속국(ICE)을 비롯한 연방수사국(FBI), 마약단속국(DEA), 주류·담배·화기·폭발물 단속국(ATF), 연방마셜(US Marshals), 국경순찰대(Border Patrol) 등이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주택가에서도 단속을 진행하고 있다고 24일 보도했다. 가장 최근 단속을 보면, 지난 24일 오렌지시 터스틴 스트리트의 한 아파트에서 마스크를 쓴 ICE 요원들이 단속을 진행했다. 이에 앞서 23일 오전 7시쯤 샌타애나 지역 버치 스트리트와 1가 교차로 인근에서도 ICE와 ATF 요원들이 한 주택을 급습했다. 당시 집안에 있던 여성과 어린이들이 길가에 서서 조사를 받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한인타운노동연대(KIWA)의 윤대중 커뮤니티 연대 디렉터는 “ICE 요원들이 얼굴을 가리고 인종차별적 표적 수사를 벌이는 상황이 심각하다”며 “최근 건물주에게 세입자 정보를 요구하는 사례까지 나오며, 이민자들이 공포를 느끼고 있는데, 요원들의 주택 급습 시 자신의 법적 권리를 알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7일에는 헌팅턴파크 플라워 스트리트 3500블록의 한 주택에서 연방 요원들이 현관문을 부순 뒤 진입하는 일도 있었다. 이 주택 거주자인 제니 라미레스는 매체들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6세, 1세 자녀와 함께 복도 바닥에 납작 엎드려야 했다”고 토로했다. 지난달 24일에는 웨스트 LA 지역 라파예트 불러바드 인근 한 주택 앞에서 이란인 난민 부부가 마스크를 쓴 연방 요원들에게 체포됐다. 이들이 출석 중인 코너스톤교회의 아라 토로시안 목사는 “연방 요원들은 판사 서명이 있는 영장도 보여주지 않았다”며 “체포된 여성이 공황 발작을 일으켜 연방 요원들에게 ‘그녀를 당장 풀어주고 911을 불러라’고 외쳤지만 소용없었다”고 말했다. 송정훈 이민법 변호사는 “ICE 요원이 집을 방문하거나 들어오려 할 때는 먼저 ICE 또는 국토안보부(DHS) 소속인지 확인하고, 영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판사의 서명이 없는 행정영장(ICE Form I-200·I-205)만으로는 거주자의 동의 없이 집에 들어올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송 변호사는 “이미 집안에 들어왔다면 수색과 진입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혀야 하며, 체포 시에는 묵비권을 행사하고 변호사와 상담할 권리를 주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크리스티 놈 DHS 장관은 직접 ICE 단속 활동에 동행하는 모습을 보여 논란이 되기도 한다. 놈 장관은 지난달 12일 ICE 요원들과 헌팅턴파크 플라워 스트리트 인근 주택을 급습, 멕시코 국적의 불법 체류자이자 마약 밀매 전과자를 체포하는 작전에 함께 하기도 했다. 강한길 기자남가주 주택가 지역 주택가 ice 요원들 남가주 전역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불법 체류자 단속 ICE 단속
2025.07.27. 20:24
미국으로 입양된 한국인 아동 수가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냈다. 과거 미국으로 국제입양을 많이 보냈던 국가들이 최근 잇달아 국제 입양을 제한했고, 윤리적인 문제도 부각되면서 전반적인 미국 내 국제입양 건수도 급감 추세였다. 27일 국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미국에서 진행된 총 국제입양 건수는 총 1275건이었다. 미국의 국제입양 건수는 2004년 2만298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감소세를 나타냈다. 국제입양이 가장 활발했던 2004년과 비교하면 미국의 국제입양은 약 94% 급감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총 입양 건수 중 국제입양 비율도 줄었다. 국제입양이 활발히 진행된 입양 발원국 순위도 최근 들어 변화하는 모습이다. 1999년부터 2023년까지 누적 기준으로 미국으로 입양된 아동의 출신 국가를 살펴보면 5개국 출신이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중국(29%), 러시아(16%), 과테말라(10%), 한국(8%), 에티오피아(6%) 순으로 한국도 4위였다. 그러나 2023년 통계에서 미국으로 입양을 가장 많이 보낸 국가는 인도(221명)였으며, 콜롬비아(200명), 불가리아(83명), 아이티(80명), 나이지리아(62명)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8위였다. 이처럼 입양 발원국 순위가 바뀐 이유는 많은 국가가 최근 국제 입양을 사실상 중단했거나 엄격히 제한한 탓이다. 중국과 에티오피아는 각각 2024년과 2018년에 국제 입양을 법으로 금지했고, 러시아는 2013년부터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입양을 전면 금지했다. 과테말라는 2008년, 한국은 올해 7월에 국제 입양 제도를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한국 정부는 수십 년간 누적된 입양 비리 문제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입양 체계를 민간 중심에서 국가 책임 방식으로 전면 개편할 방침이다. 실종 아동이 고아로 둔갑해 입양되거나 무자격자에게 입양돼 학대당하는 사례가 속출한 탓이다. 이처럼 입양 건수가 급감하긴 했지만, 여전히 2023년 기준 미국으로 입양된 한국 아동 수는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상위권이었다. 2004년 7038명의 아동을 미국으로 보냈던 중국의 입양 건수는 2023년 16명으로 급감했으며, 태국 역시 같은 기간 70명에서 43명으로 줄었다. 김은별 기자미국 중국 국제입양 건수 국제입양 비율 한국인 아동
2025.07.27. 18:20
프로레슬링계의 슈퍼스타 헐크 호건(Hulk Hogan·본명 테리 진 볼레아.사진)이 24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향년 71세. 연예 매체 TMZ에 따르면 호건은 플로리다주 클리어워터 지역 호건의 자택에서 이날 오전 10시(동부 시간)쯤 심정지로 쓰러진 채 발견됐다. 응급대원들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도했지만, 호건은 병원 이송 후 사망 선고를 받았다. 호건은 생전 수십 차례에 걸쳐 척추와 관절 수술을 받아왔으며, 지난달에도 척추 유합 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었다. 월드레슬링엔터테인먼트(WWE)는 이날 성명을 통해 “호건은 대중문화의 상징적인 인물이자, WWE의 세계적 확산에 핵심적 역할을 한 전설”이라고 추모했다. 호건은 1980~90년대 당대 최고의 프로레슬링 선수로 전 세계적으로 ‘헐크매니아(Hulkamania)’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노란색 민소매를 찢고, 위기 상황에서 헐크처럼 변하는 퍼포먼스, 성조기를 들고 링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 등은 당시 팬들에게 강력한 미국을 상징하는 캐릭터로 인식됐다. 호건의 경기는 당시 주한 미군을 위한 AFKN 방송을 통해 한국에서도 매주 토요일마다 방영됐었다. 호건은 얼티밋 워리어, 미스터 퍼펙트, 래비싱 릭 루드, 제이크 더 스네이크 로버츠, 마초맨 랜디 새비지, 밀리언 달러 맨, 안드레 더 자이언트, 빅 보스맨 등 당대 스타들과 함께 링을 누볐다. 당시 초등학교 등에서는 쉬는 시간만 되면 프로레슬링을 하는 아이들로 복도와 교실 뒤편이 북적일 정도였다. 지난 1953년 8월 11일 조지아주 오거스타에서 태어난 호건은 1977년 프로레슬링에 데뷔했다. 1983년 WWF(현 WWE)와 계약을 체결한 뒤 1984년 ‘아이언 시크(Iron Sheik)’를 꺾고 세계 챔피언에 오르며 인기 절정기를 맞았다. 이후 ‘헐크매니아’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간판스타로 군림했다. WWF 6회, WCW 6회를 포함해 총 12차례 세계 챔피언에 올랐으며, 2005년 WWE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영화 ‘록키 3’, ‘서버번 코만도’, ‘미스터 내니’, TV 시리즈 ‘선더 인 파라다이스’ 등에 출연했으며, 리얼리티 프로그램 ‘호건 노우즈 베스트(Hogan Knows Best)’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도 높였다. 지난해 7월에는 공화당 전당대회 무대에서 당시 도널드 트럼프 후보를 지지하기도 했다. 정윤재 기자미국 프로레슬링 슈퍼스타 헐크 프로레슬링 선수 세계적 확산
2025.07.24. 21:57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위치 추적 기능이 탑재된 전자발찌를 통해 불법체류자에 대한 감시를 한층 강화한다. 워싱턴포스트는 ICE가 전자발찌 착용 대상자를 대폭 확대하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24일 보도했다. 해당 지침은 6월 9일 자 내부 메모로 대체 구금 프로그램(Alternative to Detention·이하 ATD)에 등록돼 있는 불법체류자 모두에게 가능한 전자발찌를 착용하도록 지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단, 임신한 여성은 발목이 아닌 손목에 추적 장치를 착용하도록 예외를 두고 있다. 현재 ATD 프로그램에 등록된 불법체류자는 18만 3000명이지만, 이중 중범죄 전력과 도주 위험이 있는 2만 4000명(전체 중 약 13%)이 전자발찌를 착용하고 있다. ATD는 공공 안전에 심각한 해를 가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불법체류자들을 구금 대신 석방하는 프로그램이다. 석방된 불법체류자들은 규정에 따라 전자발찌 착용 또는 스마트폰 앱 등을 이용한 위치 보고 등을 통해 ICE에 정기적으로 출두해야 한다. 전자발찌 착용은 불법체류자를 실제 구금해서 관리하는 비용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정신적 스트레스, 인권 침해, 물리적 불편함, 사회적 낙인 등으로 착용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다. 비영리 단체 ‘저스트 퓨처’의 로라 리베라 변호사는 “새로운 전자발찌 지침은 물리적으로 구금하지 못하는 수십만 명을 감시하겠다는 것”이라며 “지역 사회와 가정을 디지털 감옥으로 만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강한길 기자 [email protected]전자발찌 불체자 전자발찌 착용 ice 대상자 전자발찌 지침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경범죄
2025.07.24. 21:52
전문 교육을 받고 기술을 보유한 한국 국적자에 연간 최대 1만5000개의 전문직 취업비자를 발급하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연방의회에서 재발의됐다. 24일 연방의회에 따르면, 영 김 연방하원의원(공화·캘리포니아)은 23일 시드니 캄라거-도브 연방하원의원(민주·캘리포니아)과 함께 ‘한국과 파트너 법안’(Partner with Korea Act)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미국 정부가 전문직 한국 국적자에 연간 최대 1만5000개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비자)를 발급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단 한국인 전문직을 채용하려는 자리에 미국인 노동자를 구할 수 없다는 점을 고용주가 보장해야 한다. 현재 미국은 전문직 취업비자(H-1B)를 발급하지만, 비자 한도가 연 8만5000개(미국 대학 석·박사 학위 보유자 2만개 포함)로 제한돼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H-1B 추첨 제도를 폐지하고 임금 수준에 따라 고소득자에게 먼저 H-1B 비자를 발급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어 미국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는 한인 유학생들의 걱정이 큰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인을 위한 E-4 비자가 별도로 만들어진다면 많은 한인이 비자 걱정 없이 일자리를 구할 수 있다. 당초 E-4 비자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포함됐어야 할 내용이지만 한국 정부는 포함하지 못했다. 이미 미국은 캐나다(무제한), 멕시코(무제한), 싱가포르(5400명), 칠레(1400명), 호주(1만500명) 등 FTA 체결 5개국에 대해 국가별 연간 쿼터(할당량)를 주고 있다. 이 법안은 2013년부터 연방의회 회기 때마다 발의됐지만 통과되지 못했다. 영 김 의원은 “중국 공산당과 북한이 더 공격적으로 나오고 세계의 규범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바꾸려고 하는 가운데 한미 파트너십은 그 어느 때보다 더 필수”라며 “한국의 고숙련 노동력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커지는 위협에 맞서 우리의 경제·국가 안보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연방의회 전문직 취업비자 한국인 전용 한국인 전문직
2025.07.24. 21:27
연방 제9순회항소법원이 2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2대 1로 해당 명령이 헌법에 위배되며, 전국적으로 효력을 정지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번 판결은 워싱턴, 애리조나, 일리노이, 오리건 등 민주당 주지사 주도의 4개 주가 제기한 소송에 따른 것으로, 제9항소법원은 “행정명령이 일부 지역에서만 중단될 경우 원고 주들이 실질적인 피해를 입게 된다”며 전국 단위의 가처분이 정당하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불체자나 영주권 없는 외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에게 시민권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민주당 소속 주지사들이 이끄는 22개 주와 워싱턴DC가 위헌 소송을 제기했고, 일부 하급심 법원은 명령의 효력을 중단시킨 바 있다. 하지만 지난달 연방대법원은 하급심 법원이 연방 정부 정책 전체에 효력 중단을 명령할 수 없다고 판시하며, 가처분 적용 범위를 원고에게만 제한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명령은 현재 소송을 제기한 주를 제외한 28개 주에서 시행 가능한 상태였다. 이번 제9항소법원 판결은 그같은 제한을 넘어서 전국적 효력 정지를 다시 인정한 첫 항소심 결정으로, 향후 연방대법원이 행정명령 자체의 위헌 여부를 본격 심리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한길 기자출생시민권 항소법원 출생시민권 제한 위헌 판결 이번 제9항소법원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2025.07.24. 21:24
미국 뉴저지에 본사와 한국 서울에 지사를 둔 ‘티맥스 그룹(Tmax Group)’이 미국 진출을 고려하는 법인 대표, 투자자, 이민 준비자들에게 실질적인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서울에서 ‘2025 미국 진출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티맥스 그룹과 상속 전문 법무법인 ‘마루’와 공동 주최하고, 미국 세무사, 미국 이민법 전문 변호사, 한국 상속 전문 변호사 등 한미 양국의 실무 전문가들이 직접 참여해 ▶미국 법인 설립 ▶부동산 투자 ▶한미 상속증여세법 ▶미국 이민 전략 등 다양한 주제를 종합적으로 다뤘다. 열띤 분위기 속에 진행된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국제 조세 이슈와 실무적인 절세 전략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한국에 거주 중인 미국 영주권자 및 시민권자들의 미국 세금 신고 의무와 관련된 설명에 많은 공감이 쏟아졌다. 또 한국과 미국 양국에 사업체를 보유한 법인 대표들이 자녀에게 자산을 이전하면서 절세하는 방법, 투자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구조 설정 및 조세조약 활용 전략 등은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특히 많은 이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한 점은 해외 투자나 자녀 증여, 이민 등의 결정을 앞두고 세무 전문가의 조언 없이 움직였다가 뒤늦게 세금 문제에 부딪히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실수를 되풀이했다는 점이다. 티맥스 그룹의 맥스 조 대표는 “미국 진출은 더 이상 일부 고소득층만의 영역이 아니라 누구든 철저한 사전 계획과 전문적인 조언만 있다면 충분히 도전 가능한 기회”라며 “앞으로도 한국과 미국을 연결하는 실질적인 세무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세미나에 대한 높은 관심에 힘입어 주최 측은 제2차 미국 진출 전략 세미나를 준비 중인데, 사전 신청자에게는 맞춤형 상담 기회도 제공할 계획이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세미나 티맥스 그룹 진출 전략 이번 세미나
2025.07.24. 20:34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미국의 인공지능(AI) 주도권 확립을 위해 ‘AI 행동 실천 플랜’을 발표하고 중국의 도전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무역을 비롯해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중국과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는 AI 등 미래 먹거리 분야까지 전선을 확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백악관이 공개한 플랜에 따르면 AI 관련 혁신 속도를 높이고, AI 인프라 구축 및 외교 및 안보 분야 선도 등 3가지를 중심 목표를 제시하고 각각의 하부 실천 계획을 명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플랜은 지난 1월23일 AI 진흥을 위한 행정명령의 후속조치다. 당시 행정명령에는 180일 내에 실천 보고서를 제출해야 했다. 플랜에는 특히 미국의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전세계 AI 표준 플랫폼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내용이 강조돼 중국과의 경쟁 우위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50개 주가 AI를 규제하지 말고 연방정부의 단일한 연방 기준을 마련하고 미국의 표준을 전세계 표준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연방당국은 미국의 AI 표준을 수립한 후 전세계에 AI 수출 패키지를 만들어 동맹국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승리 트럼프 대통령 전세계 표준 도널드 트럼프
2025.07.24. 13:30
미국 경제가 관세 영향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둔화 국면으로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22일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이 실질소득을 점점 잠식하면서 금융 여건 완화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1%로 제시했다. 그는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소득을 잠식할 것”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소비 지출 흐름이 이미 불안정해 보이는 시점에 일어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또 최근 소매판매 지표가 견조하게 나타난 것과 달리 전반적인 소비는 올해 상반기 중 정체 상태에 머물렀을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메모에서 골드만삭스는 “이는 경기침체 기간 외엔 드문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미국의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종전의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했다. 이어 내년 중 평균 관세율이 추가로 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해 3.3%에 머물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전망했다.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0% 수준으로 평가했다.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비관적인 경기 전망은 최근 미국이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관세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급등)을 불러올 것이란 초기의 우려와 달리 물가 급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국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고 긍정적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골드만삭스 관세 여파 평균 관세율 관세 영향
2025.07.23. 22:22
소득이 부족해 주택 융자가 어려운 분들에게 적합한 ‘에퀴티 리버스(Equity Reverse)’가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에퀴티 리버스는 과거 ‘점보 리버스 모기지’라고 불렸으며, HECM 리버스 모기지(일반적인 리버스 모기지)의 대체 상품에 해당한다. 대상 연령이나 주택 가격 등의 제한 사항이 크게 완화된 것이 특징이다. 최근 높은 이자율로 인해 고소득자가 아니면 주택 융자를 받기 어려운 현실에서, 소득이 적어도 신청이 가능한 것이 바로 에퀴티 리버스다. 리버스 모기지처럼 매달 페이먼트(상환금)가 없기 때문에 소득이 적은 사람도 신청할 수 있다. 소셜 연금 정도의 소득만 있어도 대부분 자격 요건을 충족한다. 이 상품은 라인 오브 크레딧(Line of Credit) 방식으로도 설정이 가능해, 일반 신용한도 대출의 대체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일반 라인 오브 크레딧처럼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인출과 상환이 가능하며, 정부 보증이 없다는 점만 제외하면 리버스 모기지와 거의 동일한 가이드라인을 따른다. 페이먼트가 없고, 부부가 모두 평생 거주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에퀴티 리버스는 일반 라인 오브 크레딧과 비교해 페이먼트가 없다는 점, 비용이 일부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1차 담보에만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반면 리버스 모기지와의 주요 차이점은 ▲연령 제한이 낮고 ▲주택 가격이 최대 1천만 달러까지 적용돼 사실상 제한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대출금으로 기존 부채를 상환하면서 클로징할 수 있어, 에퀴티(자산가치)만 충분하다면 빚이 많은 분들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가장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HECM 리버스에 비해 비용은 적게 들고 이자는 다소 높은 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장기 보유 목적이 아니라면 HECM 리버스 모기지 대신, 대체 상품인 에퀴티 리버스를 고려해볼 만하다. 주택 구입 시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다만, 노후 생활에 평생 동안 활용할 계획이라면 에퀴티 리버스보다는 HECM 리버스가 대체로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문의:(213)268-8529미국 주택융자 주택융자 대안 에퀴티 리버스 리버스 모기지
2025.07.23. 17:21
재정보조를 잘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재정보조 평가 방식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재정보조 공식과 연방법에서 해당 가정이 우선 감당해야 할 SAI(Student Aid Index) 금액이 어떻게 대학에서 평가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느 시점에 어떤 실천을 해야 하는지를 아는 지혜는 더욱 필요하다. 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시차에 따른 실천 사항’에 대한 객관적인 대처 방안이다. 특히 올해는 자녀가 진학할 대학의 재정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상담을 요청하는 학부모들이 작년보다 더욱 많아졌다. 이러한 학부모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최선을 다해 신청서를 제출했고, 대학이 요구하는 모든 서류도 일일이 챙겨냈는데, 왜 이 정도밖에 재정보조를 받을 수 없는지 억울하다.” 그러나 대학의 재정보조 평가는 학부모의 노력에 대한 보상이 아닌, 신청서에 기재된 정보 자체를 기준으로 평가된 결과임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자녀의 대학 진학에 따른 학자금 재정보조 문제는 대부분의 학부모가 “신청서를 잘 내기만 하면 대학이 알아서 잘 처리해줄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에서 출발한다. 물론 대학에 합격해야만 재정보조 내역서를 받을 수 있기에, 학부모들의 초점이 대입 전형에 집중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실질적인 현실에서 가장 큰 문제는 학비 부담이며, 이는 재정보조를 통해서만 해결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부모는 사전에 준비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간과한다. 문제의 소지를 사전에 파악하고, 어느 시점에 어떤 실천을 할지에 대한 계획이 전무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재정보조의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성공한 이들에게 길을 묻고 배워야 한다. 길을 알면서도 준비 시기를 놓친다면, 마치 한 해 농사를 망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아무리 농사 기술이 있어도, 씨를 뿌리는 시기를 놓치면 수확은 헛수고가 된다. 세상에 헛수고만큼 아까운 일이 없다. 최선을 다하고도 결과가 나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정보조에 대한 노하우가 아무리 많아도, 그 실천 시기를 놓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학부모들은 “그냥 하면 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언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이 성공과 실패의 갈림길이다. 예를 들어, IRA가 브로커리지 계좌(Brokerage Account)에 있는 경우와 연금 계좌(Annuity Account)에 있는 경우는 재정보조 평가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전자는 평가 가능한 자산으로 간주되어 SAI 금액이 올라가지만, 후자는 SAI 금액을 증가시키지 않는 자산으로 간주된다. 사전에 이런 부분을 조치하느냐에 따라 신청서에 기재되는 자산 총액이 달라지고, 그 결과 해당 연도의 재정보조 금액이 달라진다. 만약 이로 인해 재정보조에서 5,000달러의 차이가 났다면, 이는 단순한 금액 이상의 ‘기회비용’이다. 5,000달러의 등록금을 세후 금액으로 감당하려면 세율이 20%인 가정 기준으로 약 6,250달러의 수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입 증가는 다시 재정보조 축소로 이어질 수 있는 도미노 현상을 유발한다. 아무리 좋은 약도 언제 복용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듯, 재정보조에서도 시차적인 요소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우리 자녀의 대학 선택과 학업 지속 여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부모는 반드시 재정보조의 사전 준비에 대한 이해와, 실천 시점의 정확한 판단부터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대학 등록 시점보다 2년 전 수입 구조를 설계하려면 3년 전부터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또한, 자산의 사고팔기와 관련된 양도세, 이자소득 등의 발생 시점과 세금보고서 상의 반영 시점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 결국, 재정보조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시기별 전략적 설계를 통해 우리 자녀의 대학 진학과 재정 부담 모두를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문의: (301)219-3719 / [email protected]미국 재정보조 재정보조 금액 학자금 재정보조 재정보조 내역서
2025.07.23. 11:22
올가을 대학 신입생들은 이제 합격한 대학 중에서 진학할 대학을 선택해야만 하는 시점이다. 반면, 학부모들은 재정부담으로 막막한 심정을 호소하는 가정이 많다. 대학 진학에 많은 혼선을 보인 금년도 입학사정은, 작년보다 더욱 뜨거운 경쟁률 속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를 낳았다. 많은 학생이 합격할 줄 알았던 대학에서는 대부분 *웨잇리스트(Wait List)*에 오르거나 낙방했고, 오히려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대학에서 합격 통보를 받은 사례들이 속출했다. 대입 지원자들이 대부분 20여 개 이상의 대학에 동시에 지원하면서 유례없는 경쟁률이 발생했고, 대학들도 부족한 시간 안에 입학사정을 서두르느라 원하는 좋은 학생을 놓치는 전례 없는 혼선이 더욱 늘어났다. 대학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웨잇리스트에 오른 학생들을 더 많이 선발하려는 ‘눈치 보기 작전’도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합격시킨 학생이 등록해주기를 바라는 입장에서 재정보조금 지원을 잘 해준 사례도 있지만, 이 또한 지원자가 원했던 대학이라기보다는 한 단계 낮은 대학의 ‘러브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요즘 사립대학의 연간 총학비는 거의 10만 달러에 육박하기 때문에, 재정보조를 제대로 받지 못하면 가정의 재정부담은 결코 만만치 않다. 학부모들이 신중히 고민해야 할 문제는, 단순히 재정부담이 가장 적은 대학에 자녀를 보내는 것이 과연 올바른 선택인가 하는 점이다. 자녀가 어느 대학으로 진학하느냐는 그들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결정이기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 그러나 재정부담을 탓하기 전에, 대부분의 학부모가 접하는 재정보조 지원 내역서를 잘 검토해 보면,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었는데도 그러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많은 학부모들이 상담 시 “대학에서 우리 가정 형편을 보고 잘 지원해줄 줄 알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신청서를 제출하는 데에만 의미를 둔 것으로, 사전 준비를 통해 제출 정보를 어떻게 최적화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신경을 쓰지 못한 경우다. 이는 재정보조 공식의 이해 부족, 그리고 연방정부가 재정보조 평가에 적용하는 수입과 자산의 구분에 대해 사전 조치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재정보조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공식적으로 산정되는 SAI(Student Aid Index) 금액에 따라 결정된다. 이 금액은 재정보조를 받기 전에 학부모가 먼저 부담해야 할 금액이다. 연간 총학비에서 이 SAI 금액을 공제한 금액, 즉 Financial Need (FN)에 대해 대학이 정한 퍼센트에 따라 재정보조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재정보조 신청서에 기재된 정보가 최종 지원 금액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한 가정에서 자녀가 진학하는 대학에서 단 한 푼도 재정보조를 받지 못했으나, 내부적인 정리와 사전 설계를 통해 7만 8천여 달러를 어필로 지원받은 사례가 있다. 이는 마지막 단계에서 충실하게 사전 설계를 이행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IRA나 401(k)와 같은 직장 내 세금 공제를 위한 불입금은 총수입에서 공제되기 전의 SAI 금액보다 더 높은 SAI 금액을 산정하게 만들어, 오히려 더 큰 재정부담이 발생한다. 즉, 1만 5천 달러를 공제해서 AGI(Adjusted Gross Income)를 낮추더라도, 오히려 공제 전보다 SAI 금액이 약 3분의 1 증가해 재정보조 계산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 불입금은 Untaxed Income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영업자나 사업을 하는 학부모의 경우, 이러한 방식보다는 회사 내에 Corporate Trust를 설립하고 이곳으로 불입과 세금 공제를 진행하면 더 큰 혜택을 볼 수 있다. 이때 불입금은 회사의 자산으로 간주되므로 재정보조에 불이익을 받지 않으며, 동시에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자녀의 대학 선택에 있어 재정보조 지원을 제대로 받는 것이 대학 진학의 성공 여부를 좌우할 수 있으며, 이는 재정보조의 사전 설계를 얼마나 충실히 준비했는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의: (301)219-3719 / [email protected]미국 대학선택 재정보조금 지원 재정보조 지원 재정보조 신청서
2025.07.23. 11:21